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질량지수(BMI)와 복부지방단층촬영(Fat-CT)의 융합을 통한 인천지역 중년 여성의 비만 검사연구
A Study on Obesity-related Factors Through the Convergence of Body Mass Index (BMI) and Fat-CT in Middle-aged Women Living in Inche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6 no.3, 2015년, pp.19 - 28  

이배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송재철 (한양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하헌영 (나은병원) ,  심상효 (한양대학교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심재훈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비만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필요한 다양한 관련요인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비만 정책방향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2014년 4월부터~11월까지 인천지역의 N 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건강한 중장년 여성들 중 본 연구의 목적에 동의한 195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신체계측, 체성분검사, 복부 지방분포는 복부지방단층촬영(Fat-CT)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골밀도는 정량적전산화 단층촬영(Q-CT)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복부지방단층촬영 결과 '피하지방' 76명(39%), '내장지방'은 119명(61%)이었으며, 체질량지수(BMI)는 '저체중($18.5kg/m^2$)'은 13명(6.7%), '과체중($25kg/m^2$이상)'은 60명(30.8%), 평균값은 $23.5{\pm}4.11kg/m^2$이었다. 그리고 허리둘레, 확장기혈압, 수축기혈압, 중성지방에서 유의수준 5%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나이가 들수록 근육감소가 복부비만으로 인한 체중 증가를 상쇄시킨다는 점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비만에 대한 차후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이해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figure out the causes of obesity against middle-aged women,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setting an obesity-related policy through analysis on diverse related factors. Against the healthy middle-aged women who visited 'N' Hospital Health Center in Incheon from April to November 201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래서 본 연구는 중·장년층 여성들을 대상으로 비만정도를 조사하였다.
  • 그러나 정확하게 내장 조직 내 지방조직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 중 복부지방단층촬영의 융합을 통한 다양한 비만 지표에 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와 복부 지방단층촬영을 융합하여 다양한 비만 관련요인을 분석하고, 향후 비만 정책방향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데 있다.
  • 최근 정확한 방법 중 하나로 복부 지방컴퓨터단층촬영(Fat-CT)이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내장/복부 지방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해 여성들의 복부비만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복부 지방컴퓨터단층촬영(Fat-CT)은 다소 번거롭고 비용이 비싸지만 촬영을 통한 복부의 내장지방 및 피하지방 면적은 복부비만정도를 정확히 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증이란? 비만(Adiposity)는 지방을 의미하는 라틴어 Adeps 에서, Obesity란 과식을 의미하는 라틴어의 Obed 에서 유래되었다. 비만증이라고 하는 것은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것이라고 단순하게 생각하기 쉬우나 신체가 함유하고 있는 지방질의 비율이 정상보다 높은 것을 의미하며[1], 체지방(Lean body mass)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하조직 및 기타조직에 지방이 과잉축적 된 상태를 의미한다[2].
비만의 단어 유래는? 최근 우리나라 사회·경제적 여건의 향상과 신체활동량의 감소, 식생활 서구화 등으로 비만의 발생률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비만(Adiposity)는 지방을 의미하는 라틴어 Adeps 에서, Obesity란 과식을 의미하는 라틴어의 Obed 에서 유래되었다. 비만증이라고 하는 것은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것이라고 단순하게 생각하기 쉬우나 신체가 함유하고 있는 지방질의 비율이 정상보다 높은 것을 의미하며[1], 체지방(Lean body mass)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하조직 및 기타조직에 지방이 과잉축적 된 상태를 의미한다[2].
비만이 심혈관질환의 위험 및 사망의 주요요인으로 보는 이유는? 비만을 건강문제로 인식하는 이유는 심혈관질환의 주요 예측인자이기 때문이다. 체질량지수가 29.0kg/㎡ 초과인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심혈관질환의 발생이 4배 이상 증가하였으며[6], 체질량 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관상동맥질환 위험도, 고혈압 유병률,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수치가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6,7]. 국내 연구 결과를 보면 각종 만성 퇴행성 질환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8], 비만이 심혈관질환의 위험 및 사망의 주요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shton WD, Nanchahal K, Wood DA, "Body mass index and metabolic risk factors for coronary heart disease in women", European Heart Journal, Vol. 22, No. 1, pp. 46-55, 2001. 

