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추의 증숙처리가 착즙액 분무건조 분말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eam blanching pretreatment on quality of spray-dried powders prepared from pressed juice of garlic chive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2 no.3, 2015년, pp.385 - 391  

정헌식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한수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동섭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영근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성종환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부추를 활용한 가용성 분말 제조에 적합한 공정 개발의 일환으로, 부추원료의 증숙처리 유무와 착즙액의 분무건조 부형제 종류에 따른 분말제품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생부추를 세척, 탈수, 절단 후 증숙처리($100^{\circ}C$, 3분)하거나 무처리한 다음 착즙하여 액을 얻고 여기에 부형제로 dextrin(DE=10)이나 ${\beta}$-cyclodextrin를 5% 첨가하고 분무건조하여 분말을 각각 제조하였다. 부추의 증숙처리는 착즙액 분무건조 분말의 $L^*$값은 높게 하였지만 $-a^*$값, $b^*$값, $C^*$값, $h^o$값은 낮게 하는 효과를 보였다. 분말의 수분함량과 수용성지수는 증숙처리와 부형제의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입자크기는 증숙처리와 dextrin 첨가구에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말의 클로로필, 총페놀, 비타민 C 함량은 증숙처리구보다 무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부형제 종류별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DPPH 유리기 소거능은 증숙처리에 의해 낮아지며 무처리구에서는 ${\beta}$-cyclodextrin 첨가구가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증숙처리구의 관능적 색, 냄새, 종합 기호도는 무증숙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부형제의 영향은 크게 보이지 않았다. 이로써 부추 착즙액의 분무건조 분말의 품질은 착즙 전 증숙처리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부추 고유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유지에는 무처리가, 관능적 기호도를 고려할 경우에는 증숙처리가 유효한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pray-dried garlic chives (Allium tuberosum) powder and to evaluate its quality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treatment of steam blanching pretreatment $100^{\circ}C$, 3 min) and the addition of forming agents (dextrin (DE=10), ${\be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추를 이용한 건강기능성, 기호성 및 편의성을 갖춘 다목적 가용성 분말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일환으로, 착즙 전 증숙 열처리 유무와 분무건조 부형제 종류에 따른 착즙액 분말의 품질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추의 원산지와 주 재배지는 어디인가? 부추(Allium tuberosum)는 수선화과(Amaryllid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이며, 동아시아 지역이 원산지와 주재배지이고, 식용부위에 따라 엽용부추, 화용부추, 근용부추로 나누고 재배시기에 따라 시설재배(11~3월)하는 겨울부추와 노지재배(4~10월)하는 여름부추로 구분한다(1). 국내 엽용부추의 연간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각각 2,784 ha와 107,114 톤이며 이중 약 71%가 시설재배 부추이다.
부추의 착즙 전 증숙처리 유무와 착즙액의 분무건조시 첨가한 부형제의 종류(dextrin(DE=10), β-cyclodextrin)에 따른 분무건조 분말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명도는 어떻게 나왔는가? 부추의 착즙 전 증숙처리 유무와 착즙액의 분무건조시 첨가한 부형제의 종류(dextrin(DE=10), β-cyclodextrin)에 따른 분무건조 분말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는 Table 1에 나타내었다.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증숙 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증숙 처리구 중에서는 β-cyclodextrin 첨가구가, 무처리구 중에는 dextrin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다소 높은 값을 각각 보였다. 이러한 증숙처리한 부추 착즙액 분무건조 분말의 명도가 높은 결과는 식염열수로 데침처리한 곰취 착즙액 분무건조 분말의 경우(24)와 유사하였다.
부추란 무엇인가? 부추(Allium tuberosum)는 수선화과(Amaryllid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이며, 동아시아 지역이 원산지와 주재배지이고, 식용부위에 따라 엽용부추, 화용부추, 근용부추로 나누고 재배시기에 따라 시설재배(11~3월)하는 겨울부추와 노지재배(4~10월)하는 여름부추로 구분한다(1). 국내 엽용부추의 연간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각각 2,784 ha와 107,114 톤이며 이중 약 71%가 시설재배 부추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hn JM, Lee SH, Song YS (2001) Biological functions in leek. Food Indus Nutr, 6, 68-73 

  2. Lee MJ, Ryu BM, Lee YS, Moon GS (2002) Effect of long term Buchu (Chinese chives) diet on antioxidative system of ICR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834-839 

