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β-Glucosidase를 생성하는 호염성 Roseivivax roseus 균주의 분리 및 분류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β-glucosidase producing halophilic Roseivivax roseu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51 no.2, 2015년, pp.141 - 147  

조건영 (목원대학교 미생물나노소재학과) ,  한송이 (목원대학교 미생물나노소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금생산을 위해 25% 이상의 함수를 저장해 놓는 염전의 해주로부터 호염성 세균 4균주를 분리하고 높은 염분농도에서도 ${\beta}$-glucosidase를 생성하는 HJS1과 HJS6 균주를 선발하였다. 이들 ${\beta}$-glucosidase 생성세균은 NaCl 1-10%에서 70-79U/mg의 최적 활성을 나타내었고, NaCl 3%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NaCl 0-20% 농도에서 최대 효소 활성대비 75%이상의 효소활성을 유지하는 내염성 ${\beta}$-glucosidase를 생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내염성 ${\beta}$-glucosidase 생성 HJS1과 HJS6 균주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검토한 결과, Roseivivax roseus $BH87090^T$ (FJ897782)와 99.8%의 상동성을 나타내었고 상기 균주들의 염기서열은 NCBI GenBank에 각각 AB971835와 AB971836로 등록하였다. 계통학적으로 근연종인 Roseivivax roseus $BH87090^T$와의 DNA-DNA 상동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 90.1-90.3%를 나타내었다. 이들 균주의 주요 균체지방산은 $C_{16:0}$, $C_{18:1}$ ${\omega}7c$, $C_{19:0}$ cyclo ${\omega}8c$ 그리고 11-methyl $C_{18:1}$ ${\omega}7c$를 함유하고 Quinone종은 Q-10로 근연종 Roseivivax roseus $BH87090^T$ 균주와 동일한 특징을 나타내어 Roseivivax roseus로 동정되었다. 반면, 비교 균주 Roseivivax roseus $BH87090^T$${\beta}$-glucosidase 생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분리된 Roseivivax roseus HJS1과 HJS6 균주는 내염성 ${\beta}$-glucosidase 효소 개발을 위한 유전자원으로 활용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ur halophilic bacteria were isolated from a salt water tank of more than 25% above salinity used for production of salt. HJS1 and HJS6 strains were identified as having ${\beta}$-glucosidase producing capabilities at high salinity. ${\beta}$-Glucosidase produced from these b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호염성 β-glucosidase를 생성 미생물 유전자원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염전의 25% 이상의 함수를 저장해 놓는 염전의 해주로부터 높은 염분농도에서도 생육가능한 호염성 세균을 분리하고 β-glucosidase 효소 특성을 확인하고 분류 동정하여 미생물 유전자원으로 확보하 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염세균이 생산하는 효소에 대해 산업적으로 응용 방안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호염세균에 관한 연구는 주로 호염기작과 세포형태학적 특성 및 생체내 대사 효소의 특성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진행해 왔다. 균체외 효소에 대한 연구 보고로 cellulose, amylase, nuclease, lipase, protease 등이 있으며, 호염성 세균이 생산하는 효소는 일반 미생물이 생산하는 효소보다 내염성이 높아 산업적으로 다양한 효소의 응용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Onish, 1972; Fukami et al., 2004; Fu et al.
β-glucosidase는 무엇을 분해시키는가? 고분자 섬유소인 cellulose로부터 glucose를 완전히 유리 시키는데 작용하는 β-glucosidase는 탄수화물 잔기로만 구성된 glucoside뿐만 아니라 alkyl-β-D-glucoside 및 aryl-β-Dglucoside 등의 β-glucosidic likage를 비환원성 말단으로부터 가수분해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Woodward and Wiseman, 1982). 또한 cellulose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질을 인식할 수 있어 식품, 화학, 세제 및 직물공업 등에서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Tamas et al.
호염성균이 생성하는 β-glucosidase는 어떤 미생물에서 발견이 되는가? , 2011). 반면, 호염성균이 생성하는 β-glucosidase에 관한 연구는 Bacillus 속과 Gracilibacillus 속에 속하는 그람 양성의 포자형 성 균이나, Halobacterium 속과 Halothermothrix 속에 속하는 고세균(Kori et al., 2011;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ollins, M.D., Goodfellow, M., and Minnikin, D.E. 1997. Isoprenoid quinones in the classification of coryneform and related bacteria. J. Gen. Microbiol. 110, 127-136. 

  2. DasSarma, S. and Arora, P. 2002. Halophiles. Encyclopedia of Life Sciences, Vol. 8, pp. 458-466. Nature Publishing Group, London, UK. 

  3. Das, S., Lyla, P.S., and Khan, S.A. 2006. Marine microbial diversity and ecology: importance and future perspectives. Curr. Sci. 90, 1325-1335. 

  4. Ezaki, T., Hashimoto, Y., and Yabuuchi, E. 1989. Fluorometric deoxyribonucleic acid-deoxyribonucleic acid hybridization in microdilution wells as an alternative to membrane filter hybridization in which radioisotopes are used to determine genetic relatedness among bacterial strains. Int. J. Syst. Bacteriol. 39, 224-229. 

  5. Fu, X.T., You, S.G., and Kim, S.M. 2008. Characterization of a salttolerant acid protease produced by Bacillus megaterium KLP-98 and its potential as a fermentation starter for the manufacture of fish sauce. J. Food Biochem. 32, 279-298. 