  2. Tutal V, Akcinar F, "Malnutrition / Obesity prevalence in children between the ages 3 and 6 and mother-child BMI re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Academic Research, Vol. 5, Issue 5, pp. 202-205, 2013. 

  3. WHO Expert Consultation, "Appropriate-body mass index for Asian populations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intervention strategies", Lancet, Vol. 363, pp. 157-163, 2010. 

  4.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Obesity the global epidemic, Retrieved October 15, 2012, from http://www.iaso.org/iotf/obesity/obesitytheglobalepidemic/ 

  5. Jacobs EJ, Newton CC, Wang Y, Patel AV, McCullough ML, Campbell PT, Thun MJ, Gapstur SM, "Waist circumference and all-cause mortality in a large US cohort", Arch Intern Med, Vol. 170, No. 15, pp. 1293-1301, 2010. 

  6. Strasser B, Arvandi M, Pasha EP, Haley AP, Stanforth P, Tanaka H, "Abdominal obesity is associated with arterial stiffness in middle-aged adults", Metabolism and Cardiovascular Diseases, Vol. 25, Issue 5, pp. 495-502, 2015. 

  7. Kang JH,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obesity in primary care", J Korean Acad Fam Med, Vol. 18, No. 9, pp. 882-896, 1997. 

  8. Delavar MA, Lye MS, Hassan ST, Khor GL, Hanachi P, "Physical activity, nutrition, and dyslipidemia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 40, No. 4, pp. 89-98, 2011. 

  9. Kang JH, Kim KA, Cho YG, Chun JY, Kim OH, "Effect of visceral obesity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Korean J Obes, Vol. 15, No. 4, pp. 175-186, 2006. 

  10. WHO,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on obesity, pp. 7-11, 1997. 

  11. Ministry of health & welfare.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10(KNHANES V-1)", 2011. 

  12. Noh JW, Kwon YD, Park JM, Kim JS, "Body mass index and depressive symptoms in middle aged and older adults", BMC Public Health, Vol. 15, Issue 1, pp. 1-7, 2015. 

  13. Wilfred YF, Richard WB, Edward JB, Donna LL, Laura LNM, Patricia WW, "Susceptibility to development of central adiposity among populations", Obesity Research, Vol. 3, Suppl. 2, pp. 179-186, 1995. 

  14. Lee MS, Nho HS, "Characteristics of lipid metabolism during and after a bout of prolonged exercise in two types of obese women",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Vol. 16, No. 2, pp. 64-73, 2005. 

  15. Park MJ, Yun KE, Lee GE, Cho HJ, Park H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 adults", Korean J Obes, Vol. 15, No. 1, pp. 10-17, 2006. 

  16. Zhu S, Wang Z, Heshka S, Heo M, Faith MS, Heymsfield SB, "Waist circumference and obesity-associated risk factors among whites in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linical action thresholds", Am J Clin Nutr, Vol. 76, No. 4, pp. 743-749, 2002. 

  17. Amano S, Tsubone H, Hanafusa M, Yamasaki T, Nishizaka S, Yanagisawa H, "Original article: Physical and physiological effectiveness of an overall health care program for middle-aged japanese women with mild obesity: A pilot study", Journal of Traditional and Complementary Medicine, Vol. 5, No. 2, pp. 88-95, 2015. 

  18. Park HS, Kim PN, "Lifestyle factors associated with visceral fat accumulation by CT scan in korean obese adults", Korean J Obes, Vol. 11, No. 4, pp. 337-344, 2002. 

  19. Dallongeville J, Ruidvets JB, Cottel D, Haas B, Ferrieres J, Ducimetiere P, Arveiler D, Amouyel P, Bingham A, "Household Income i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a sex-specific manner", Diabetes Care, Vol. 28, No. 2, pp. 409-415,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