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래예측기법을 활용한 사범대학의 미래
The Future of College of Education By Adapting Future Research Methodology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7 no.3 = no.75, 2015년, pp.757 - 769  

이도영 (부산대학교) ,  이진숙 (부산대학교) ,  권다남 (부산대학교) ,  최류미 (부산대학교) ,  김대현 (부산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ey factors affecting the future college of education and describe two scenarios for prospecting the future college of education. In these scenarios, two important factors are selected to influence the college of education : 'Expansion of the marketiz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환경스캐닝을 통해 구분한 5가지 영역에 들어갈 세부 주제들은 선행 연구들과 신문, 서적의 영역 구분을 검토하여 연구자들 간의 상호 검토와 토의 과정을 통해 정리하였다. 그리고 각 영역에 속한 세부 항목들에 대하여 영향력과 확실성을 구분하는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P대학교 사범대학의 교육학 전문가(교수) 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및 조언을 받음으로써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추출한 6가지의 미래 트렌드는 [Table 2]와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사회 환경적 요인을 분석하고 사범대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핵심 동인을 파악한 후, 퓨처스 힐, 교차분석기법, 시나리오 플래닝을 통하여 사범대학의 미래에 대한 시나리오를 작성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시나리오는 향후 사범대학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고 운영 전략을 모색하는 데 기여하는 점이 적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
  • 가상의 인물을 내세운 소설 형식, 신문 기사 형식, 이야기 형식, 연극이나 영화처럼 역할극의 형태도 가능하며, 독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형식과 문체를 선택할 수 있다(Yoo, 2009).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사범대학이라는 제제가 대중적인 관심을 끌 수 있는 주제라기보다는 학문적인 특징을 갖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사범대학의 미래 모습에 관한 내용과 시사점을 사실적으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사체를 선택하여 작성하였다. 그리고 사범대학의 시나리오는, 미래 사회 변화에 따른 사범대학의 모습을 사범대학의 존폐 여부와 규모, 학과 체제, 목표와 정체성, 교육과정 및 방법 등과 같은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작성한 것이다.
  • 반면, 선행연구를 비롯하여 각종 자료, 전문가 조언 등을 종합해 본 결과, 테크놀로지는 크게 발달할 것이라고 일관성 있게 예측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테크놀로지의 발달이 가속화되는 사회에서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일 시장화 된 사회에서의 사범대학, 그리고 공공성이 강조된 사회에서의 사범대학의 모습을 그려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한 분면에는 ‘시장화’가 가속화 된 미래의 사범대학의 모습을, 다른 분면에는 시장화의 흐름에서 벗어나 ‘공공성’의 요구를 받는 미래의 사범대학의 모습을 그려보았다.
  •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환경 스캐닝, 퓨처스휠, 교차분석법, 시나리오 플래닝 등의 다양한 미래예측기법을 활용하여 미래 사범대학의 모습을 과학적인 바탕 위에서 그려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범대학이란 무엇인가? 사범대학은 중·고등학교의 교원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대학을 지칭한다. Ministry of Education(2014)에 따르면, 2013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중등교원양성기관은 총 107개로, 46개의 사범대학에 43,824명, 61개의 일반대학 교육과에 14,411명의 학생이 재학 중에 있다.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재 양성은 무엇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는가?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재 양성은 교사의 품성과 자질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이용 가능한 정보의 양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누구나 쉽게 자료를 업로드할 수 있는 시대의 교사들은 시·공간의 제약을 뛰어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 역량(Ban, 2008)을 갖출 필요가 있다.
사범대학은 교육내용 및 목적에 있어서 무엇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는가? 또한, 사범대학은 교육 내용적 측면에 있어서도 사회 통합, 인성, 나눔과 같은 가치가 강조되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를 수용한다. 이에 따라 교육 내용 및 목적에 있어서도 공동체, 협력 등의 가치를 보다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이는 과학기술의 발전 이면에 소외되는 가치들에 대한 사회적 반성의 결과로서 보다 절실하게 요구되는 교육이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Ban, S. A.(2008). The study of construction plan for constructive leaning environment-oriented ubiquitous learning space by subjects. Master's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2. Back, S. G. & Ham, E. H.(2007). The Effect of Teaching Practicum on Educational Value in Secondary Schools.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0(4), 1-29. 

