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배식관리 및 식사지도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Analysis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Related service management and feeding practices of teachers at mealtime in childcare center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8 no.3, 2015년, pp.289 - 297  

여윤재 (금천구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  권수연 (호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배식관리 및 식사지도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시 금천구의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179명을 대상으로 2013년 12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한 어린이집의 유형은 가정 어린이집 (39.7%), 민간 어린이집 (31.8%), 국공립 어린이집 (28.5%) 순으로 많았다. 요인분석 결과, 보육교사가 수행하는 배식관리 및 식사지도는 '개인 위생관리 (요인 1)', '식사지도 (요인 2)', '식재료 위생관리 (요인 3)', '맞춤형 배식 서비스 (요인 4)'의 총 4개의 요인, 11개의 항목으로 추출되었다. 보육교사는 '배식 시 위생모를 착용한다', '배식 시 일회용 장갑을 착용한다' 등의 요인 1 (개인위생관리)과 관련한 항목에 대한 중요도를 가장 낮게 인지하고 있었으며 수행도도 가장 낮았다, 반면 '영유아의 연령을 고려하여 음식을 잘라서 배식한다', '영유아의 연령별로 1인 분량을 달리하여 배식한다'의 요인 4 (맞춤형 배식서비스)와 관련된 항목에 대한 중요도를 가장 높게 인지하고 있었고 수행도도 가장 높았다. 중요도-수행도 분석 결과,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높은 1사분면에는 '영유아의 식습관을 격려하고 칭찬한다', '식사 전 후 감사인사를 한다', '영유아와 함께 앉아 식사한다' 및 '영유아의 연령을 고려하여 음식을 잘라서 배식한다'의 4개 항목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에 비해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낮은 3사분면에는 '배식 시 위생모를 착용한다', '배식 시 일회용 장갑을 사용한다', '배식 시 배식용 앞치마를 착용한다', '영유아의 연령별로 1인 분량을 달리하여 배식한다'의 4개 항목이 포함되어 있었다. 중요도는 낮다고 인지하고 있으나 수행도는 높은 4사분면에는 '조리 완료 후 2시간 이내에 배식한다', '먹다 남은 우유 (분유)를 바로 버린다', '식사 중 영유아의 이름을 부르며 대화한다'가 포함되어 있었다. 본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보육교사는 배식과 관련한 정부 지침에 대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현장에서 이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보육교사는 배식 시의 개인 위생관리 및 식재료 위생관리에 대해서는 중요하다고 인지하는 정도가 맞춤형 배식 서비스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인 위생관리는 중요도뿐만 아니라 수행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개인 위생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이 실시 되어야 하며, 특히 배식 시의 위생적인 복장 착용에 대한 주제로 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보육교사가 이를 실천할 수 있는 어린이집의 급식 환경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위해 정부 및 관련 기관에서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위생교육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교육 이론을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difference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Related service management and feeding practices of teachers at mealtime in childcare centers. Methods: In December, 2013,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centers in 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평가인증제도’와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 인증제’에서 제시하고 있는 보육교사가 수행하는 배식관리와 식사지도에 대해 현장의 보육교사가 인지하고 있는 중요도와 수행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배식관리 및 식사지도의 내용을 평가하고 개선점을 도출하여 보육교사의 배식관리 및 식사지도가 바람직하게 수행될 수 있는 실제적인 방안 마련에 활용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린이집의 기본 보육을 이용하는 영유아의 특징은? 해당 어린이집에는 1,486,980명의 영유아가 이용하고2 영유아는 급식을 통해 하루 한 끼의 식사와 간식을 섭취하고 있다. 3 어린이집의 기본 보육을 이용하는 영유아는 하루 최대 12시간을 어린이집에서 보내며, 영유아에게 어린이집의 급식은 성장·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어린이집에서는 체계적으로 급식을 관리해야 한다.
보육교사가 수행하는 배식과정의 위생관리와 급식시간의 식사지도는 어린이집 급식에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하는 이유는? 한편 보육교사는 어린이집 급식시간을 운영하는 주체로서 유아에게 안전하고 위생적인 방법으로 식사를 제공하고 유아가 바람직한 식습관을 형성할 할 수 있도록 식사지도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보육교사가 수행하는 배식과정의 위생관리와 급식시간의 식사지도는 어린이집 급식에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어린이집 평가인증제도’와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 인증제’를 위해서 어린이집에서 참고하는 자료에는 보육교사가 수행해야 하는 배식관리와 식사지도에 대한 방법에 관련한 내용이 명시되어 있다.
가정 어린이집에서 식사 중에 이름을 부르며 대화하는 등의 상호작용이 다른 유형의 어린이집에 비해 중요하게 인지하고 있으며 수행도도 높은 것으로 생각되는 이유는? 가정 어린이집은 만 0세~만 2세까지의 영아를 위주로 운영되는 보육시설로 다른 유형의 어린이집에 비해 규모가 작으며, 보육하는 영유아의 연령이 낮다. 보육교사 1인이 담당하는 영유아의 수는 만 1세 미만일 때는 영아 3인이나 만 4세 이상일 경우는 유아 20인3으로 가정 어린이집의 보육교사가 담당하는 영유아의 수는 다른 유형의 어린이집 보육교사 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때문에 식사 중에 이름을 부르며 대화하는 등의 상호작용이 다른 유형의 어린이집에 비해 중요하게 인지하고 있으며 수행도도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Statistics of childcare 2009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cited 2014 Apr 17]. Available from: http://www.mw.go.kr.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Statistics of childcare 2013 [Intetne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cited 2014 Apr 17]. Available from: http://www.mw.go.kr.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Guideline for child-care center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cited 2014 Apr 17]. Available from: http://www.mw.go.kr. 

