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동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y of Zooplankton Community at Dangdong Bay in Gyeongsangnamdo,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3 no.2, 2015년, pp.240 - 247  

한형섬 (순천향대학교 생명시스템학과) ,  박용우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서해지사 생태복원실) ,  김종춘 (순천향대학교 생명시스템학과) ,  마채우 (순천향대학교 생명시스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통영시 당동만의 환경요인과 동물플랑크톤 군집을 분석하여 군집 형성 과정과 연안 부유생태계를 이해하기 위해 2008년 동계시기부터 2011년 춘계시기까지 계절별로 환경요인과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를 분석하고, 우점종 출현양상과 환경요인의 상관관계를 CCA분석하였다. 조사기간 중 동물플랑크톤은 80종, $1,599inds.m^{-3}$가 출현하였고, 동물플랑크톤의 군집 변화는 우점종의 출현밀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계절별 우점종은 겨울철과 봄철에 Acartia steueri, 여름철에 Penilia avirostris 그리고 가을철에 Evadne nordimanni가 우점하여 가을철을 제외한 계절에서 요각류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점종 출현 양상을 통해 조사지역 내 우점종 간 종 간 경쟁이 확인되었다. 주요 우점종과 환경요인 간의 정준대응분석 (CCA)을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계절에서 수온이 우점종 출현양상과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COD, DO 그리고 T-N이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the preliminary data for study of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s and coastal pelagic ecosystem by understanding the seasonal change of zooplankton community depending on environmental factors at Dangdong bay in Tongyeong city. In this study, the environment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반폐쇄형 부유생태계인 당동만에 서식하는 동물플랑크톤 군집 형성과 생태계의 특징을 간접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장기간에 걸쳐 계절에 따른 동물플랑크톤의 군집 종 조성과 군집 구조, 출현밀도를 분석하고, 산업단지 및 인공시설물에 따른 환경요인과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변동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앞으로의 연안 부유생태계 및 환경변화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군집 변화 연구에 기초자료로 사용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반폐쇄형 부유생태계인 당동만에 서식하는 동물플랑크톤 군집 형성과 생태계의 특징을 간접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장기간에 걸쳐 계절에 따른 동물플랑크톤의 군집 종 조성과 군집 구조, 출현밀도를 분석하고, 산업단지 및 인공시설물에 따른 환경요인과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변동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앞으로의 연안 부유생태계 및 환경변화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군집 변화 연구에 기초자료로 사용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동만에서 계절별 조사 지역의 동물플랑크톤 종수 변화는? 계절별 조사지역의 동물플랑크톤 출현밀도와 종수는 계절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수는 대체로 고온 수기인 여름철과 가을철에 가장 높고, 겨울철과 봄철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출현밀도는 여름철에 감소하였다가 가을철에 증가하는 양상이었다.
당동만에서 계절별 동물플랑크톤 출현 밀도 양상은? 계절별 조사지역의 동물플랑크톤 출현밀도와 종수는 계절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수는 대체로 고온 수기인 여름철과 가을철에 가장 높고, 겨울철과 봄철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출현밀도는 여름철에 감소하였다가 가을철에 증가하는 양상이었다. 이러한 현상은 Moon et al.
동물플랑크톤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동물플랑크톤은 해양생태계에서 식물플랑크톤을 주요 먹이원으로 하는 일차 소비자이며, 먹이피라미드 하부에 위치해 어류 및 이매패류 등 상위영양단계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중간 고리 역할을 한다. 이에 동물플랑크톤에 대한 연구는 해양생태계를 이해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알려져 있다 (Youn and Choi 2003; Hwa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eyst B, D Buysse, A Dewicke and J Mess. 2001. Surf zone hyperbenthos of Belgian sandy beaches: seasonal patterns. Estuar. Coast. Shelf Sci. 53:877-895. 

  2. Chihara M and M Murano. 1997. An illustrated guide to marine plankton in Japan. Tokai University press. 1289pp. 

  3. Choi KH and C Park. 1993. Seasonal fluctua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Asan bay, Korea. Bull. Korean Fish. Soc. 26:424-437. 

  4. David V, B Sautour, P Chardy and M Leconte. 2005. Longterm changes of the zooplankton variability in a turbid environment: The Gironde estuary (France). Estuar. Coast. Shelf Sci. 64:171-184. 

  5. Fernando CR and MPS Graciela. 1985. New data in the ecological distribution of Cladocerans and first local observations on reproduction of Evadne nordmanni and Podonintermedius (Crustacea, Cladocera) in Argentine sea water. Physis Seccion A. 43:131-143. 

  6. Hue HK, DH Kim and SH Ahn. 2002.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s of zooplankton in Gangjin bay in 1999. Korean J. Environ. Biol. 20:46-54. 

  7. Hwang OM, KS Shin, SH Baek, WJ Lee, SA Kim and MC Jang. 2011. Annual variations in community structure of mesozooplankton by short-term sampling in Jangmok harbor of Jinhae bay. Ocean Polar Res. 33:235-253. 

  8. Jang MC, KS Shin, PG Jang and WJ Lee. 2010.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short-term variations of mesozooplankton during summer in Jangmok bay, South coast of Korea. Ocean Polar Res. 32:41-52. 

  9. Kang YS and KA Jeon. 1999.Bioli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rophodynamics in the frontal zone in the Sourthern waters of Korea. Korean J. Fisher. Aquat. Sci. 32:22-29. 

