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소 방문간호사의 서비스 수행빈도 및 교육요구
The Health service performance frequency and educational needs among the visiting nurses of public health centers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2 no.1, 2015년, pp.22 - 37  

김진학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  송민선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health service delivery level and educational needs by work experiences and types of public health center among the nurses who work as visiting health services workers at public health centers. Methods: Data collected from 484 nursing staff for 2 weeks, wa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방문보건사업에 종사하는 간호사의 보건소 유형 및 근무경력에 따른 서비스 수행빈도와 교육요구를 파악하고, 서비스 수행빈도와 교육요구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방문보건사업 종사자 중 간호사 484명을 대상으로 보건소 유형별, 근무경력별 서비스 수행빈도 및 교육요구의 차이를 파악하고, 서비스 수행빈도와 교육요구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자는 방문보건사업의 간호사의 서비스 실태와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교육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방문보건사업을 하는 간호사들의 전문성 확보 및 지역사회 주민들의 질적인 관리를 위한 지속적인 교육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 빈곤, 질병, 장애, 고령 등 건강위험 요인이 큰 취약계층의 건강격차 해소를 위하여 보건복지부는 가정방문을 통한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문보건사업들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방문보건사업을 시행하는 방문간호사들의 서비스 수행빈도와 교육요구를 확인하였다.
  • 방문보건사업에 종사하는 간호사들은 경력이 다양한데 비해 이들은 요양서비스 뿐만 아니라 의료서비스도 제공되고 있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방문보건사업의 간호사의 서비스 실태와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교육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방문보건사업을 하는 간호사들의 전문성 확보 및 지역사회 주민들의 질적인 관리를 위한 지속적인 교육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시행되는 통합건강증진사업에서 시행하는 사업은 무엇이 있는가? 현재 시행되는 통합건강증진사업에서 시행하는 사업은 보건소 건강관리, 지역사회중심재활, 보건소 건강생활실천통합서비스, 영양플러스사업, 보건소 금연클리닉, 모유수유클리닉 운영, 철분제・ 엽산제 지원, 구강보건실(센터) 설치운영, 어린이 구강건강관리, 노인 불소도포・ 스케일링, 수돗물불소화농도조정 사업, 치매조기검진사업, 치매노인사례관리, 한의약건강증진허브보건소, 한의약 지역보건사업,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교육 등이며, 이러한 사업을 위해 그 동안 보건소 직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러 교육의 내용과 방법보다는 발전된 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Lee, 2013).
가족자원이 제한적인 홀로 사는 경우나 저소득층이 방지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시행된것은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농촌의 고령화, 도농간의 지역 격차, 의료, 복지와 같은 사회서비스 시설의 도시편중 문제로 농촌에 거주하는 노인들에게 통합적 복지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며(Mo, 2000), 가족자원이 제한적인 홀로 사는 경우나 저소득층은 방치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모색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공공보건인력이 사각지대에 있는 대상자들의 가정을 방문하여 건강증진과 질병관리를 위한 포괄적인 건강관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방문간호사업이 시행되었다(Yang, Shin, Kim, Kim, Kim, & Kim, 2004).
농촌에 통합적 복지시스템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며, 노인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은 전남, 낮은 지역은 울산으로 보고되었다(Statistics Korea, 2014). 우리나라는 농촌의 고령화, 도농간의 지역 격차, 의료, 복지와 같은 사회서비스 시설의 도시편중 문제로 농촌에 거주하는 노인들에게 통합적 복지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며(Mo, 2000), 가족자원이 제한적인 홀로 사는 경우나 저소득층은 방치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모색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공공보건인력이 사각지대에 있는 대상자들의 가정을 방문하여 건강증진과 질병관리를 위한 포괄적인 건강관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방문간호사업이 시행되었다(Yang, Shin, Kim, Kim, Kim, & Kim,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yeon, D. H., & Hyun, H. J. (2013). Importance and performances of visiting nurse services provided under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4(3), 332-345. 

