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경 단계에 따른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의 과거력과 혈관운동증상의 차별적 연관성
Differential Association of History of Premenstrual Syndrome/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with Vasomotor Symptoms According to Menopausal Stage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3 no.1, 2015년, pp.57 - 65  

현홍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조숙행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정현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고영훈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권은주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증진연구소) ,  김혜경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증진연구소) ,  고승덕 (협성대학교 보건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급격한 호르몬 변화가 발생하는 월경과 폐경 시기에 기분증상 및 신체증상이 나타난다는 공통된 임상적 특징과 생물학적 기전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하여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와 폐경기 증상의 연관성이 제기되었으나 아직까지 일관된 결론이 내려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폐경기 여성에서 각각의 폐경 단계에 따라 월경 전 증후군의 과거력과 대표적인 폐경기 증상 중의 하나인 혈관운동증상의 연관성에 대해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방 법 한국건강관리협회 전국 16개 지사에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방문한 361명의 폐경주위기 여성과 693명의 폐경후기 여성을 대상으로 단면연구를 시행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혈관운동증상과 월경전 증후군 과거력 및 여러 요인(연령, 결혼, 수입, 교육 수준, 음주, 운동, 흡연, 폐경에 대한 태도, 우울, 스트레스)에 대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결 과 전기 폐경주위기를 제외한 후기 폐경주위기, 전기 폐경후기, 후기 폐경후기에서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의 과거력이 있는 여성에서 중등도 이상의 혈관운동증상을 호소하는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전기 폐경주위기, p=0.824 ; 후기 폐경주위기, p=0.001 ; 전기 폐경후기, p=0.001 ; 후기 폐경후기, p=0.01). 후기 폐경주위기와 전기 폐경후기에서 PSST score와 혈관운동증상의 심각도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후기 폐경주위기, r=0.213, p=0.010 ; 전기 폐경후기, r=0.246, p<0.001). 우울, 폐경에 대한 태도, 스트레스, 생활습관요인 등의 관련된 요인들을 통제하였을 때, 후기 폐경주위기와 전기 폐경후기에서 월경전 증후군/월졍전 불쾌장애의 과거력이 중등도 이상의 혈관운동증상을 예측하는 유의한 인자로 나타났다(후기 폐경주위기, OR=5.197, p=0.005 ; 전기 폐경후기, OR=3.017, p=0.010). 결 론 본 연구는 폐경 단계에 따라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와 혈관운동증상의 연관성이 차별적으로 나타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규명하기 위한 추가적인 대단위의,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Within the normal reproductive cycles of women, dramatic fluctuations of sexual hormones occur in the premenstrual and menopausal periods. In both periods, women are vulnerable to mood disturbances and show several somatic complaints. Based on these common clinical profiles and physiolog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6)이에 반해, 본 연구는 후향적이긴 하지만, 월경전 증후군과 월경전 불쾌장애의 진단을 월경전 증상 선별 도구를 통해 비교적 정확하게 하였으며, 기존 연구에서 혈관운동증상과의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졌던 요인들을 통제하여 월경전 증후군과 혈관운동증상간의 관계를 더욱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우리의 연구는 대상군을 폐경 단계에 따라 분류하여 월경전 증후군과 혈관운동증상의 연관성을 조사함으로써 폐경 단계에 따라 월경전 증후군과 혈관운동증상의 연관성이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새로운 결과를 보여준다.
  • 이전의 연구들에서 폐경 단계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구분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이 일관되지 못한 연구 결과의 하나의 원인으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본 연구는 폐경 단계를 비롯해 월경전 증후군과 혈관운동증상의 연관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심리사회적 요인들을 함께 조사하여 폐경기의 여성에서 월경전 증후군과 혈관운동증상의 연관성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폐경기 여성에서 월경전 증후군의 과거력과 혈관운동증상이 유의한 연관성을 가지는지, 이러한 연관성이 폐경상태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후기 폐경주위기와 전기 폐경후기의 여성에서 월경전 증후군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 중등도 이상의 혈관운동증상의 위험성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두 질병의 연관성이 폐경상태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시사한다.
  • 앞서 언급했듯이, 후기 폐경주위기와 전기 폐경후기는 호르몬의 큰 변화가 관찰되는 시기이며, 혈관운동증상 및 우울증의 위험성이 증가하는 시기로 알려져 있다. 앞서 혈관운동증상과 월경전 증후군의 생리적 유사성과 관련하여 두 질환 모두 호르몬의 변동성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호르몬의 변동성에 취약한 월경전 증후군의 과거력을 가진 중년 여성이 호르몬의 변화가 큰 후기 폐경주위기와 전기 폐경후기에 혈관운동증상의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겠다.