  3. Cheong, J. G.(2001). Teacher Education in Korea and Its Alternative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18(3), 89-111. 

  4. Cho, K. W.(2004). A Critical Examination of secondary teacher Education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5(1), 1-19. 

  5. Cho, M. H..Lee, H. Y. & Lee, H. W.(2014). Teacher Competencies of the Student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0(3), 239-263. 

  6. Choi, Y. J.(2012). A Study on Educational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8(3), 1-29. 

  7. Chun, J. Y. & Kim, S. G.(2011). Importance of the Science of Erudition In the Forms of Future University Classes. The Journal of SEC, 3(1), 61-71. 

  8. Chung, Y. G.(2014). Specialization of teachers' training education and College of liber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19(1), 25-41. 

  9. Facer, K., & Sandford, R.(2010). The next 25 years?: future scenarios and future directions for education and technology.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26(1), 74-93. 

  10. Han, S. J..Kim, H. S. & Heo, G.(2014). A Meta-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Smart-Learning. Jour. Fish. Mar. Sci. Edu, 26(1), 148-155. 

  11. Hur, S.(2010). Searching for the Way of Change and Development of GINUE. Searching for the Way of Change and Development of GINUE, 30(2), 1-18. 

  12. Hwang, G. H.(1999). Models for Graduate School Level Initial Teacher Training in Korea.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0, 33-49. 

  13. Hwang, Y. H..Kwon, D. W..Park, S. C..Yoo, G. C..Lee, B. W..Lee, W. H..Lee, H. G..Jung, G. Y. & Cho, G. J.(2009). A Curriculum Proposal for the Future of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6(3), 339-363. 

  14. Jang, J. H..Han, S. G..Lee, J. Y. & Seo, Y. S. (2011). Study on 2030 Future Career Life. Seoul :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15. Jung, H.(2008). The critical investigation on premises of a market-based education policy.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43(), 151-172. 

  16. Kang, W. G. & Kwak, Y. W.(1998). A Study of Teacher Education System Toward the 21st Century.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15(2), 24-55. 

  17. Ko, J.(2009). Review on the Suggestion of the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6(2), 345-364. 

  18. Ko, K. S..Choi, Y. H..Park, I. G..Seok, M. J..Noh, S. G..Han, J. S..Lee, D. S. & Jo, D. S. (2004). The Investigation of the Future-Oriented Cuniculum Model for the University of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1(2), 187-207. 

  19.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Kim, Y. C..Lee, I. J..Hong, H. J..Ban, S. J. & Choi, D. M.(2006). Change Prospect and School System of Education System. Seoul :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20.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2). Design of the competencies-based national curriculum for the future society. Seoul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RC. 2012-4) 

  21. Korea Institute for Educational Policy(2008). A Study on the Plan for Improving the Training program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Seoul : Korea Institute for Educational Policy. 

  22. Kim, B. C.(2000). The Shift on Teacher Education Paradigm.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17(3), 113-141. 

  23. Kim, B. C.(2003). Discussion on the crisis of the college of education. The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Society, 21(3), 29-56. 

  24. Kim, H. G.(2009). Supporting Successful Public Policy Making : Future Strategy Research Oriented Methodology version 1.0.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5. Kim, H. S.(2008). The Pros and Con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Model for Teacher Education. The Research of Education, 30, 69-88. 

  26. Kim, J. B.(2004). Strategies of Teachers&' training System for Better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1(3), 29-47. 

