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마늘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Yellow Garlic Extrac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7, 2015년, pp.983 - 992  

강재란 ((재)남해마늘연구소) ,  황초롱 ((재)남해마늘연구소) ,  심혜진 ((재)남해마늘연구소) ,  강민정 ((재)남해마늘연구소) ,  강상태 (초록보물섬 영농조합법인) ,  신정혜 ((재)남해마늘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새로이 개발한 마늘 가공품인 황마늘의 품질 특성과 물, 30, 50, 70 및 10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항당뇨 및 항염증 활성을 검증하였다. 황마늘은 생마늘에 비해 alliin 함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S-allyl cysteine(SAC)의 함량이 월등히 높아 2.6 mg/g이었다. 용매별 추출물을 제조하였을 때 alliin과 SAC 함량은 추출용매 중의 에탄올 비율이 높아질수록 더 증가하였다. 총 페놀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도 동일한 경향으로 10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많이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10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는데, 10 mg/mL로 농도를 동일하게 하여 추출물 간의 활성을 비교할 때 0~7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시료 간의 유의차가 없었으나 10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각각 93.45%와 91.46%로 가장 높았다. 미백 및 항당뇨 효과를 확인하고자 tyrosinase 저해 활성과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을 비교한 결과 추출용매에 따른 일정한 경향은 없었으며, 100%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각각 36.52%와 48.55%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RAW 264.7 대식세포를 대상으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한 결과 황마늘 추출물은 $100{\mu}g/mL$ 처리시 LPS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 인자인 NO 및 cytokine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였다. 황마늘 추출물은 항산화, 미백, 항당뇨 및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물 추출물보다는 에탄올 추출물에서 더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흑마늘 못지않은 건강기능성 소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nt, whitening, anti-diabetes,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yellow garlic, by simplify processing time and manufacturing process compared with black garlic. Extracts were prepared various ratio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차원에서 (재)남해마늘연구소에서는 흑마늘에 비해 가공 공정이 짧고 생마늘과 흑마늘의 중간 활성을 가지며, 항염증 활성(9) 및 항비만 활성(10)이 우수한 홍마늘을 개발(11)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공 공정이 홍마늘보다 더 단순화되고 색이 황색에 가까워 황마늘이라 명명한 가공 마늘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한 후 유효 성분을 분석하고 항산화, 항당뇨, 미백 및 항염증 활성과 관련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황마늘의 전반적인 생리활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Means with different letters (a-d)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 3)Means with different letters (a-d)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늘은 어떤 생리활성을 나타내는가? 백합과(Lilliaceae) 파 속(Allium)에 속하는 인경작물인 마늘(Allium sativum L.)은 오랜 재배 역사와 더불어 식용 및 의약품 등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으며(1), 항균, 항암, 혈행 개선 및 류머티즘 예방 등 여러 생리활성을 나타내면서 지속적으로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2). 마늘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발현하는 주요 지표인자는 함황 아미노산의 일종인 alliin으로(3) alliinase에 의해 분해된 후 마늘 특유의 자극성 신미 성분인 allicin(diallyl thiosulfinate)을 생성하며, allicin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thiosulfinate 화합물은 마늘의 기능성에 큰 기여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5).
마늘은 무엇인가? 백합과(Lilliaceae) 파 속(Allium)에 속하는 인경작물인 마늘(Allium sativum L.)은 오랜 재배 역사와 더불어 식용 및 의약품 등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으며(1), 항균, 항암, 혈행 개선 및 류머티즘 예방 등 여러 생리활성을 나타내면서 지속적으로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2).
흑마늘과 홍마늘은 어떤 과정을 통해 색이 만들어지는가? 이러한 이유로 마늘이 가지는 주요 생리 활성은 유지시키면서 강한 향미와 같은 단점은 보완하고 저장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여러 가공 방안이 연구・개발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산물로 열처리 및 고온숙성 방법을 활용한 흑마늘과 홍마늘이 있다. 이들 마늘 가공품은 일정한 온도에서 숙성시키는 과정을 거치면서 마늘에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과 당류의 갈변반응을 통해 가공되는데, 숙성 정도와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색의 가공 마늘을 얻을수 있다(6). 가공 정도에 따라 색뿐만 아니라 물성, 풍미, 생리활성에서도 차이가 있으며, 가공시간과 생산비 등의 경제성에서도 차이가 발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Chang Y, Kim J. 2011. Effects of pretreatment and drying methods on the quality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arlic powd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680-1687. 