가설 설정

  • 5,14) 이러한 점들을 바탕으로, 월경전 증후군과 혈관운동증상이 공통된 병인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으나 월경전 증후군과 혈관운동증상의 관계를 입증하기 위한 기존의 연구들은 아직까지 일관되지 못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5,15,16) 월경전 증후군과 혈관운동증상이 모두 호르몬의 변화와 연관성을 가진다는 점을 통해서 우리는 월경전 증후군과 혈관운동증상의 연관성이 폐경 단계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가설을 수립하였다. 이전의 연구들에서 폐경 단계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구분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이 일관되지 못한 연구 결과의 하나의 원인으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월경전 증후군의 증상은? 2-4) 이러한 연관성은 생식 주기의 변화에 수반되는 호르몬 변동에 대한 뇌에서의 특정한 생물학적 반응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1) 월경전 증후군은 기분증상과 함께 두통, 근육통 등의 다양한 신체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흔하다. 몇몇 연구들은 월경전 증후군을 경험한 여성은 폐경기 우울증뿐 아니라 홍조(hot flushes)를 비롯한 다양한 폐경기 증상의 위험성 또한 더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월경전 증후군과 폐경기의 우울증의 연관성은 어디서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하나? 월경, 출산, 폐경 등 생식주기와 관련된 우울증(reproduc-tive subtype of depression)은 우울증의 한 아형으로 고려되고 있으며,1) 여러 연구들이 월경전 증후군(Premenstrual syn-drome)과 폐경기의 우울증 간의 유의한 연관성을 보고하였다.2-4) 이러한 연관성은 생식 주기의 변화에 수반되는 호르몬 변동에 대한 뇌에서의 특정한 생물학적 반응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1) 월경전 증후군은 기분증상과 함께 두통, 근육통 등의 다양한 신체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흔하다.
벡 우울 척도란? 벡 우울 척도는 우울증상의 정도를 측정하는 도구로서 우울증의 인지적, 정서적, 동기적, 신체적 증상 영역을 포함하는 21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항목은 0~3점으로 응답하도록 되어 있으며, 점수의 합계가 높을수록 우울 성향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영호와 송종용이 번안한 한국판 벡 우울척도를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Payne JL, Palmer JT, Joffe H. A reproductive subtype of depression: conceptualizing models and moving toward etiology. Harvard Review of Psychiatry 2009;17:72-86. 

  2. Freeman EW, Sammel MD, Liu L, Gracia CR, Nelson DB, Hollander L. Hormones and Menopausal Status as Predictors of Depression in Womenin Transition to Menopaus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2004;61:62-70. 

  3. Payne JL, Roy PS, Murphy-Eberenz K, Weismann MM, Swartz KL, McInnis MG, Nwulia E, Mondimore FM, MacKinnon DF, Miller EB. Reproductive cycle-associated mood symptoms in women with major depression and bipolar disorder.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07;99:221-229. 

  4. Richards M, Rubinow DR, Daly RC, Schmidt PJ. Premenstrual Symptoms and Perimenopausal Depression.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2006;163:133-137. 

  5. Freeman EW, Sammel MD, Rinaudo PJ, Sheng L. Premenstrual syndrome as a predictor of menopausal symptoms. Obstetrics & Gynecology 2004;103:960-966. 

  6. Cohen LS, Soares CN, Vitonis AF, Otto MW, Harlow BL. Risk for new onset of depression during the menopausal transition: The harvard study of moods and cycle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2006;63:385-390. 

  7. Gold EB, Colvin A, Avis N, Bromberger J, Greendale GA, Powell L, Sternfeld B, Matthews K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vasomotor symptoms and race/ethnicity across the menopausal transition: study of women's health across the natio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06;96:1226-1235. 

  8. Steiner M, Dunn E, Born L. Hormones and mood: from menarche to menopause and beyond.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03;74:67-83. 

