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후두 미세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수술 전과 후 전체적인 음성 장애 지수를 비교했을 때 모두 호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는 기능적, 물리적 영역에서는 남녀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감성적 영역에서는 여자보다 남자에서 수술 후 만족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통해 음성 장애 지수가 음성의 상태를 모두 대변할 수는 없지만 객관적인 음향, 공기역학적 검사로 평가할 수 없었던 음성 장애에 대한 환자의 인식 정도를 정량화하여 평가할 수 있는 편리한 도구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and Objectives:The Voice Handicap Index (VHI) evaluates the patients perception of impact of voice disorder in term of functional, physical, emotional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 of patient's subjective voice handicap index before and after laryngeal mic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양성 후두 질환을 진단받고 후두 미세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수술 전 후에 음성 장애 지수 설문지(Voice Handicap Index, VHI)를 이용하여 주관적으로 느끼는 음성 장애 지수를 비교하여 음성 개선 정도를 알아보고 남녀 간에 느끼는 주관적인 만족도의 차이와 음성 장애 지수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성 검사의 한계는 무엇인가? 음성 장애 환자의 진단, 치료 및 치료의 효과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음성 검사가 필요하다. 음성 검사에서 음향분석기기와 청각학적 검사만으로 음성의 모든 요소를 정확하게 분석하고 환자의 목소리 상태를 완벽하게 평가하는 데는 한계가 있고 검사 결과가 환자가 느끼는 자신의 목소리에 대한 평가와 항상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환자가 스스로 자신의 음성 상태를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도구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음성질환 발생시 음향, 공기 역학적 분석의 역할은? 현재까지 음성 질환의 정도를 양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수많은 노력을 들였고, 음향, 공기 역학적 분석은 음성 질환의 심한 정도를 양적으로 표현하고 치료 전과 치료 후의 차이를 측정하는 기초가 되었다.1,2) 하지만 객관적인 측정 방법은 질병에 대한 관점, 각각의 질병에 대한 측정 효과 및 측정 방식에 있어서는 제한 점이 있다.
음성질환 치료시 음향, 공기 역학적 분석의 제한점은 무엇인가? 현재까지 음성 질환의 정도를 양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수많은 노력을 들였고, 음향, 공기 역학적 분석은 음성 질환의 심한 정도를 양적으로 표현하고 치료 전과 치료 후의 차이를 측정하는 기초가 되었다.1,2) 하지만 객관적인 측정 방법은 질병에 대한 관점, 각각의 질병에 대한 측정 효과 및 측정 방식에 있어서는 제한 점이 있다.3) 게다가 이러한 객관적인 검사 결과와 환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질병의 정도와는 밀접한 상관관계를 찾기가 힘들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환자의 주관적인 음성 장애의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치료의 범위와 치료 성공율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ohen SM, Jacobson BH, Garrett CG, Noordzij JP, Stewart MG, Ossoff RH, et al. Creation and validation of the Singing Voice Handicap Index. Ann Otol Rhinol Laryngol 2007;116:402-6. 

  2. Portone CR, Hapner ER, McGregor L, Otto K, Johns MM 3rd. Correlation of the Voice Handicap Index (VHI) and the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Measure (V-RQOL). J Voice 2007;21:723-7. 

  3. Reemtsma K, Morgan M. Outcomes assessment: A primer. Bull Am Coll of Surg 1997;82:34-9. 

  4. Rosen CA, Murry T. Voice handicap index in singers. J Voice 2000;14:370-7. 

  5. Murry T, Rosen CA. Outcome measurements and quality of life in voice disorders. Otolaryngol Clin North Am 2000;33:905-16. 

  6. Rosen CA, Murry T, Zinn A, Zullo T, Sonbolian M. Voice handicap index change following treatment of voice disorders. J Voice 2000;14: 619-23. 

  7. Park SS, Kwon TK, Choi SH, Lee WY, Hong YH, Jeong NG,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Pediatric Voice Handicap Index: In school age children. Int J Pediatr Otolaryngol 2013; 77:107-12. 

  8. Jacobson BH, Johnson A, Grywalski C, Sibergleit A, Jacobson G, Benninger MS, et al. The Voice Handicap Index (VHI): Development and validation. Am J Speech Lang Pathol 1997;6:66-77. 

  9. Green G. Psycho-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vocal nodules: WPBIC ratings. J Speech Hear Res 1989;54:306-12. 

  10. Johns MM, Garrett CG, Hwang J, Ossoff RH, Courey MS. Quality-of-life outcomes following laryngeal endoscopic surgery for non-neoplastic vocal fold lesions. Ann Otol Rhinol Laryngol 2004;113: 597-601. 

  11. Gliklich RE, Glovsky RM, Montgomery WW. Validation of a voice outcome survey for unilateral vocal cord paralysis.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Am J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9;120: 15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