  6. Fukami, K., Satomi, M., Funatsu, Y., Kamasaki, K.I., and Watabe, S. 2004. Characterization and distribution of Staphylococcus sp. implicated for improvement of fish sauce odor. Fish. Sci. 70, 916-923. 

  7. Hadden, J.F. and Black, L.L. 1986. The status of ripe rot in Louisiana peppers, p.14. National Pepper Conferences. 

  8. Hall, T.A. 1999. BioEdit: a user-friendly biological sequence alignment editor and analysis program for Windows 95/98/NT. Nucleic Acids Symp. Ser. 41, 95-98. 

  9. Hall, B.G. 2013. Building phylogenetic trees from molecular data with MEGA. Mol. Biol. Evol. 30, 1229-1235. 

  10. Hong, S.W., You, L.K., Jung, B.M., Kim, W.S., and Chung, K.S. 2009. Characterization of ${\alpha}$ -galactosidase and ${\beta}$ -glucosidase by Weissella cibaria.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7, 204-2212. 

  11. Ikemoto, S., Kuraishi, H., Komagata, K., Azuma, R., Suto, R., and Murooka., H. 1978. Cellular fatty acid composition in Pseudomonas species. J. Gen. Appl. Microbiol. 24, 199-213. 

  12. Jang, M.H. and Kim, M.D. 2010. Exploration of ${\beta}$ -glucosidase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Food Engineer. Prog. 14, 243-248. 

  13. Joo, A.R., Jeya, M., Lee, K.M., Sim, W.I., Kim, J.S., Kim, I.W., Kim, Y.S., Oh, D.K., Gunasekaran, P., and Lee, J.K. 2009.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beta}$ -1,4-glucosidase from a newly isolated strain of Fomitopsis pinicola. Appl. Microbiol. Biotechnol. 83, 285-294. 

  14. Kado, Y., Inoue, T., and Ishikawa, K. 2011. Structure of hyperthermophilic ${\beta}$ -glucosidase from Pyrococcus furiosus. Acta Cryst. F67, 1473-1479. 

  15. Kengen, S.W., Luesink, E.J., Stams, A.J., and Zehnder, A.J. 1993.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extremely thermostable ${\beta}$ -glucosidase from the hyperthermophilic archaeon Pyrococcus furiosus. Eur. J. Biochem. 213, 305-312. 

  16. Ketudat Cairns, J.R. and Esen, A. 2010. ${\beta}$ -Glucosidases. Cell Mol. Life Sci. 67, 3389-3405. 

  17. Kori, L., Hofmann, A., and Patel, B.K.C. 2011. Expression, purification and preliminary crystallographic analysis of the recombinant beta-glucosidase (BglA) from the halothermophile Halothermothrix orenii. Acta. Crystallogr F Struct. Biol. Commun. 67, 111-113. 

  18. Lee, H.S., Min, K.H., and Bae, M. 1988. Biosynthetic regulation and enzymatic properties of ${\beta}$ -glucosidase from Cellulomonas sp. CS1-1. Kor. J. Appl. Microbiol. Bioeng. 16, 119-125. 

  19. Lee, J.M., Kim, Y.R., Kim, J.K., Jeong, G.T., Ha, J.C., and Kong, I.S. 2015. Characterization of salt-tolerant ${\beta}$ -glucosidase with increased thermostability under high salinity conditions from Bacillus sp. SJ-10 isolated from jeotgal,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eafood. Bioprocess Biosyst. Eng. (In press) 

  20. Mcfaddin, J.F. 1980. Biochemical tests for identification of medical bacteria, pp. 308-320. 2nd ed. Williams and Wilkins, Baltimore, USA. 

  21. Na, J.R., Kim, Y.J., Kim, S.H., Kim, H.B., Snim, J.S., Kim, S.Y., and Yang, D.C. 2009. Conversion of ginsenoside Rb1 by ginseng soil bacterium Cellulosimicrobium sp. Gsoil 235 according to various culture broth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7, 55-61. 

  22. Onish, H. 1972. Halophilic amylase from a moderately halophilic Micrococcus. J. Bacteriol. 109, 570-574. 

  23. Park, J.S., Whang, K.S., and Cheon, J.S. 2005. Procedure of microbial classification and identification. Worldscience. Korea. 

  24. Takashima, S., Nakamura, A., Hidaka, M., Msaki, H., and Uozumi, T. 1999. Molecular coloning and expression of the novel ${\beta}$ -glucosidase genes from Humicola grisea and Trichoderma reesei. J. Biochem. 125, 728-736. 

  25. Tamas, J., Krisztina, K., Zsolt, S., and Kati, R. 2003. Production of ${\beta}$ -glucosidase in mixed culture of Aspergillus niger BKMF and Trichoderma reesei RUT C30. Food Technol. Biotechnol. 41, 49-53. 

  26. Yang, C.S. and Kim, J.S. 2002. Experiment method of soil microorganism. Worldscience. Korea. 

  27. Yu, H.Y. and Li, Xin. 2015. Alkali-stable cellulase from a halophilic isolate, Gracilibacillus sp. SK1 and its application in lignocellulosic saccharification for ethanol production. Biomass Bioenergy 81, 19-25. 

  28. Ventosa, A., Nieto, J.J., and Oren, A. 1998. Biology of moderately halophilic aerobic bacteria. Microbiol. Mol. Biol. Rev. 62, 504-544. 

  29. Woodward, J. and Wiseman A. 1982. Fungal and other ${\beta}$ -d-glucosidases. Their properties and applications. Enzyme Microb. Technol. 4, 73-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