  9. Sturdee DW. The menopausal hot flush-anything new? Maturitas 2008;60:42-49. 

  10. Steinberg S, Annable L, Young SN, Liyanage N. A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of L-tryptophan in premenstrual dysphoria. Biological Psychiatry 1999;45:313-320. 

  11. Landen M, Eriksson O, Sundblad C, Andersch B, Naessen T, Eriksson E. Compounds with affinity for serotonergic receptors in the treatment of premenstrual dysphoria: a comparison of buspirone, nefazodone and placebo. Psychopharmacology 2001;155:292-298. 

  12. Loprinzi CL, Kugler JW, Sloan JA, Mailliard JA, LaVasseur BI, Barton DL, Novotny PJ, Dakhil SR, Rodger K, Rummans TA. Venlafaxine in management of hot flashes in survivors of breast cancer: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The Lancet 2000;356:2059-2063. 

  13. Stearns V, Slack R, Greep N, Henry-Tilman R, Osborne M, Bunnell C, Ullmer L, Gallagher A, Cullen J, Gehan E. Paroxetine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hot flashes: results from a prospective randomized clinical trial.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05;23:6919-6930. 

  14. Yonkers KA, O'Brien PS, Eriksson E. Premenstrual syndrome. The Lancet 2008;371:1200-1210. 

  15. Morse C, Dudley E, Guthrie J, Dennerstein L. Relationships between premenstrual complaints and perimenopausal experiences. Journal of Psychosomatic Obstetrics & Gynecology 1998;19:182-191. 

  16. Hautamaki H, Haapalahti P, Savolainen-Peltonen H, Tuomikoski P, Ylikorkala O, Mikkola TS. Premenstrual symptoms in fertile age are associated with impaired quality of life, but not hot flashes, in recently postmenopausal women. Menopause 2014;21:1287-1291. 

  17. Soules MR, Sherman S, Parrott E, Rebar R, Santoro N, Utian W, Woods N. Executive summary: stages of reproductive aging workshop(STRAW). Climacteric 2001;4:267-272. 

  18. Steiner M, Macdougall M, Brown E. The premenstrual symptoms screening tool(PSST) for clinicians.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2003;6:203-209. 

  19. Choi J, Baek JH, Noh J, Kim JS, Choi JS, Ha K, Kwon JS, Hong KS. Association of seasonality and premenstrual symptoms in bipolar I and bipolar II disorder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1;129:313-316. 

  20. Heinemann LA, Potthoff P, Schneider HP. International versions of the menopause rating scale(MRS).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2003;1:28. 

  21. 이영호, 송종용.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91;10:98-113. 

  22. Sommer B, Avis N, Meyer P, Ory M, Madden T, Kagawa-Singer M, Mouton C, Rasor NON, Adler S. Attitudes toward menopause and aging across ethnic/racial groups. Psychosomatic Medicine 1999;61:868. 

  23. Avis NE, McKinlay SM. A longitudinal analysis of women's attitudes toward the menopause: results from the Massachusetts Women's Health Study. Maturitas 1991;13:65-79. 

  24. Cheng M-H, Wang S-J, Wang P-H, Fuh J-L. Attitudes toward menopause among middle-aged women: a community survey in an island of Taiwan. Maturitas 2005;52:348-355. 

  25. Frank SH, Zyzanski SJ. Stress in the clinical setting: the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The Journal of Family Practice 1988:533-539. 

  26. 임지혁, 배종면, 최순식, 김성원, 황환식, 허봉렬. 외래용 소트레스량 측정도구로서 한국어판 BEPSl 설문서(수정판)의 타당성. 가정의학회지 1996;17. 

  27. Lee M-S, Kim J-H, Park MS, Yang J, Ko Y-H, Ko S-D, Joe S-H. Factors influencing the severity of menopause symptom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10;25:758-765. 

  28. Guthrie JR, Dennerstein L, Hopper JL, Burger HG. Hot flushes, menstrual status, and hormone levels in a population-based sample of midlife women. Obstetrics & Gynecology 1996; 88:437-442. 

  29. Rubinow DR, Schmidt PJ. The neuroendocrinology of menstrual cycle mood disorders.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995;771:648-659. 

  30. Schmidt PJ, Nieman LK, Danaceau MA, Adams LF, Rubinow DR. Differential behavioral effects of gonadal steroids in women with and in those without premenstrual syndrom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1998;338:209-216. 

