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형, 성격, 소증 기반 단축형 사상체질 진단설문지(KS-15) 개발 및 타당도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KS-15 (Korea Sasang Constitutional Diagnostic Questionnaire) Based on Body Shape, Temperament and Symptoms

JSCM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27 no.2, 2015년, pp.211 - 221  

백영화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장은수 (대전대학교 한의학과 진단학교실) ,  박기현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유종향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진희정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이시우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Korea Sasang Constitutional Diagnostic Questionnaire (KS-15) with practicality and validity. Methods The data of body shape, temperament and symptoms were collected from 11 nationwide multi-centers in Korean Medical Clinics between Nov. 2009 to Aug.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체질정보은행의 자료에서 체형과 성격, 병증의 중요항목을 선별하여 체질을 분류하는 단축형 체질진단 설문지(KS-15)를 개발하였고, 이후 사상체질 전문의의 검증을 통해 임상적용 가능한지를 알아보았다. KS-15의 체질진단 일치도는 훈련집단에서 태음인 72.
  • 본 연구에서는 사용하기 간편하면서도 타당도가 확보된 단축형 사상체질 진단 설문(KS-15)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외형, 심성, 증상을 기반으로 한방의료기관 전문가가 사상체질 진단에 보조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실용성과 활용도가 제고된 단축형 사상체질 진단도구(Korea Sasang Constitutional Diagnostic Questionnaire, 이하 KS-15)를 개발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상태를 평가하는 도구 중 객관적인 지표의 한계는 무엇인가? 구조화된 설문은 주관적인 지표를 측정하는 자기 보고식 평가방법으로 최근에는 질병을 진단하거나 유형을 분류하는 스크리닝 도구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2,3. 객관적인 지표는 대상자의 진단에 정확성을 기하고 질병 치료에 현실적으로 많은 기여를 하였으나, 전문가가 아니면 접근할 수 없어 이용 범위가 제한적이며, 대상자의 주관적 호소를 평가하는 한계성으로 인해 보완적 의미의 설문 도구들이 많이 개발되었다4. 현재 임상결과를 평가 할 수 있는 설문 도구는 약 900여개로 다양한 측정 목적에 따라 개발되어 있으며5, 다방면의 연구와 임상에서 활용되고 있다.
기존에 개발된 사상체질 진단 설문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렇게 개발된 다양한 사상체질 진단 설문은 임상에서 보조적 진단 도구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설문 문항 수가 최소 50문항에서 최대 229문항으로 짧은 시간 내에 설문 작성이 어렵고, 임상적 체질진단정확률이 높지 않으며, 판별 방법의 문제점이 제기되었다16.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16문항으로 이루어진 QSCC(II) 요약 설문도 개발되었으며17, 김 등18은 설문을 통한 사상체질 진단도구에서 진단정확률의 객관적 근거 확보를 위해서는 연구대상자 모집, 적합한 참고 표준의 선정, 체질진단 설문검사와 참고 표준의 시행 간격 등의 측면을 고려한 연구 방법론의 모색이 우선적으로 따라야 한다고 하였다.
건강상태나 질병 진단 및 치료 효과를 판정하는 방법 중 객관적인 지표는 어떤 방법을 의미하는가? 건강상태를 평가하거나 질병 진단 및 치료 효과를 판정하는 방법은 대부분 기기나 혈액 검사 등을 활용한 객관적인 지표와 대상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신체적, 정신적 상태를 평가하는 주관적인 지표로 이루어진다. 전자가 의학적 기준에 의해 전문가의 관점에서 평가되는 방법이라면 후자는 대상자의 관점에서 자신의 상태를 스스로 파악하고 평가하는 것으로 최근에서 두 개의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Nam BH, Lee SW. Testing the Validity of the Korean SF-36 Health Survey. J. of Korean Society of Health Statistics. 2003;28(2):3-24. (Korean) 

  2. Randall JM, Voth R, Burnett E, Bazhenova L., Bardwell WA.. Clinic-based depression screening in lung cancer patients using the PHQ-2 and PHQ-9 depression questionnaires: a pilot study. Supportive Care in Cancer. 2013;21(5):1503-1507. 

  3. Korber S, Frieser D, Steinbrecher N, Hiller W. Classifi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15 for screening somatoform disorders in a primary care setting.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2011;71(3):142-147. 

