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로경사와 연령별 보행속도 차이를 고려한 자연재난 대피소의 입지분석 - 서울시 사례분석
The Spatial Location Analysis of Disaster Evacuation Shelter for Considering Resistance of Road Slope and Difference of Walking Speed by Age - Case Study of Seoul, Korea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3 no.2, 2015년, pp.69 - 77  

이소희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구신회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전영우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박영진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정보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대피시설의 종류는 재난유형별 대피계획에 따라 구분된다. 자연재난 대피의 경우, 시 군 구별로 수립되는 '안전관리계획'에 대피소의 입지 및 대피에 관한 사항이 포함된다. 그러나 인구수용이 용이하고 구조상 안전한 건축물을 지정하도록 되어 있을 뿐 대피소의 입지나 규모 등에 대한 정량적 기준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현실적인 대피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자연재난 대피소의 분포 및 대피면적에 대한 현황 분석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도로경사 등 지형요소와 연령별 신체능력의 차이는 도보 대피 시 신속한 대피경로 분석을 위한 주요 요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형요소와 연령별 보행속도 차이를 고려한 3차원 기반의 최적 대피경로 산정방법을 제시하고, 서울시를 대상으로 기준 대피시간(7.5, 15, 30분)별 대피소 커버권역의 지역적 차이 분석을 통해 자연재난 대피소의 입지 문제점과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인구 1인당 평균대피면적은 $0.45m^2$로 분석되었다. 이는 최소 대피면적을 $1m^2$로 가정했을 때 서울시 전체 인구의 45%만 수용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기준 대피시간 7.5분 이내에 대피 가능한 인구비율은 서울시 전체 인구의 33%에 불과하였다. 셋째, 5~9세 어린이나 65세 이상 노인의 대피가능 인구비율은 15~49세 기준 보행속도 그룹에 비해 현저히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local governments have decided the location of shelters as part of their disaster planning. However, no quantitative standards, such as assuming different hazard and shelter types, shelters' capacity, are specified in that planning. To propose the direction of disaster evacuation policy,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도로경사의 오르막과 내리막에 의한 이동부하와 연령별 보행속도를 고려한 최적경로거리 산정방법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또한 서울시 자연재난대피소를 대상으로 기준 대피시간대별 대피가능 지역의 권역분석을 통해 대피가능 인구비율을 산출하고 대피소 입지의 문제점과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세분화한 단위 링크의 수는 모두 644,578개이며, 최대값 300m, 표준편차 20m이다. 이러한 세분화 과정을 통해 링크의 두 노드 간의 표고 차에서 발생 가능한 바이어스(bias)를 줄이고자 하였다. Table 1은 산정된 도로 경사도(%)에 따른 도로연장 및 그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1) 지형요소와 연령별 보행속도 차이를 고려한 3차원의 최적 대피경로 산정방법을 제시하고, (2) 서울시를 대상으로 대피시간 별 대피소 커버 권역의 지역적 차이를 분석하여 대피소 입지의 문제점과 정책적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가설 설정