  31. Randolph Jr JF, Sowers M, Bondarenko I, Gold EB, Greendale GA, Bromberger JT, Brockwell SE, Matthews KA. The relationship of longitudinal change in reproductive hormones and vasomotor symptoms during the menopausal transition.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2005;90:6106-6112. 

  32. Deecher D, Dorries K. Understanding the pathophysiology of vasomotor symptoms(hot flushes and night sweats) that occur in perimenopause, menopause, and postmenopause life stages.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2007;10:247-257. 

  33. Deecher DC. Physiology of thermoregulatory dysfunction and current approaches to the treatment of vasomotor symptoms. Expert Opinion on Investigational Drugs 2005;14:435-448. 

  34. Freedman RR. Physiology of hot flashes. American Journal of Human Biology 2001;13:453-464. 

  35. Carlsson M, Carlsson A. A regional study of sex differences in rat brain serotonin. Progress in Neuro-Psychopharmacology and Biological Psychiatry 1988;12:53-61. 

  36. Hiroi R, McDevitt RA, Neumaier JF. Estrogen selectively increases tryptophan hydroxylase-2 mRNA expression in distinct subregions of rat midbrain raphe nucleus: association between gene expression and anxiety behavior in the open field. Biological Psychiatry 2006;60:288-295. 

  37. Rubinow DR, Schmidt PJ, Roca CA. Estrogen-serotonin interactions: implications for affective regulation. Biological Psychiatry 1998;44:839-850. 

  38. Bethea CL, Lu NZ, Gundlah C, Streicher JM. Diverse actions of ovarian steroids in the serotonin neural system. Frontiers in Neuroendocrinology 2002;23:41-100. 

  39. Eriksson O, Wall A, Marteinsdottir I, Agren H, Hartvig P, Blomqvist G, Langstrom B, Naessen T. Mood changes correlate to changes in brain serotonin precursor trapping in women with premenstrual dysphoria. Psychiatry Research: Neuroimaging 2006;146:107-116. 

  40. Halbreich U, Tworek H. Altered serotonergic activity in women with dysphoric premenstrual syndrome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iatry in Medicine 1993;23:1-27. 

  41. Melke J, Westberg L, Landen M, Sundblad C, Eriksson O, Baghei F, Rosmond R, Eriksson E, Ekman A. Serotonin transporter gene polymorphisms and platelet [3 H] paroxetine binding in premenstrual dysphoria. Psychoneuroendocrinology 2003;28:446-458. 

  42. Bachmann GA. Menopausal vasomotor symptoms: a review of causes, effects and evidence-based treatment options. The Journal of Reproductive Medicine 2005;50:155-165. 

  43. Shanafelt TD, Barton DL, Adjei AA, Loprinzi CL, editors.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of Hot Flashes. Mayo Clinic Proceedings;2002. 

  44. Loprinzi CL, Sloan JA, Perez EA, Quella SK, Stella PJ, Mailliard JA, Halyard MY, Pruthi S, Novotny PJ, Rummans TA. Phase III evaluation of fluoxetine for treatment of hot flashe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02;20:1578-1583. 

  45. Hale GE, Zhao X, Hughes CL, Burger HG, Robertson DM, Fraser IS. Endocrine features of menstrual cycles in middle and late reproductive age and the menopausal transitio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aging of Reproductive Aging Workshop (STRAW) staging system.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2007;92:3060-3067. 

  46. Harlow SD, Gass M, Hall JE, Lobo R, Maki P, Rebar RW, Sherman S, Sluss PM, de Villiers TJ, Group SC. Executive summary of the Stages of Reproductive Aging Workshop+10: addressing the unfinished agenda of staging reproductive aging. Fertility and Sterility 2012;97:843-851. 

  47. Hall JE. Neuroendocrine physiology of the early and late menopause.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Clinics of North America 2004;33:637-659. 

  48. Burger HG, Hale GE, Dennerstein L, Robertson DM. Cycle and hormone changes during perimenopause: the key role of ovarian function. Menopause 2008;15:603-612. 

  49. Burger HG, Dudley EC, Robertson DM, Dennerstein L. Hormonal changes in the menopause transition. Recent Progress in Hormone Research 2002;57:257-276. 

  50. Bromberger JT. A psychosocial understanding of depression in women: for the primary care physicia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Women's Association 2003;59:198-2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