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흑찰미 식초 제조를 위한 초산균주 동정 및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properties and identification of acetic acid bacteria for black waxy rice vinegar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2 no.3, 2015년, pp.443 - 451  

이경은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소망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허창기 ((재)임실치즈과학연구소) ,  조인경 (남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용두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흑찰미를 이용한 식초를 개발하기 위해 초산생성능이 우수한 초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여 균주별로 제조한 식초의 품질특성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산 생성력이 우수한 균주를 선정하기 위해 초산균 분리용 평판배지에 도말하여 8종의 균주를 순수 분리하였으며, 이들 균주와 시판균주 2종의 초산 생성능을 확인한 결과 가장 높게 나타난 시판균주 2종, 분리균주 F-1 및 H-4를 식초 발효 균주로 선정하였다. 분리균주의 종을 확인하기 위해 16S rR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분리균주 모두Acetobacter 속으로 동정되었으며, F-1 및 H-1 균주를 Acetobacter sp. F-1, Acetobacter sp. H-1으로 명명하였다. 초산균 균주를 달리하여 제조한 흑찰미식초의 산도 변화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발효 16일까지 꾸준히 높아지다가 일정한 산도를 유지하였으며 시료구간의 최종 산도는 FV-1 식초의 총산 함량이 7.4%로 가장 높았다. 색도의 경우 L값 75.01~80.11, a값 3.34~3.92, b값 12.84~18.09 범위로 나타났다. 균주별 흑찰미식초의 주요 유기산은 acetic acid으로 나타났으며 총 유기산 함량은 HV-4, FV-1, CV-2 및 CV-1 식초 순으로 나타났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분리균주 F-1 식초가 351.43 mg%으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균주 C-2 식초가 247.74 m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균주에 따른 흑찰미식초의 관능평가 결과는 분리균주 H-4로 제조한 식초는 전반적으로 낮은 기호도를 보였으며, 분리균주 F-1로 제조한 식초가 향, 색 및 종합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가장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낸 F-1 균주가 흑찰미식초 제조에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identification of acetic acid bacteria for black waxy rice vinegar. Eight (8) strains of ace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or the production of acetic acid and their acidities were then compared with commercial acetic acid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활용가치가 높은 유색미의 이용성을 증진하기 위해 천연 흑찰미식초를 개발하고자 진행하였으며, 초산 발효에 적합한 균주를 선발하여 비교함으로써 고품질의 흑찰미식초 제조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90년대 이후 국내 식초 산업의 동향은? 현재 국내 식초 산업은 단순 조미료인 빙초산을 희석한 합성식초가 주를 이루다가 1969년 한국농산에서 사과식초를 출시하면서 양조식초 산업이 급격히 늘어났으며, 1980년대부터는 주정을 희석하여 과즙, 무기염을 첨가한 양조식초의 소비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부터는 건강지향적인 웰빙식품을 선호하는 소비패턴의 고급화로 식초 시장의 트렌드가 단순 조미용보다는 건강용 식초로 변화되면서 첨가물을 사용하지 않고 100% 과실 및 곡물 함유량이 높은 생쌀발효 흑초와 같은 고품질 천연양조식초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11).
특수미란? 쌀의 기능 성분을 유전 육종적으로 개발하여 특수 기능성 성분 함량이 높은 품종을 특수미라 부르는데, 유색미(pigmented rice, Oryza sativa var.)는 이 특수미의 한 종류로 과피에 적갈색이나 자색 등의 색소를 지닌 쌀로서 그 색깔에 따라 적미, 혹은 흑미로 불리기도 한다(1).
유색미에 함유된 안토시아닌 성분은 무엇이 있는가? 유색미는 일반미에 비해 미질이나 식미의 측면에서 떨어지지만 생육이 왕성하고 다수확성이며, 발아력 및 저장성 뿐만 아니라 cyanidin-3-glucoside 및 malvidin-3-glucoside 등과 같은 안토시아닌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일반미 보다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3). 국립식량과학원(4)에서 유색찰 우량계통과 흑자색 유색미를 교배하여 개발한 보석흑찰은 현미 종피가 진한 흑자색이며 배유는 찰성을 가진 쌀로 특유의 색소 성분 때문에 품질의 다양화와 가공을 위한 재료가 되는데, 색소 이외에도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등 영양적 가치가 보통의 흰쌀 품종에 비해 월등히 높아 특수용도미로서 이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im JD, Kim K, Eun JB (1999) Storage of black rice using flexible packaging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58-163 