  3. Ahn MS, Kim HJ, Seo MS (2005)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three species of leeks (Allium tuberosun R.) ethanol extracts. Korean J Food Culture, 20, 186-193 

  4. Lee EH, Jang KI, Bae IY, Lee HG (2011) Antibacterial effects of leek and garlic juice and powder in a mixed strains system.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518-523 

  5. Park SY, Kim JY, Park KW, Kang KS, Park KH, Seo KI (2009) Effects of thiosulfinates isolated from Allium tuberosum L. on the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003-1007 

  6. Lee MY (2001) Inhibitory effect of leek green juice on CCl4-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02-106 

  7. Hong SA, Wang SG (2000) Effects of Korean leek and dietary fat on plasma lipids and platelet aggregation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Korean J Nutr, 33, 374-385 

  8. Moon GS, Ryu BM (2003)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Buchu (Chinese chives) harvested at different tim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493-498 

  9. Kwak YJ, Kim JS (2009) Changes of chlorophyll and SOD-like activities of Chinese chives dehydrated at different heat treatm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879-884 

  10. Jung HS, Noh KH, Go MK, Song YS (1999) Effect of leek (Allium tuberosum) powder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rea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13-117 

  11. Kim CB, Lee SH, Kim MY, Yoon JT, Cho RK (2002) Effect of the addition of leek and dropwort powder on the quality of noodles. Korean J Food Preserv, 9, 36-41 

  12. Bae YJ, Hong JS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added with Buchu (Allium tuberosum R.) powder during storag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827-833 

  13. Ryu SY, Jung HS, Park SH, Shin JH, Jung HA, Joo N (2008) Optimization of muffins containing dried leek powde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Diet Assoc, 14, 105-113 

  14. Kwak YJ (2008) Effect of Chinese chives addition on retrogradation rate and storage stability of frozen noodle. Korean J Food Nutr, 21, 510-517 

  15. Lim EJ, Huh CO, Kwon SH, Yi BS, Cho KR, Shin SG, Kim SY, Kim JY (2009)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dded leek (Allium tuberosum Rottler) powder. Korean J Food Nutr, 22, 1-7 

  16. Cho KR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added with leek (Allium tuberosum Rottler) powder. Korean J Food Nutr, 23, 478-484 

  17. Mendes LC, De Menezes HC, Aparecida M, Da Silva AP (2001) Optimization of the roasting of robusta coffee (C. canephora conillon) using acceptability tests and RSM. Food Qual Prefer, 12, 153-162 

  18. Lee CY (1975) New blanching techniques. Korean J Food Sci Technol, 7, 100-106 

  19. Lee HO, Kim JY, Kim GH, Kim B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ozen Aster scaber according to various blanching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246-253 

  20. Reinccius GA (1991) Carbohydrates for flavor encapsulation. Food Technol, 45, 144-150 

  21. An DS, Woo KL, Lee DS (1997) Processing of powdered jujube juice by spray dry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81-86 

  22. Bae EK, Kim GH (2008) Encapsulation of avocado oil using spray dry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303-310 

  23. Mok C, Lee S (2005) Effect of dextrin on spray drying of brown rice/green tea. Food Eng Prog, 9, 237-241 

  24. Kim JW, Park IK, Youn KS (2013) Phytochemical compound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ray-dried powders with the blanching condition and selected forming agents from pressed extracts of Ligularia fischeri leaves. Korean J Food Preserv, 20, 659-667 

  25. Phillips RD, Chinnan MS, Granch AI, Miller J, Mcwatters KH (1998) Effects of pre-treatment on function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cowpea meal. J Food Sci, 53, 805-809 

  26. AOAC (2003)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l. 17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7. Singleton VL, Rossi J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gents. Am J Enol Vitic, 16, 144-158 

  28.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4 

  29. Jung JY, Lim JH, Jeong EH, Kim BS, Jeong MC (2007) Effects of blanching conditions and salt concentrations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Aster scaber. Korean J Food Preserv, 14, 584-590 

  30. Choi NS, Oh S, Lee JM (2001) Changes of biologically functional compounds and quality properties of Aster scaber by blanch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745-752 

  31. Son HK, Kang ST, Jung HO, Lee JJ (2013)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after blanching. Korean J Food Preserv, 20, 628-635 

  32. Kim MH, Jang HL, Yoon KY (2012)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aetsun vegetables by blanch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647-654 

  33. Kim JA, Lee JM (2004)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Hizikia fusiformis with blanching time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 219-2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