  27. Kim, J. Y..Kwon, N. W. & Han, H. J.(2007). English Digital Textbook Contents Types and Integrated Contents Organizational Model Development for Future Educational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3(4), 115-134. 

  28. Lee, H. W. & Jo, M. H.(2012). Teacher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of the Student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by Grade Level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9(4), 521-540. 

  29. Ministry of Education (2014). 2013 Current state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30. Musto, J. N.(1994). High-Tech Future: A Scenario for Higher Education. Technology 1. 

  31. Nam, W. (2008). A Sutdy on the Necessity of Consilience-Education and -Teacher.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4(4), 1-16. 

  32. Niemi, H.(2000). Teacher education in Finland: current trends and future scenarios. In Teacher Education Policies in the European Union.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f Teacher Education policies in the European Union and Quality of Lifelong Learning, Loule, 22, 843-855. 

  33. Park, C. Un..Kim, H. Y. & Cha ,C. P.(2012). Discussion of schooling related 5-School-Day Week. Jour. Fish. Mar. Sci. Edu, 24(3), 79-94. 

  34. Park, J. W.(2001). Education marketing and Public. Educational Criticism, 6, 32-42. 

  35. Park, S. M.(2012). Development of Learning Strategy e-Learning Contents based on the Storytelling. Jour. Fish. Mar. Sci. Edu, 24(2), 272-285. 

  36. Park, S. M. & Sim, M. J.(2011). Analysis of Teaching Behavior Based on the Learner-Centered Teaching Competency. Jour. Fish. Mar. Sci. Edu, 23(3), 374-387. 

  37. Park, S. W.(2002). Alternative paradigms and structures of secondary teacher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19(3), 31-54. 

  38. Park, Y. S..Jerome Glenn, & Ted Gordon(2007). Future research methodology. Seoul: Kyobo. 

  39. Rossing, J. P..Miller, W. M..Cecil, A. K. & Stamper, S. E.(2012). iLearning: The Future of Higher Education? Student Perceptions on Learning with Mobile Tablets. Journal of the Scholarship of Teaching and Learning, 12(2), 1-26. 

  40. Ryu, B. L.(2004). The Future Forecast of School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1(1), 21-45. 

  41. Seo, J. H.(1999). Educational Reform and Subject of Development on the College of Education. Research of Education, 33, 169-187. 

  42. Sin, S. M. & Park, H. G.(2008). The Diagnose and Assignment of Secondary Education Teacher Training From a Autonomy Perspective. Paper presented at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teacher education Scholarship Conference, 2008(1), 102-131. 

  43. Snoek, M..Baldwin, G..Cautreels, P..Enemaerke, T..Halstead, V..Hilton, G. ... & Svensson, L.(2003). Scenarios for the future of teacher education in Europe. Europ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6(1), 21-36. 

  44. So, W. G. & Kim, H. K.(2012).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Motivational Characteristics of m-Learning on the Learning Outcome. Jour. Fish. Mar. Sci. Edu, 24(3), 368-377. 

  45. Song, G. Y.(2000). 21st School Education System and a Teacher's Certification.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17(1), 93-110 

  46. Sung, B. C.(2007). The Conceptual Framework and Principles on Educational Publicnes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0(3), 229-249. 

  47. Trilling, Bernie,.Fadel, Charles, &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2012). 21st century skills. Seoul : Hakjisa. 

  48. Tschong, Y. K.(2014). Spezialisierung der Lehrerbildung und das studium generale.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19(1), 25-41. 

  49. Yoo, J. S.(2009). Scenario Planning. Seoul : Jihyung. 

  50. Yoon, J. I.(2001). Strategy Exploration Study for Reinforcement of Public Education. Seoul :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51. Yoon, J. I.(2002).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eacher Preparation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Edu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teacher education Scholarship Conference.-(36), 7-28. 

  52. Won, H. H.(2014). A Research on Improving School Evaluation System for Quality School Education. Fish. Mar. Sci. Edu, 26(1), 223-2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