$\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결건조 모시잎 분말 첨가가 돈육패티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reeze Dried Ramie Leaf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i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8 no.3, 2015년, pp.478 - 485  

안수미 (동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세리 (동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인식 (동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동결 건조한 모시잎 분말을 돈육패티에 첨가하여, 이들 제품에 미치는 품질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모시잎 분말의 일반성분은 수분 함량 4.67%(w/w), 조단백질 25.61%(w/w), 조지방 6.665%(w/w), 조회분 16.88%(w/w)로 나타났다. 모시잎 분말을 첨가한 돈육패티의 수분 함량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pH는 6.06~6.18로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색도는 생육 패티에서 모시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와 적색도는 유의적(p<0.001)으로 감소하고, 황색도는 유의적(p<0.001)으로 증가하였으며, 가열육 패티에서 모시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p<0.001)와 적색도는 감소하고, 황색도는 0.75%(w/w) 첨가군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p<0.05). 물성 특성은 모시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 탄력성, 응집성, 씹힘성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지질산패도(TBARS)는 저장 기간의 경과에 따라 측정 값들이 증가하였으며, 모시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p<0.001)으로 낮은 TBARS 값을 보여 지질산패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관능적 특성으로 색감에서는 모시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p<0.05)인 경향을 보였으며,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모시잎 분말 0.5%(w/w) 첨가군에서 유의적(p<0.01)인 경향을 보이며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돈육패티 제조 시 모시잎 분말을 0.5%(w/w) 정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되며, 돈육패티에 모시잎 분말을 첨가함에 따라 돈육 특유의 이취를 감소시키며, 색상과 맛 등의 기호도를 향상시켜 관능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관능적 평가뿐만 아니라, 저장 중 지방산패를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amie leaf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ies. The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in freeze-dried ramie leaf powder were found to be 4.67% (w/w), 25.61% (w/w), 6.66% (w/w), and 16.88% (w/w), respectively. 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모시잎의 이러한 다양한 생리활성 및 식품학적 연구 보고에도 불구하고, 모시잎의 육제품에의 이용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을 가진 모시잎을 동결건조한 후 그 분말을 첨가하여 돈육 패티를 제조하여, 이들 제품에 미치는 품질특성을 평가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동결 건조한 모시잎 분말을 돈육패티에 첨가하여, 이들 제품에 미치는 품질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모시잎 분말의 일반성분은 수분 함량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시풀이란 무엇인가? 모시풀(Boehmeria nivea L.)은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쐐기풀과(Uritic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ramie 또는 저마(芧䗫)라고도 한다(Institute of Drug and Plant 1998). 원산지는 동남아시아이며, 현재 한국, 중국, 필리핀, 인도 등에 주로 분포되어 있으며, 습기가 많고 따뜻한 지방에서 서식한다(Zhao 등 2008).
돈육패티의 모시잎 분말 첨가량 증가에 따른 수분함량 변화는? 수분 함량은 대조군(무첨가군)이 57.84%로 가장 높은 수분 함량을 보였고, 모시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수분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돈육의 수분 함량은 일반적으로 60~70%로 보고되었는데(Park & Park 2001), 해조류 첨가 돈육패티의 품질특성 연구(Jeon & Choi 2012)에서 해조 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수분 함량이 감소한 결과와 유사하였다.
모시잎 분말을 첨가한 돈육패티의 수분 함량이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원인은 무엇으로 판단되는가? 돈육의 수분 함량은 일반적으로 60~70%로 보고되었는데(Park & Park 2001), 해조류 첨가 돈육패티의 품질특성 연구(Jeon & Choi 2012)에서 해조 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수분 함량이 감소한 결과와 유사하였다. 수분 함량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모시잎의 수분 함량이 4.67%로 적으므로, 모시잎의 함량이 높아지면서 건조 모시잎 분말이 수분을 흡수하여 수분 함량이 줄어드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모시잎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돈육의 pH는 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OAC. 198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3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 Brewer MS, McKeith F, Martin SE, Dallmier AW, Meyer J. 1991. Sodium lactate on shelf-life, sensory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fresh pork sausage. J Food Sci 56:1176-1178 

  3. Buege JA, Aust SD.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Methods Enzymol 52:302-310 

  4. Cho SH, Chung CH.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meat patties formulated with either steam-dried green tea powder or freeze-dried raw tea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6:567-574 

  5. Choi SH, Kwon HC, An DJ, Park JN, Oh DH. 2003. Nitrite contents and storage properties of sausage added with green tea powder. J Food Sci Ani Resour 23:299-308 

  6. Choi YS, Um YH. 2013.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dasik added with ramie leaf extract powder (Boehmeria nivea). Korean J Culinary Res 19:1-10 