  • 이러한 연구의 한계점을 감안하여 대피 시의 보행속도는 무엇보다 개인의 신체능력에 따라 차이가 있다고 가정하여, 연령계급별 운동능력 지수를 활용하여 보행속도를 측정한 Satoh et al. (2006)의 결과를 분석에 적용하였다(Table 2).
  • 최적 대피경로의 선택은 도로경사의 오르막과 내리막을 고려한 총 보행시간의 최소화로 가정하였다.
  • 서울시 대피소는 대부분 학교나 주민센터 등의 공공시설로 지정되어 있다. 학교의 경우 시설 이외 운동장 등의 공간도 대피인구 수용에 활용 가능하다고 가정하여 전체 필지면적의 80%, 학교 이외 공공시설의 경우 건물바닥면적을 대피가능면적으로 산정하였다. 이렇게 산정된 대피가능면적을 인구 1인당 대피유효면적 기준(1m2)으로 나누어 각 대피소의 수용 가능 인구규모를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난관리체계는 어떻게 나눠지는가? 재난안전 분야에서는 재난취약계층, 즉 재난상황 시 위험감지, 위험정보 수신, 위험에 대한 적절한 행동을 취하는 능력에 핸디캡을 가진 고령자, 어린이, 임산부, 장애인, 외국인 등을 대상으로 한 재난안전정책 마련이 중요한 이슈이다. 재난관리체계(예방-대비-대응-복구)중 대응단계에 있어서의 대피활동은 안전한 곳으로 신속한 대피를 전제로 한다. 즉 대피소의 입지는 안전과 신속한 대피라는 두 가지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도보접근성에 대한 평가지표엔 무엇이 있는가? 최근 인구감소와 고령화 사회로의 전환으로 생활편의시설의 공간배치계획에 있어 도보접근성과 보행환경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주요 요소이다. 도보접근성에 대한 평가지표로서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활용하여 산정한 실제 도로네트워크상의 최소경로거리가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도로망의 구조나 지형 등의 환경요소를 고려한 네트워크 경로거리 산정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자연재해 대피소가 도보대피를 기준으로 지정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일본의 경우, ‘재해대책기본법’에 의거하여 ‘지역방재계획’을 수립하는데, 홍수나 지진 등 자연재해 대피소는 도보대피를 기준으로 지정된다(Disaster Prevention Information, Tokyo Metropolitan Government, 2014). 도보대피를 전제로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응급상황 시 구급 및 구조•구호 차량의 원활한 이동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피소까지의 도보대피를 전제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ureau of General Affairs, 2014, Disaster prevention plan, Tokyo Metropolitan Government, http://www.bousai.metro.tokyo.jp/taisaku/1000061/1000903/index.html 

  2. Ha, E. J., Jun, C. M., 2012, Analysis of subway adjacent area pedestrian networks using weighted accessibility based on road slope,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ol. 20, No. 5, pp. 77-89. 

  3. Hong, H. R., Seo, D. G., Hasemi, Y., Kown, Y. J., 2011, A study on the walking speed of crowd for safety evacuation design of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5, No. 1, pp. 19-26. 

  4. Kang, H. M., Park, S. H., 2009, Characteristics of walking environment in apartment complexes on hilly sites: Focusing on the mobility of residents on wheel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 25, No. 6, pp. 187-196. 

  5.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Korea transport databas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http://www.ktdb.go.kr/ko/web/guest/home 

  6. Lee, K. H., Ahn, K. H., 2007, The correlation between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nd walking of residents: a case study of 40 areas in Seoul,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42, No. 6, pp. 105-118. 

  7. Lee, S. H., Kokido, R., Kurihara, T., Kawabata, M., Takahashi, T., 2011, Survey report on travel behavior of elderly people in Tokyo's 23 wards, CSIS Discussion Paper No. 110, Center for Spatial Information Science, The University of Tokyo. 

  8. Park, J. K., Kim, D. M., 2012, Analysis of shelter service areas according to walking speed using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20, No. 4, pp. 37-44. 

  9. Park, S. H., Jeong, T. H., Huh, B. Y., Jang, J. S., Shim, S. Y., 2014,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procedure of selection and maintenance for the shelter, Research Report,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10. Satoh, E., Yoshikawa, T., Yamada, A., 2006, Investigation of converted walking distance considering resistance of topographical features and changes in physical strength by age, Journal of Architecture Planning, Vol. 610, pp. 133-139. 

  11.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3, Seoul Open Data Sourc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ttp://data.seoul.go.kr/index.jsp 

  12. Statistics Korea, 2010, Statistic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Statistics Korea, http://sgis.kostat.go.kr/ 

  13. Tobler, W., 1993, Three presentations on geographical analysis and modeling, Technical Report 93-1, National Center for Geographic Information and Analysis. 

  14. Yang, J. L., Jun, C. M., 2013, A study on bicycle route selection considering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21, No. 3, pp. 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