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인지론과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한 저소득층 아동 대상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Low-income Family Children by applying the Social Cognitive Theory and Health Belief Model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0 no.3, 2015년, pp.165 - 177  

이샛별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정유리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안효진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안민지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유수아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강남이 (을지대학교 보건산업대학 식품영양학과) ,  오세영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Based on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low-income children, we developed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school-aged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according to effective use in social welfare centers. Methods: We conducted in-depth group interviews to assess prog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저소득층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아침 결식률이 높고 영양지식이 부족하며 식생활에 대해 부정적 신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사기록법에 의한 영양소 섭취량도 일반아동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하여 저소득층 아동이 식습관을 변화하지 않을 경우 질병 가능성을 알려 심각성을 인지하도록 하였으며 아동이 식행동 수정 시 얻게 되는 이득을 알려주고 아동이 행동을 추진할 수 있도록 자아 효능감과 계기를 제공해주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사회복지관과 지역아동센터 기관을 이용하는 아동들을 중심으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기관들은 대상 아동들의 주거지역과 인접해 있어 위치적으로 유리하며 사설 학원 이용이 어려운 아동을 위하여 급식 또는 교육 프로그램을 종종 제공하고 있어 [6] 아동의 식생활 개선을 위한 교육 장소로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 본 연구는 사회복지관을 주로 이용하는 저소득층 아동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해 아동의 환경을 고려한 적합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사, 보호자, 아동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와 함께 건강신념모델과 사회인지이론을 적용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총 5차시로 개발하였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저소득층 가정의 아동들이 주로 이용하는 사회복지관에서 식품영양 비전공자인 사회복지사가 복지시설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적절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저소득층 아동을 중심으로 한 환경적 요인 중의 하나인 사회복지사와 아동 보호자의 관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은 물론 사회복지사, 아동 보호자 등을 대상으로 요구도 분석 과정을 거쳤으며 분석 방법으로는 질적 연구 방법 중의 하나인 심층면접 방법을 실시하였고 이 결과를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저소득층 아동의 환경을 고려하고 아울러 영양교육의 이론적 근거에 기반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관련 기관에서 해당 아동들에게 바른 식생활을 실천하게 할 수 있는 교육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학습능력 향상을 고려하여 계획단계에서 저소득층 아동을 위한 교과기반 통합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시도하였다. 하지만 심층면접 진행을 위한 사회복지사와의 사전 예비조사 단계에서 교과기반 통합교육보다는 아동의 자신감과 성취감 향상에 초점을 맞춘 영양 프로그램 개발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이에 합당한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초점을 맞추었다.
  • 이에 본 연구는 학습능력 향상을 고려하여 계획단계에서 저소득층 아동을 위한 교과기반 통합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시도하였다. 하지만 심층면접 진행을 위한 사회복지사와의 사전 예비조사 단계에서 교과기반 통합교육보다는 아동의 자신감과 성취감 향상에 초점을 맞춘 영양 프로그램 개발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이에 합당한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초점을 맞추었다.
  • 행동적 요인에서는 ‘식품기’, ‘식재료 깨끗이 손질하기’, ‘건강에 좋은 간식 만들어 시식해보기’ 등을 통해 행동능력을 실천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확인하게 하였고, ‘편식을 줄이는 방법 찾아보기’ 등을 통해 자기 통제력 증진을 목표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소득층 아동을 위한 사회복지시설로 무엇이 있는가? 현대사회는 실업률 증가, 비정규직 노동자 증가와 더불어 편부모 가구 및 여성 가구주의 증가 등으로 저소득층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경제적 변화로 인해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가정이 늘어 빈공아동의 수도 증가하였다 [1]. 저소득층 아동을 위한 사회복지시설로는 지역아동센터와 사회복지관이 있으며 지역아동센터는 2013년 6월 기준으로 4,036개소, 사회복지관은 2013년 기준 438개소가 있다 [2,3]. 사회복지관과 지역아동센터 등을 이용하는 아동들은 기초생활수급권 25.
기존에 개발된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특징은 무엇인가? 기존에 개발된 영양교육 프로그램은 대부분 일반 초등학생 대상에 치중되어 있다 [7-10]. 주로 학교에서 진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고 주요 교육내용은 식생활 습관 분석, 식품 선호도 조사, 영양교육 및 학교급식의 실태, 비만 아동의 실태 및 식습관 등을 포함하고 있다 [4, 11]. 반면 국내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은 지역아동센터나 대한영양사협회 등 공공 기관과 민간기관에서 일부 제시하였으나 구체적 프로그램 개발 근거와 타당도 평가에 대한 내용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우리나라 저소득층 아동 건강, 영양관련 사업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 우리나라 저소득층 아동 건강, 영양관련 사업으로는 1989년부터 시작된 보건복지부의 아동급식지원사업과 2011년 한국건강증진재단이 시범적으로 운영하기 시작한 취약아동 과일제공 및 영양교육 시범사업 등이 있다. 이 외에 국내 각 부처에서 저소득층 아동 대상의 건강관리 사업이 일부 시행되고 있으나 대부분 단기적 시범사업으로 진행되고 있어 장기적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im HR, Lee SH, Choi JM, Oh YI. Children's obesity and underweight among low income families in Korea: status, implications and policy options [Internet].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1 [cited 2015 May 3]. Available from: https://www.kihasa.re.kr/. 