  2. Chin, Y. R., Lee, I. S., & Chang, H. S. (2004). Analysis of the effects and nursing intervention of home health care in public health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15(3), 353-364. 

  3. Cho, S. H. (2003).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resourcesin the elderly served visiting nursing program: Centering around Asan city in Chungnam.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2, 155-178. 

  4. Choi, H. S. (2007).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on burn out of nurses in public health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 Ju National University, Chungnam. 

  5. Donna, C. (1996). A systematic overview of the effectiveness of home visiting as a delivery strategy for public health nursing interventions. Cana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87(3), 193-198. 

  6.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2), 175-191. 

  7. Goodman, C., Ross, F., Mackenzie, A., & Vemon, S. (2003). A portrait of district nursing: its contribution to primary health care. Journal of Interprofessional Care, 17(1), 97-108. 

  8. Han, Y. R., Park, Y. R., Kim, Y. H., Choi, H. C., & Chung, M., J. (2012). Task analysis of managers in the customized visiting health servi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3(2), 165-178. 

  9. June, K. J., Kim, H. G., Kim, S. Y., So, A. Y., Sohn, S. Y., & Park, E. O. (2008). Analysis of working time of nurses in urban public health center branches in South Korea: Focused on nurses for visiting health service and chronic disease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4), 649-659. 

  10. Kim, Y. L. (2002). Education need of the visiting health service workers in Kwangju-Chonnam public health facil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wangju. 

  11. Ko, I. S., Kim, J. J., Lee, T. H., Lee, K. J, Kim, E. S., Ma, H. K., Lee, Y. S., & Park, K. M. (2002). Evaluation of government assisted visiting nursing services of health center in 2000.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3), 344-354. 

  12. Lee, I. S., Chung, H. S., Park, E. O., Moon, H. J., Lee, J. W., Oh, H. S., & Chung, M. R. (2010). Study on development of a job manual for both experienced and novice nurses to enhance family-based case management in a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Seoul,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13. Lee. J. I. (2009). User's recognition and needs of health care services in health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wangju. 

  14. Lee, J. Y. (2013). Future directions of the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health center.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0(3), 1-7. 

  15. Lee, K. E. (2003). Need assessment in home health nursing care for clients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6.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9). 2009 Customized visiting health service guidebook. Seoul: Author. 

  17. Mo. S. H. (2000). Study on welfare system for the rural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Spring, 193-214. 

  18. Oh, Y. A. (2015). A qualitative study on the core competencies by position of community health promotion workforce.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1(1), 95-106. 

  19. Park, C. S. (2009). Visiting nurses' services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Nursing Science, 21(1), 64-72. 

  20. Park, J. S. & Oh, Y. J. (2014). An analysis on performance of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visiting nurse in public health cente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2), 381-393. 

  21. Ryu, H. S., Hwang, R. H., Suk, M. H., & Chin, D. L. (2005). A study on evaluation of district visiting nursing services of urban health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6(2), 127-136. 

  22. Ryu, H. S., Suk, M. H., Hwang, R. H., & Chin, D. L. (2005). A preliminary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visiting nursing service recipients and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visiting nursing service pathways based on public health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6(4), 381-391. 

  23. Statistics Korea. (2014). 2014 Statistics on the aged. Retrieved September 29, 2014,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5/index.board?bmoderead&aSeq330349 

  24. Sung, M. S., Jang, H. J., Kim, C. G., Kang, K. H., Nam, K. A., & Park, J. D. (2010). Comparative study of home nursing care service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in four na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4(2), 211-225. 

  25. Yang, S. J., Shin, K. R., Kim, O. S., Kim, H. Y., Kim, K. H., & Kim, E. H. (2004). Analysis of time taken for visiting nursing activities by visiting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5(2), 177-186. 

  26. Yoo, S. H., & Kim, K. K. (2013). Contexts and directions of the collaboration between public health centers and community partners of health promo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0(4), 77-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