  4. Korea Childcare Promotion Institute.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Internet]. Yongsan: Korea Childcare Promotion Institute; 2014 [cited 2014 Nov 16]. Available from: http://www.kcpi.or.kr/. 

  5.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Management of Seoul-type child-care center [Internet]. 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1 [cited 2014 Nov 16]. Available from: http://opengov.seoul.go.kr/policy/30149.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Guideline for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7.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Guideline for accreditation of Seoul-type child-care center. 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3. 

  8. Lee JY, Lee YE. Parents' satisfaction on foodservice quality of kindergartens in Chungbuk provin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0; 39(4): 613-623. 

  9. Seo KT, Kim KJ, Han YG, Lee MJ. A study on the parents awareness of home-based day care center in Jeonbuk. J Fam Educare 2008; 1(1): 68-85. 

  10. Martilla JA, James JC.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 Mark 1977; 41(1): 77-79. 

  11. Jung HY. A study on utilization and perceived service quality of the university foodserv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3; 42(4): 633-643. 

  12. Jang MR, Kwak TK. Assessment of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in the employee feeding operations according to type of workers. J Korean Diet Assoc 1997; 3(1): 63-73. 

  13. Kwon DK. The study on the plan of improving the service quality in the food industry by the IPA matrix. Korean J Tourism Res 2011; 26(1): 1-31. 

  14. Jung HA, Kim AN, Joo NM, Paik JE.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anitation management within childcare center foodservice facilities in Gyeongbuk province.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1; 21(3): 385-391. 

  15. Song ES, Kim EG. The foodservice sanitation status of the child care centers at Asan city in Chungnam.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6): 806-819. 

  16. Park NY, Park HK, Park HJ, Seo MK, Im HR, Lim HH, Jung JH, Yoon KS. Employee food-hygiene and nutrition awareness and performance at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Korean J Food Cookery Sci 2011; 27(2): 45-59. 

  17. Bae HJ, Lee HY, Ryu K. Field assessment of food safety management at preschool foodservice establishm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009; 25(3): 283-296. 

  18. Lee KW, Nam HW, Myung CO, Park YS. Nutrition knowledge and guidance activities during meal time of day-care center teacher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05; 15(5): 623-631. 

  19. Rho JO, Lee SI, Lee JS. A study on the dietary behaviors of daycare center teachers and their meal attitude education during meal time in Jeonju area of Korea. Korean J Food Nutr 2010; 23(3): 342-351.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Food service management manual for child-care center.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21. Kim JG, Park JY, Kim JS. A comparison of microbial load on bare and gloved hands among food handlers. J Environ Health Sci 2011; 37(4): 298-305. 

  22. MBN News. A child had suffocated after eating beans in the childcare center [Internet]. Seoul: MBN News; 2009 Oct 15 [cited 2014 Dec 29]. Available from: 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news_seq_no462275. 

  23. Channel A. A child died from eating Tteokbokki in the child-care center [Internet]. Seoul: Channel A; 2013 Jan 31 [cited 2014 Dec 29]. Available from: http://news.ichannela.com/society/3/03/20130131/52729656/1. 

  24. Kim DH, Woo SY, Song HS, Lee WS. Institutional food service. Seoul: Baeksan; 2010. 

  25. Yeoh Y, Kwon S, Yoon J. Teachers' participation and mealtime instruction in the food service at the Kwanak-gu child-care centers: comparis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caring different age groups, children younger than three years and those three years or older.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2): 112-124. 

  26.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Position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benchmarks for nutrition programs in child care settings. J Am Diet Assoc 2005; 105(6): 979-986. 

  2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R). Guidelines of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