  2. Headquarters for Community Child Center. National community children welfare center status survey [Internet]. 2014 [cited 2015 May 3]. Available from: http://www.icareinfo.info/. 

  3. Korea Association of Social Welfare Centers. Projected population [Internet]. 2014 [cited 2014 May 10]. Available from: http://www.kaswc.or.kr/. 

  4. Jung KA. The review of the researches on the nutritional education state in the elementary school. J Korean Practical Arts Educ 2013; 19(1): 117-145. 

  5. Kim HK, Yun CH, Lee EH, Lee KI, Moon CS, Lee YH et al.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low income children in underserved area.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2007 Mar. 

  6. Kim HS. A user satisfaction and needs survey a child education program of social service center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12. 

  7. Hyon SM, Kim JW. Improvement of dietary attitudes of elementary students by nutrition labeling education. Korea J Community Nutr 2007; 12(2): 168-177. 

  8. Han HM, Lee SS.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the application for the elementary students - focused on sugar intake education -. J Korean Practical Arts Educ 2008; 21(2): 111-131. 

  9. Suh YS, Chung YJ.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the improvement of psychosocial factors related to vegetable and fruit intak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pre-action stages. Korean J Nutr 2010; 43(6): 597-606. 

  10. Kim YS, Lee MJ.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through social cognitive theor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the nutrition education of sugar intake -. Korean J Food Nutr 2011; 24(2): 246-257. 

  11. Kim HH, Park YH, Shin EK, Shin KH, Bae IS, Lee YK. Students' and parents' perceptions of nutri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6; 35(8): 1016-1024 . 

  12. Kim MS, Bae HO. Child poverty in Korea: Its magnitude and causes. Korea Inst Health Soc Aff 2007; 27(1): 3-26. 

  13. Lim ES, Cho YS, Kim SN, Kim SB. Development and effects' analysis of nutrition education pamphlet for the higher grades elementary students - Focused on individual daily needed food exchange units -. J Community Nutr 2012; 17(6): 689-706. 

  14. Ahn SH, Kim HK, Kim KM, Yoon JS, Kwon JS.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consumers to reduce sodium intake applying the social cognitive theory -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s -. Korean J Community Nutr 2014; 19(4): 342-360. 

  15. Lee IS, Shin EK. A study on the conceptualization of disability identity. Korean J Health Psychol 2005; 10(4): 509-530. 

  16. Choi EH, Son YB, Kim HJ.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ren center. J Korea Counc Child Rights 2008; 12(2): 135-159. 

  17. Kim JH, Kim YS, Kim Y, Kang MS.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factors affecting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of school children and adolescents : Findings from focus - group interviews with school nutrition teachers and nutritionists -.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013; 24(4): 567-581. 

  18. Nam KH, Kim YM, Lee GE, Lee YN, Joung HJ. Physical development and dietary behaviors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of seou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6; 11(2): 172-179. 

  19. Jang HB, Park JY, Lee HJ, Kang JH, Park KH, Song JH.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socioeconomic level, overweight, and eating habits with diet quality in Korean sixth grade 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2011; 44(5): 416-427. 

  20. Park S, Song SM, Lee YH. The influence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poverty and comparative groups.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011; 22(3): 407-416. 

  21. Jung KA. The review of the researches on the nutritional education state in the elementary school. J Korean Practical Arts Educ 2013; 19(1): 117-145. 

  22. Park EY, Han SN, Kim HK. Assessment of meal quality and dietary behaviors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by diet records and interviews. Korean J Food Nutr 2011; 24(2): 145-152. 

  23. Lim SA. Investigating low-and high-income group differences in the academic achievement: longitudinal effects of cognitive readiness and parent's expectation and involvement. J Child Educ 2012; 21(4): 319-335. 

  24. Lee YJ, Bae JH. A study on the necessity for hygiene education for children at the Gyeongbuk community children center. Korean J Food Nutr 2011; 24(4): 577-588. 

  25. Her ES. Development of dietary life education textbook and teaching for creative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3): 203-2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