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굴절교정수술을 받은 근시안과 정시안에서 중심부 및 주변부의 굴절력 비교
Comparison of Central and Peripheral Refraction in Myopic Eyes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and Emmetropes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20 no.2, 2015년, pp.157 - 165  

김정미 (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  이군자 (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근시성 굴절교정수술안에서 수평경선에 따른 중심부 및 주변부의 굴절력 변화를 정시안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수술안 120 안(평균: $23.56{\pm}2.54$세, 범위: 20~29세)과 정시안 40 안(평균: $22.50{\pm}1.74$세, 범위: 20~25세)을 대상으로 개방형 자동굴절력계를 사용하여 중심시야를 기준으로 코 쪽과 귀 쪽의 수평방향 $5^{\circ}$, $10^{\circ}$, $15^{\circ}$, $20^{\circ}$, $25^{\circ}$의 굴절력을 각각 측정하였다. 수술안은 수술 전 등가구면 굴절이상에 따라 -6.00 D 미만은 수술안 그룹 1, -6.00 D 이상은 수술안 그룹 2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안 그룹 1의 수술 전 등가구면 굴절이상은 $-4.56{\pm}0.92D$(범위: -2.50 ~ -5.58 D)였고, 수술안 그룹 2는 $-7.09{\pm}0.96D$(범위: -6.00 ~ -9.00 D)로 나타났다. 정시안의 등가구면 M 평균값의 범위는 $-0.20{\pm}0.22D$(중심)에서 $-0.64{\pm}0.83D$(귀 방향 $25^{\circ}$)와 $-0.20{\pm}0.67D$(코 방향 $25^{\circ}$); 수술안 그룹 1의 M 평균값의 범위는 $-0.16{\pm}0.29D$(중심)에서 $-5.29{\pm}1.82D$(귀 방향 $25^{\circ}$)와 $-4.48{\pm}1.88D$(코 방향 $25^{\circ}$); 수술안 그룹 2의 M 범위는 $-0.20{\pm}0.32D$(중심)에서 $-7.98{\pm}2.08D$(귀 방향 $25^{\circ}$)와 $-7.90{\pm}2.26D$(코 방향 $25^{\circ}$)로 나타났고, 세 그룹 사이의 M 굴절력은 중심(p=0.600)과 귀 방향 $5^{\circ}$(p=0.64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주변부 방향으로 갈수록 M 굴절력은 큰 차이를 보였다(p=0.000). 결론: 정시안은 망막의 중심부와 주변부에서 상대적으로 일정한 굴절이상을 보였고, 수평경선에서 주변부 근시흐림의 형태가 나타난 반면, 근시 굴절교정수술안에서는 중심부와 주변부 굴절이상이 정시안과는 다르고 중심부와 주변부의 굴절력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evaluate changes in central and peripheral refraction along the horizontal visual fields in myopic corneal refractive surgery group compared with emmetropes. Methods: One hundred twenty eyes of 60 subjects ($23.56{\pm}2.54$ years, range: 20 to 29) who underwent myopic refra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시성 각막굴절교정수술(라식 또는 라섹)을 받고 정시상태가 된 수술안의 수평경선에 따른 중심부 및 주변부의 굴절력 변화를 정시안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학적 교정의 한계는? 이들의 연구 데이터를 종합하면 정시안과 원시안는 일반적으로 망막의 주변부에서 상대적인 근시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근시안은 상대적인 주변부 원시형태를 보이고 있다.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통한 근시의 광학적 교정은 망막의 중심와에 초점이 선명하게 이루어지지만, 주변부로 향할수록 망막 주변부의 영역은 원시성 흐림이 나타나게 되어,[6,9,10] 논란의 여지는 남아있지만 이러한 현상은 근시의 발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14] Smith 등[15]은 동물실험을 통해 주변부 망막에서의 시각적 경험이 눈의 성장과 정시화 과정(emmetropization process)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주변부 원시성 흐림(hyperopic peripheral defocus)이 눈의 성장을 자극하여 굴절이상의 진행을 발전시키는 반면, 주변부 근시성 흐림(myopic peripheral defocus)은 눈의 성장을 예방하면서 그 결과로 근시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오늘날 근시의 발생빈도는 얼마나 되는가? 오늘날 근시의 발생빈도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특정 동아시아 지역에서 약 70%에 이르고 있으며 특히, 고등교육을 받은 집단에서의 근시 발병률은 80% 이상을 넘어서고 있다.[1-3] 이러한 근시 발생빈도는 유럽이나 아메리카 지역에서 발생하는 근시 발병률의 거의 2배 이상이 되고 있으나, 고도 근시를 포함한 근시의 발생 속도는 지역적 특성에 상관없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근시발생의 원인으로 여겨지는 것은? 최근까지 망막 주변부의 흐림(defocus)이 근시진행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설이 주변부 굴절력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켜 왔으며, 선행연구들[6-9]에 의하면 정시 그리고 근시와 원시의 굴절이상을 가지는 눈의 주변부 굴절력 패턴이 다르게 나타난다고 보고되었다. 이들의 연구 데이터를 종합하면 정시안과 원시안는 일반적으로 망막의 주변부에서 상대적인 근시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근시안은 상대적인 주변부 원시형태를 보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orge J, Almeida JB, Parafita MA. Refractive, biometric and topographic changes among Portuguese university science students: a 3-year longitudinal study. Ophthalmic Physiol Opt. 2007;27(3):287-294. 