  4. Koh SB, Chang SJ, Kang MG, Cha BS, Park JK. Reliability and Validity on Measurement Instrument for Health Status Assessment in Occupational Workers.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1997;30(2): 251-266. (Korean) 

  5. PROQOLID, http://www.proqolid.org/ 

  6. Kim SH, Jang ES, Koh BH. The Methodological Review on the Accuracy Study of Questionnaire for Sasang Constitution Diagnosis. J Sasang Constitut Med. 2012;24(3):1-16. (Korean) 

  7. Lee SW, Jang ES, Lee J, Kim JY. Current researches on the methods of diagnosing sasang constitution: an overview.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09;6(S1):43-49. 

  8. Koh BH, Song IB. Study for pattern identification methodology of Sasang constitution. J Korean Oriental Med. 1987;8(1):146-60. (Korean) 

  9. Kim SH, Koh BH, Song IB. A Validation Study of Questionnaire of Sasang Constitutional Classification (QSCC). J Sasang Constitut Med. 1993;5(1):67-85. (Korean) 

  10. Kim SH, Koh BH, Song IB.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QSCCII (Questionnaire for the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II). J Sasang Constitut Med. 1996;8(1):187-246. (Korean) 

  11. Lee JC, Koh BH, Song IB. The Validation Study of the Questionnaire of Sasang asang onstitution Classification II. J Sasang Constitut Med. 1996;8(1): 247-94.(Korean) 

  12. Kim SB, Lee JH, Park GS, Jeong YJ, Lee SK, Song IB. A Study on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based on of revised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II (QSCCII+). J Sasang Constitut Med. 2001;13(3):15-22. (Korean) 

  13. Yoo JH, Kim JW, Kim KK, Kim JY, Koh BH, Lee EJ. Sasangin diagnosis questionnaire: test of reliability.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2007;13(1):111-122. 

  14. Lee SW, Joo JC, Lee SK, Lee HJ, Jang ES. A Study on the Response Differences to the Sasang Constitution Questionnaire by Sasang Constitutions. J Sasang Constitut Med. 2007;19(3):89-98. (Korean) 

  15. Kim YW, Shin DY, Kim JH, Choi DS, Lim MK, Lee KL et al. A Development of the Two Step Questionnaire for the Sasang Constitution Diagnosis (TS-QSCD). J Sasang Constitut Med. 2006;18(1):75-90. (Korean) 

  16. Kim KW, Jung SI, Choi MO, Kim KK, Lee EJ, Kim JY et al. Study on golden standard for sasang constitution diagnosi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5;19(6):1504-1512. (Korean) 

  17. Park EK, Lee YS, Park SS. A study of constitution diagnosis using decision tree method. J Sasang Constitut Med. 2001;13(2):144-155. (Korean) 

  18. Kim SH, Jang ES, Koh BH. The Methodological Review on the Accuracy Study of Questionnaire for Sasang Constitution Diagnosis. J Sasang Constitut Med. 2012;24(3):1-16. (Korean) 

  19. Baek YH, Jin HJ, Kim HS, Jang ES, Lee SW. An Overview on the Construction of Korea Constitutional Multicenter Bank for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J Sasang Constitut Med. 2012;24(2):47-53. (Korean) 

  20. Jang ES. A Development of Sasang Constitution Diagnosis Program based on Characteristics of Body Shape Face Physiological Symptom and Personality. Wonkwang Univ. Ph.D. thesis. 2010. (Korean) 

  21.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The Committee for the Development of Growth Standard for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2007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Growth Standard (commentary for the development of 2007 growth charts).[Government report online]. Seoul: Division of Chronic Disease Surveillance; 2007 Nov. Available from: URL://www.cdc.go.kr/webcdc/ 

  22. Baek YH, Kim HS, Lee SW, Ryu JH, Kim YY, Jang ES. Study On the Ordinary Symptoms Characteristics of Gender Difference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9;23 (1):251-258. (Korean) 

  23. Choi KJ, Choi YS, Cha JH, Hwang MW, Lee SK, Koh BH et al.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of the QSCC II + (Revised Questionnaire for the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J Sasang Constitut Med. 2006;18(1):62-74. (Korean) 

  24. Do JH, Jang ES, Ku BC, Jang JS, Kim Hg, Kim JY.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Sasang constitution diagnosis method using face, body shape, voice, and questionnaire information. BMC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2;12:85. 

  25. Park HS, Ju JC, Kim JH, Kim KY. A Study on clinical application of the QSCC II (Questionnaire for the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II) J Sasang Constitut Med. 2002;14(2):35-43.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