  10. Kang YS, JS Park, SS Lee, HG Kim and PY Lee. 1996. Zooplankton community and distributions of copepods in relation to eutrophic evaluation in Chinhae bay. J. Korean Fish. Soc. 29:415-430. 

  11. Keister JE, ED Houde and DL Breitburg. 2000. Effectsof bottom-layer hypoxia on abundance and depthdistributions of organisms in Patuxent River, ChesapeakeBay. Mar. Ecol. Prog. Ser. 205:43-59. 

  12. Kim KT and ES Kim. 2009. Seawater quality of Jinhae bay and adjacent sea of Gaduk Island, Korea. J. Korean Soc. Mar. Environ. Saf. 2009:137-143. 

  13. Kim MH, HT Moon, SH Shin, MB Son, JY Byun, HC Choi and MH Son. 2010. Characteristics of zooplankton community in the coastal water of Wolseong nuclear power plant, East sea of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8:40-48. 

  14. Kim MJ, SH Youn, JY Kim and CW Oh. 2013. Feeding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u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the coastal waters of Southern Korea. Korean J. Environ. Biol. 31:275-287. 

  15. Le Bris H. 1988. Fonctionnement des ecosystemesbenthiquescotiers au contact d'estuaires: la rade de Lorient et la baie de vilaine. These de doctoratd' Oceanologie Biologique, Universite de bretagneoccidentale, Brest, 311pp. 

  16. Lee CR, HK Kang and JH Noh. 2009.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post construction of Saemangeum dyke. Ocean Polar Res. 31:327-338. 

  17. Lee JH, JH Chae, WR Kim, SW Jung and JM Kim. 2011. Seasonal variation of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coastal waters off Tongyeong in Korea. Ocean Polar Res. 23:245-253. 

  18. Lee PG and C Park. 2004. Impact of mesh size difference on zooplankton distribution data and community interpretation. J. Kor. Soc. Oceanogr. 9:13-19. 

  19. Moon SY, HJ Oh and HY Soh. 2010. Seasonal variat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Ocean Polar Res. 32:411-426. 

  20. Moon SY, HS Yoon, HY Soh and SD Choi. 2006. Environmental factors and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Gamak bay. Ocean Polar Res. 28:79-94. 

  21. Moon SY, MH Seo, YS Shin and HY Soh. 2012. Seasonal variation of meso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Semienclosed Muan bay, Korea. Ocean Polar Res. 34:1-18. 

  22. Motoda S. 1959. Devices of simple plankton apparatus. Mem. Fac. Fish. Hokkaido Univ. 7:73-94. 

  23. Oh HJ, YH Lee, JH Yang and SH Kim. 2007. The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distribution related to the oceanographic conditions in the Southern waters of the Korean in summer. J. Kor. Associ. Geogra. Info. Stud. 10:40-48. 

  24. Omorii M and T Ikeda. 1984. Methods in marine zooplankton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25pp. 

  25. Park C, PG Lee and SR Yang. 2002. Variation of zooplankton distribution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with respect to season and salinity gradients. J. Kor. Soc. Oceanogr. 7:51-59. 

  26. Park JG, JH Shim and JB Lee. 1998. Long-term variation of phytoplankton biomass and implication in the East and the South Sea, Korea. J. Kor. Phycol. 13:123-133. 

  27. Park JS, SS Lee, YS Kang and HH Huh. 1991. Distribution of indicator species of copepods and chaetognaths in the middle East Sea of Korea and their relationships to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es. J. Kor. Fish. Soc. 24:203-213. 

  28. Riley GA. 1967. The plankton of estuaries, In: Estuaries, edited by Lauff, G.R., The Horn-Shafer Company, Baltimore. 326pp. 

  29. Smith DL and KB Johnson. 1996. A guide to marine coastal plankton and marine invertebrate larvae. Kedall and Hunt Publishing Company. 196pp. 

  30. Soh HY, IT Lee, YH Yoon, SD Choi, SN Lee, MI Han, BS Kim, YH Kang and WB Lee. 2002. Species composition and occurrence patterns of zooplankton in Gamag bay. Korean J. Eviron. Biol. 20:118-129. 

  31. Soh HY and SD Choi. 2004. Species composition and occurrence patterns of zooplankton in Jinhae bay. Korean J. Environ. Biol. 22:43-56. 

  32. Stalder LC and NH Marcus. 1997. Zooplankton responsesto hypoxia: Behavioral patterns and survival of three species of calanoid copepods. Mar. Biol. 127:599-607. 

  33. UNESCO. 1968. Zooplankton sampling. Monographs on oceanographic methodology 2. UNESCO, Paris. 174pp. 

  34. Yoo JK, CS Myung, JK Choi, HP Hong and ES Kim. 2010.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mesozooplankton community in Lake Sihwa, Korea. Ocean Polar Res. 32:187-201. 

  35. Yoo JK, JH Jeong, EJ Nam, KM Jeong, SW Lee and CS Myung. 2006. Zooplankton community and distribution in relation to water quality in the Saemangeum area, Korea: Change in zooplankton community by the construction of sea dyke. Ocean Polar Res. 28:305-315. 

  36. Yoon HS and SD Choi. 2006. Study on resources annexation in Tongyeong marine ranching: Effects of zooplankton attraction by night-lights. Korean J. Environ. Biol. 24:126-137. 

  37. Youn SH and JK Choi. 2003.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Kyeonggi bay, Yellow sea. J. Kor. Soc. Oceanogr. 8:243-2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