  7. Daivs CE, Franks DL. 1995. Effect of end point temperature and storage time on color and denaturation of myoglobin in broiler thigh meat. Poultry Sci 74:1699-1702 

  8. Han DK, McMillin W, Godber JS. 1994. Hemoglobin, myoglobin, and total pigments in beef and chicken muscle: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J Food Sci 59:1279-1282 

  9. Institute of Drug and Plant. 1998. Details of Drug and Plant (Revised Version). p.135. Jimmeong Publish. Seoul. Korea 

  10. Jeon MR, Choi S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ies added with seaweed powder.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2:77-83 

  11. Jung JS, Shin SM, Kim A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Adenophora remotiflora powder. Korean J Food Nutr 23:147-153 

  12. Kathirvel P, Gong Y, Richards MP. 2009. Identification of the compound in a potent cranberry juice extract that inhibits lipid oxidation in comminuted muscle. Food Chem 115:924-932 

  13. Kim AR, Lee HJ, Jung HO, Lee JJ. 2014.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ramie leaf according to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118-127 

  14. Kim HJ, Choi JH, Kim HD, Park CC. 1994.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crease resistance of Korean traditional hansan ramie fabrics. J Korean Soc Dyers Finishers 6:285-292 

  15. Kim IS, Jin SK, Jo CR, Lee MH, Jang AR.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ies containing silkworm powder and vegetable worm (Paecilomyces japonica) during col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8:521-528 

  16. Kim IS, Jin SK, Nam SH, Nam YW, Yang MR, Min HS, Kim DH. 2008. Effect of hot-air dried tomato powder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pork patties during cold storage. J Anim Sci Technol 50:255-264 

  17. Kim IS, Park KS, Yu HH, Shin MK. 2009. Antioxidant activities and cell viability against cancer cells of Adenophora remotiflora leaves. J East Soc Dietary Life 19:384-394 

  18. Kim SM, Cho YS, Sung SK, Lee IG, Lee SH, Kim DG. 2002. Developments of functional sausage using plant extracts from pine needle and green tea.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20-29 

  19. Lee JJ, Park MR, Kim AR, Lee MY. 2011. Effects of ramie leaves on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and antiobesity effect in rats fed a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Korean J Food Sci Technol 43:83-90 

  20. Lee SM.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uel added with ramie leaves. Korean J Culinary Res 19:76-86 

  21. Lee YJ, Woo KS, Jeong HS, Kim W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with added dukeum (pan-fired) ramie leaf (Boehmeria nivea). Korean J Food Culture 25:810-819 

  22. Moon YH, Kang SJ, Hyon JS, Kang HG, Jung IC. 2001a. Comparison of the palatability related with characteristics of beef carcass grade B2 and 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152-1157 

  23. Moon YH, Kim YK, Koh CW, Hyon JS, Jung IC. 2001b. Effect of aging period, cooking time and temperature on the textur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oiled pork lo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471-476 

  24. Morrissey PA, Sheehy PJ, Galvin K, Kerry JP, Buckley DJ. 1998. Lipid stability in meat and meat products. Meat Sci 49:S73-86 

  25. Oh SH. 2012. Effects of ramie leaf on the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in rats. MS Thesis, Chosun Univ. Korea 

  26. Paik JE, Bae HJ, Joo NM, Lee SJ, Jung HA, Ahn EM. 2010.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dded Boehmeria nivea. Korean J Food Nutr 23:446-452 

  27. Park BH, Kim GY, Cho HS.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s made with Boehmeria nivea powder.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375-382 

  28. Park CJ, Park CS. 2001.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by cooking conditions. Korea J Soc Food Cookery Sic 17:409-496 

  29. Park MR, Lee JJ, Kim AR, Jung HO, Lee MY. 2010.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ramie leaves (Boehmeria nivea L.). Korean J Food Preserv 17:853-860 

  30. Park SS, Kim SI, Sim KH. 2011.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sulgidduk supplemented with ramie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7:763-772 

  31. Park YM, Cho HS, Park B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prepared with Boehmeria nivea powder.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465-471 

  32. Son MH. 2007.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Boehmeria nivea (L.) Gaudich. M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 Sunchon. Korea 

  33. Song HI, Moon KI, Moon YH, Jung IC. 2000. Quality and storage of hamburger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0:72-78 

  34. Yilmaz I, Daglioglu O. 2003. The effect of replacing fat with oat bran on fatty acid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eat balls. Meat Sci 65:819-823 

  35. Yoon SJ, Jang MS. 2006. Characteristics of quality in jeolpyun with different amounts of ramie. Korean J Food Cookery Sci 23:636-641 

  36. Zhao TL, Yani Y, Lili Z, Ping S, Zhong WL, Jian L, Heping X, Yuande P, Shouwei T. 2008. Study on the performance of ramie fiber modified with ethylenediamine. Carbohyd Polym 71:18-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