  2. Lin LL, Shih YF, Hsiao CK, Chen CJ. Prevalence of myopia in Taiwanese schoolchildren: 1983 to 2000. Ann Acad Med Singapore. 2004;33(1):27-33. 

  3. Woo WW, Lim KA, Yang H, Lim XY, Liew F, Lee YS, et al. Refractive errors in medical students in Singapore. Singapore Med J. 2004;45(10):470-474. 

  4. Vitale S, Sperduto RD, Ferris FL 3rd. Increased prevalence of myopia in the United States between 1971-1972 and 1999-2004. Arch Ophthalmol. 2009;127(12):1632-1639. 

  5. Morgan I, Rose K. How genetic is school myopia?. Prog Retin Eye Res. 2005;24(1):1-38. 

  6. Atchison DA, Pritchard N, White SD, Griffiths AM. Influence of age on peripheral refraction. Vision Res. 2005;45(6):715-720. 

  7. Love J, Gilmartin B, Dunne MCM. Relative peripheral refractive error in adult myopia and emmetropia.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0;41(4):S302. 

  8. Mutti DO, Sholtz RI, Friedman NE, Zadnik K. Peripheral refraction and ocular shape in children.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0;41(5):1022-1030. 

  9. Seidemann A, Schaeffel F, Guirao A, Lopez-Gil N, Artal P. Peripheral refractive errors in myopic, emmetropic, and hyperopic young subjects. J Opt Soc Am A Opt Image Sci Vis. 2002;19(12):2363-2373. 

  10. Millodot M. Effect of ametropia on peripheral refraction. Am J Optom Physiol Opt. 1981;58(9):691-695. 

  11. Liu Y, Wildsoet C. The effect of two-zone concentric bifocal spectacle lenses on refractive error development and eye growth in young chicks.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1;52(2):1078-1086. 

  12. Mutti DO, Hayes JR, Mitchell GL, Jones LA, Moeschberger ML, Cotter SA, et al. Refractive error, axial length, and relative peripheral refractive error before and after the onset of myopia.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7;48(6):2510-2519. 

  13. Schmid GF. Association between retinal steepness and central myopic shift in children. Optom Vis Sci. 2011;88(6):684-690. 

  14. Smith EL 3rd, Hung LF, Huang J. Relative peripheral hyperopic defocus alters central refractive development in infant monkeys. Vision Res. 2009;49(19):2386-2392. 

  15. Smith EL 3rd, Kee CS, Ramamirtham R, Qiao-Grider Y, Hung LF. Peripheral vision can influence eye growth and refractive development in infant monkeys.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5;46(11):3965-3972. 

  16. Charman WN, Mountford J, Atchison DA, Markwell EL. Peripheral refraction in orthokeratology patients. Optom Vis Sci. 2006;83(9):641-648. 

  17. Queiros A, Gonzalez-Meijome JM, Jorge J, Villa-Collar C, Gutierrez AR. Peripheral refraction in myopic patients after orthokeratology. Optom Vis Sci. 2010;87(5):323-329. 

  18. Smith EL 3rd. The Charles F. Prentice award lecture 2010: A case for peripheral optical treatment strategies for myopia. Optom Vis Sci. 2011;88(9):1029-1044. 

  19. Ma L, Atchison DA, Charman WN. Off-axis refraction and aberrations following conventional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J Cataract Refract Surg. 2005;31(3):489-498. 

  20. Queiros A, Gonzalez-Meijome JM, Villa-Collar C, Gutierrez AR, Jorge J. Local steepening in peripheral corneal curvature after corneal refractive therapy and LASIK. Optom Vis Sci. 2010;87(6):432-439. 

  21. Queiros A, Villa-Collar C, Jorge J, Gutierrez AR, Gonzalez-Meijome JM. Peripheral refraction in myopic eyes after LASIK surgery. Optom Vis Sci. 2012;89(7):977-983. 

  22. Thibos LN, Wheeler W, Horner D. Power vectors: an application of Fourier analysis to the descrip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of refractive error. Optom Vis Sci. 1997;74(6):367-375. 

  23. Stone RA, Flitcroft DI. Ocular shape and myopia. Ann Acad Med Singapore. 2004;33(1):7-15. 

  24. Atchison DA, Pritchard N, Schmid KL. Peripheral refraction alo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visual fields in myopia. Vision Res. 2006;46(8-9):1450-1458. 

  25. Hong SM. Measurements of central and peripherial axial length and refractive error. MA Thesis. Eulji University, Sungnam. 2012;30-33. 

  26. Williams DR, Artal P, Navarro R, McMaho MJ, Brainard DH. Off-axis optical quality and retinal sampling in the human eye. Vision Res. 1996;36(8):1103-1114. 

  27. Cho P, Cheung SW, Edwards M. The longitudinal orthokeratology research in children(LORIC) in Hong Kong: a pilot study on refractive changes and myopic control. Curr Eye Res. 2005;30(1):71-80. 

  28. Walline JJ, Jones LA, Sinnott LT. Corneal reshaping and myopia progression. Br J Ophthalmol. 2009;93(9):1181-1185. 

  29. Anera RG, Villa C, Jimenez JR, Gutierrez R. Effect of LASIK and contact lens corneal refractive therapy on higher order aberrations and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 J Refract Surg. 2009;25(3):277-284. 

  30. Kohnen T, Mahmoud K, Buhren J. Comparison of corneal higher-orderaberrations induced by myopic and hyperopic LASIK. Ophthalmology. 2005;112(10):16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