  2. Kim JS (1997) Using specialty rice cooked foods development. Rural Living Sci, 18, 5-8 

  3. Han SJ, Ryu SN, Park SZ, Kim HY (2004) Analysis of cyanidin 3-glucoside in blackish purple rice. J Crop Sci Biotech, 49, 97-101 

  4. Lee JH, Lee SB, Kim HY, Yang CI, Kim MK, Jeon YH, Lee KS, Kim YG, Jeong OY, Hwang HG, Choi YH, Yang SJ, Cho YC, Oh SK, Yea JD, Lee JH, Won YJ, Lee JI (2011) A new black pericarp, medium-ripening glutinous rice cultivar "Boseogheugchal". Korean J Breed Sci, 43, 600-605 

  5. Gu D, Meiyu X (1992) A study on special nutrient of purple black glutinous rice. Scientia Agric Sinica, 25, 36-41 

  6. Jeong YJ, Lee MH (2000) A view and prospect of vinegar industry. Food Ind Nutr, 5, 7-12 

  7. Kim GR, Yoon SR, Lee JH, Yeo SH, Kim TY, Jeong YJ, Yoon KY, Kwon JH (2009) Quality comparison of commercial brown rice vinegar fermented with and without ethanol. Korean J Food Preserv, 16, 893-899 

  8. Yoon HN (1998) Simultaneous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of ethanol and acetic acid in vinegar.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247-1251 

  9. Hwan SH, Hong JH, Jeong YJ, Youn KS (2002) Effects of the proportions of wall materials on the characteristics of spray dried vinegar. Korean J Food Preserv, 9, 189-193 

  10. Baek CH, Jeong DH, Baek SY, Choi JH, Park HY, Choi HS, Jeong ST, Kim JH, Jeong YJ, Kwon JH, Yeo S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farm-made brown rice vinegar via traditional static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20, 564-572 

  11. Jeong YJ (2009) Current trends and future prospects in the Korean vinegar industry. Food Sci Ind, 42, 52-59 

  12. Wan M, Rosenberg JN, Faruq J, Betenbaugh MJ, Xia J (2011) An improved colony PCR procedure for genetic screening of chlorella and related microalgae. Biotechnol Lett, 33, 1615-1619. 

  13. Gancedo MC, Luh BS (1986) HPLC analysis of organic acids and sugar in tomato juice. J Food Sci, 51, 571-580 

  14. Ohara I, Ariyoshi S (1979) Comparison of protein precipitants for the determination of free amino acid in plasma. Agric Biol Chem, 43, 1473 

  15. Duncan DB (199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 Biometrics, 11 

  16. Keum JH (1999) Studies on garlic and pumpkin vinegar. Korean J Food Nutr, 12, 518-522 

  17. Mo HW, Jung YH, Jeong JS, Choi KH, Choi SW, Park CS, Choi MA, Kim ML, Kim MS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vinegar fermented using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441-449 

  18. Kim KO, Kim SM, Kim SM, Kim DY, Jo DJ, Yeo SH, Jeong YJ, Kwon JH (2013)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mmercial fruit vinegars with different fermentation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736-742 

  19. Ha TY, Park SH, Lee CH, Lee SH (1999) Chemical composition of pigmented rice varie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336-341 

  20. Sim GS (1984) Metabolism and health of vinegar. Food Sci Ind, 17, 51-59 

  21. Furukawa S, Udea R (1963) Studies on non-volatile organic acid in vinegar, contents of non-volatile organic acid in commercial vinegars. J Ferment Technol, 41, 14-19 

  22. Lee YC, Jang OY, Kim HW, Choi CU, Yoon SK (1999)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vinegars in andong province. Korean J Dietary culture, 14, 17-20 

  23. Lee MK, Kim YM, Park JS, Na HS (2012)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pigmented rice. Korean J Food Preserv, 19, 235-242 

  24. Yulkimichi K, Yasuhiro U, Fujihara Y (1987) The general composition inorganic cations free amino acids and organic acid of special vinegars.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4, 592-598 

  25. Joo KH, Cho MH, Park KJ, Jeong SW (2009) Effects of fermentation method and brown rice content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vinegar. Korean J Food Preserv, 16, 33-39 

  26. Baek CH, Jeong DH, Baek SY, Choi JH, Park HY, Choi HS, Jeong ST, Kim JH, Jeong YJ, Kwon JH, Yeo S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farm-made brown rice vinegar via traditional static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20, 564-5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