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욕초기 산모의 산후우울에 자기효능감, 신체상, 가족지지가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 Efficacy, Body Image and Family Support on Postpartum Depression in Early Postpartum Mothers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6, 2015년, pp.4011 - 4020  

이지원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  어용숙 (동의대학교 간호학과) ,  문은혜 (좋은문화병원 간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산욕초기 산모의 산후우울 정도를 확인하고, 산후우울에 자기효능감, 신체상 및 가족지지가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산후우울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한 산부인과 전문병원에 입원하여 출산한 지 1주일 이내의 산욕초기 산모를 근접모집단으로 하였으며, 최종 대상자는 306명이었다. 2013년 1월부터 4월까지 자기효능감, 신체상, 가족지지 및 산후우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통계검정은 SPSS 20.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산후우울 점수는 평균 6.09점(30점 만점)이었고, 산후우울은 일반적 특성 및 산과적 특성 중 월평균, 결혼만족도, 임신계획여부, 임신 중 정서상태, 수유형태, 남편의 가사보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산후우울은 자기효능감, 신체상, 가족지지와 부적상관관계가 있으며, 산후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신체상, 임신중 정서상태, 가족지지이었고, 이들이 산후우울을 38.4%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산욕초기 산모의 산후우울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긍정적 신체상을 갖도록 도와주고, 가족지지 체계를 강화할 것이 요구된다. 특히 임신 중 정서상태가 불안했던 산모의 산후우울을 면밀히 사정하여 적절한 중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elf efficacy, body image and family support affect on postpartum depression in early postpartum mothers. The data was collected 306 mothers on the first week after delivery from one hospital located in B city. The instruments were a survey of general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상과 같은 고찰을 통해 산후우울에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자기효능감, 신체상 및 가족지지의 영향을 동시에 확인한 연구는 확인할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산후 1주까지의 산욕초기 산모를 대상으로 산후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산후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심리적 특성으로 자기효능감과 신체상을, 사회적 요인으로 가족지지를 함께 고려하여 이들과의 관계 및 자기효능감, 신체상, 가족 지지가 산후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는 분만 후 병원에 산모가 입원해 있는 동안 산후우울의 위험이 있는 산모를 조기발견하여 중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후우울의 가장 중요한 예측인자는 무엇인가? 가족지지는 산후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으로 밝혀지고 있는데, 가족지지, 부부관계의 질, 부정적 생활사건, 양육스트레스, 자존감의 5개 변수의 산후우울 예측정도를 검증한 연구에서 가족지지가 산후우울의 가장 중요한 예측인자로 나타났다[8]. 산모의 산후우울에 대한 경로분석을 실시한 연구에서는 남편의 지지가 사회적 지지를 강화시키고, 사회적 지지가 산후우울을 감소시키는 경로를 확인하였다[13].
산후우울이 무엇인가? 산후우울은 분만 후 발생하는 부정적인 정서를 말하며, 정상적인 분만과정을 경험한 산모라 할지라도 발병할 수 있는 질환으로서 전체 산모 중 2-15%가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산후우울은 산모자신에게 신체적 증상인 체중변화, 정서적 불안정, 무기력증과 같은 변화가 나타날 뿐 아니라 아기와의 애착형성 방해 및 모성역할 부적응으로 이어져 영아의 성장발달과 건강에 매우 해로운 영향을 미치게 된다[2].
외모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현시대 상황에서 신체상이 산후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는 이유는? Danielle과 Jennifer의 연구[17]에 의하면 산모의 신체상에 대한 만족도는 임신 시기 뿐 아니라 산욕기 우울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주는 인자로 밝혀졌다. 즉, 신체상이 나쁠수록 우울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모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현시대 상황에서 신체상이 산후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E. G. You, N. M. Kang, M. H. Kim, S. A. Kim, S. J. Kim, "Maternity women health nursing II", Seoul, Hyunmoonsa. 2008. 

  2. M. K. Kwon, H. W. Kim, N. S. Kim, J. A. Jang, "Postpartum depression and maternal role confidence, parenting stress, and infant temperament in mothers of young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2, 3, pp. 314-321, 2006. 

  3. S. O. Meadows, S. S. McLanahan, J. Brooks-Gunn, "Parental depression and anxiety and early childhood behavior problesm across family typ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9, 5, pp. 1162-1177, 2007. DOI: http://dx.doi.org/10.1111/j.1741-3737.2007.00439.x 

  4. S. N. Vigod, L. Villegas, C. L. Dennis, L. E. Ross,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postpartum depression among women with preterm and low-birth-weight infants: a systematic review", An International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gy, 117, 5, pp. 540-550, 2010. DOI: http://dx.doi.org/10.1111/j.1471-0528.2009.02493.x 

  5. Z. N. Stowe, A. L. Hostetter, D. J. Newport, "The onset of postpartum depression: implications for clinical screening in obstetrical and primary care",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92, 2, pp. 522-526, 2005. DOI: http://dx.doi.org/10.1016/j.ajog.2004.07.054 

  6. C. T. Beck, R. K. Gabl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formance of the postpartum depression screening scale with two other depression instruments", Nursing Research, 50, 4, pp. 242-250, 2001. DOI: http://dx.doi.org/10.1097/00006199-200107000-00008 

  7. S. O. Lee, J. H. Yeo, S. H. Ahn, H. S. Lee, H. J. Yang, M. J. Han, "Postpartum depressive score and related factors pre- and post-deliver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of Nursing16, 1, pp. 29-36, 2010.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0.16.1.29 

  8. Y. J. Park, H. J. Shin, H. S. Ryu, S. H. Cheon, S. H. Moon, "The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5, pp. 722-728, 2004. 

  9. Y. M. Ahn, J. H. Kim, "Comparison of maternal self-esteem, postpartal depression, and family function in mothers of normal and of low birth-weight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 5, pp. 580-590, 2003. 

  10. C. A. T. Beck,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an update", Nursing Research, 50, 5, pp. 275-285, 2001. DOI: http://dx.doi.org/10.1097/00006199-200109000-00004 

  11. J. H. Youn, I. S. Jeong,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prospective cohort stud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 2, pp. 225-235, 2013.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3.43.2.225 

  12. J. H. Yeo, "Postpartum depression and its predictors at six months postpart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12, 4, pp. 355-362, 2006. 

  13. K. S. Kim, "The effect of self-efficacy, social support on postpartum depression in mot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012. 

  14. E. S. Choi, K. E. Lee, "Relationships between body shape, body image and health complaints in women registered at a facility for managing body shap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an's Health Nursing, 3, 2, pp. 169-180, 1998. 

  15. B. H. Kim, H. W. Jeon, Y. Jung, "Relationship between postpartum depression and body image in postpartum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 6, pp. 906-916, 2002. 

  16. E. S. Park, "A study on burden and depression of the spouses talking care of CVA patients and their adapt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1999. 

  17. S. D. Danielle, M. Jennifer, M. A. DiNallo, L. Tiffany, B. S. Kirner, "Determinants of pregnancy and postpartum depression: prospective influences of depressive symptoms, body image satisfaction, and exercise behavior",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36, 1, pp. 54-63, 2008. DOI: http://dx.doi.org/10.1007/s12160-008-9044-9 

  18. J. L. Cox, J. M. Holden, R. Sagovsky, "Detection of postnatal depression, development of the 10 item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50, pp. 782-786, 1987. DOI: http://dx.doi.org/10.1192/bjp.150.6.782 

  19. K. W. Han, M. J. Kim, J. M. Park, "The Edinburg Postnatal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 reliability and valid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10, 2, pp. 201-207. 2004. 

  20. R. P. Lederman, C. G. Weingarten, E. Lederman, "Postpartum self evaluation questionnaire: measures of maternal adaptation", Birth Defects Original Article Series, 22, 6, pp. 201-231, 1981. 

  21. J. H. Ahn, "A study on body image and self esteem for the hemodialysis patient", Unpublished master thesis, Ewha Womans Unviersity, Seoul, 1996. 

  22. J. W. Park, "A study of the developmental instrument for social suppo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ensei University, Seoul, 1985. 

  23. J. S. Won, H. Cho, "The effect of community based mental health rehabilitation program on perceived family support of mentally ill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7, 1, pp. 187-198, 1998. 

  24. K. S. Bang, H. J. Kang, M. K. Kwon, "Relation of postpartum depression with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reterm infants and mother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1, 1, pp. 1-10, 2015. DOI: http://dx.doi.org/10.4094/chnr.2015.21.1.1 

  25. J. Y. Hwang, Y. K. Kim, S. B. Koh, C. K. Huh, J. D. Park, "A clinical study on the postpartum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Gynecology, 42, pp. 1508-1512, 1999. 

  26. A. L. Ryu, T. H. Kim, H. H. Lee, "Evaluation of risk factors for the postpartum depression with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EPDS) score",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 21, 1, pp. 74-80, 2010. 

  27. E. J. Jang, "Psychosocial and obstetric factors associated with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Unpublished master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2008. 

  28. M. H. Jung, J. I. Kim,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prenatal social support and postpartum blue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1, 1, pp. 38-45, 2005. 

  29. Y. Y. Jung, H. W. Kim, "Factors associated with postpartum depression and its influence on maternal identit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 1, pp. 29-37, 2014.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4.20.1.29 

  30. S. E. Lee, "A study of the postpartum weight retention, BMI, and body image in postpartum women", The Symposium of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5, pp. 198-199, 2004. 

  31. E. J. Kim, Y. H. Seo, "A narrative study on becoming a mother through experiences in the puerperal period", Child Studies in Diverse Context, 29, 1, pp. 115-131, 2008. 

  32. Y. K. Shin, Y. S. Choi, "The effect of self efficacy, marital conflicts and prenatal depression on postpartum depression",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s, 18, 1, pp. 155-176, 2013. 

  33. F. Abdollahi, S. G. Sazlina, A. M. Zain, M. Zarghami, M. A. Jafarabadi, M. S. Lye, "Postpartum depression and psycho-socio-demographic predictors", Asia- Pacific Psychiatry, 6, 4, pp. 425-434, 2014. DOI: http://dx.doi.org/10.1111/appy.12152 

  34. J. Y. Bai, "Construction of a postpartum depression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