  2. You BR, Kim HR, Kim MJ, Kim MR. 2011.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commercial black garlic and lab-prepared fermented and aged black garlic.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366-371. 

  3. Stoll A, Seebeck E. 1951. Chemical investigations on alliin, the specific principle of garlic. Adv Enzymol 11: 377-400. 

  4. Park MH, Kim JP, Kwon DJ. 198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mponents and their effects on freezing point depression of garlic bulb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205-212. 

  5. Small LD, Bailey JH, Cavallito CJ. 1949. Comparison of some properties of thiosulfonates and thiosulfinates. J Am Chem Soc 71: 3565-3566. 

  6. Choi DJ, Lee SJ, Kang MJ, Cho HS, Sung NJ, Shin JH. 200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65-471. 

  7. Park HJ, Jeon BT, Kim HC, Roh GS, Shin JH, Sung NJ, Han J, Kang D. 2012. Aged red garlic extract reduces lipopolysaccharide-induced nitric oxide production in RAW 264.7 macrophages and acute pulmonary inflammation through haeme oxygenase-1 induction. Acta Physiol 205: 61-70. 

  8. Shin JH, Ryu JH, Kang MJ, Hwang CR, Han J, Kang D. 2013. Short-term heating reduces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fresh raw garlic extracts on the LPS-induced production of NO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by downregulating allicin activity in RAW 264.7 macrophages. Food Chem Toxicol 58: 545-551. 

  9. Jeong YY, Park HJ, Cho YW, Kim EJ, Kim GT, Mun YJ, Lee JD, Shin JH, Sung NJ, Kang D, Han J. 2012. Aged red garlic extract reduces cigarette smoke extract-induced cell death in human bronchial smooth muscle cells by increasing intracellular glutathione levels. Phytother Res 26: 18-25. 

  10. Hwang CR, Shin JH, Kang MJ, Lee SJ, Sung NJ. 2012.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y of solvent fractions from red garlic. J Life Sci 22: 950-957. 

  11. Lee SJ, Shin JH, Kang MJ, Jung WJ, Ryu JH, Kim RJ, Sung NJ. 2010. Antioxidants activity of aged red garlic. J Life Sci 20: 775-781. 

  12. Gutfinger T. 1981. Polyphenol in olive oils. JAOCS 58: 966-968. 

  13.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1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5.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6. Hwang CR, Seo WT, Bae WY, Kang MJ, Shin JH. 2014.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Artemisia Argyi H. J Life Sci 24: 377-385. 

  17. Ryu HW, Lee BW, Curtis-Long MJ, Jung S, Ryu YB, Lee WS, Park KH. 2010. Polyphenols from Broussonetia papyrifera displaying potent alpha-glucosidase inhibition. J Agric Food Chem 58: 202-208. 

  18. Kang MJ, Yoon HS, Jeong SH, Sung NJ, Shin JH. 2011.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ed garlic during processing. Korean J Food Preserv 18: 898-906. 

  19. Shin JH, Choi DJ, Chung MJ, Kang MJ, Sung NJ. 2008. Changes of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ged garlic at different temperatur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174-1181. 

  20. Shin JH, Choi DJ, Lee SJ, Cha JY, Kim GJ, Sung NJ. 2008. Changes of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arlic during its processing. J Life Sci 18: 1123- 1131. 

  21. Lee YK, Sin HM, Woo KS, Hwang IG, Kang TS, Jeong HS. 2008.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quality of garlic and soil composi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31-35. 

  22. Lee JM, Cha TY, Kim SH, Kwon TK, Kwon JH, Lee SH. 2007. Monitoring on extraction conditions for physicochemical qual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garlic.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198-1204. 

  23. Park SY, Kim JY, Park KW, Kang KS, Park KH, Seo KI. 2009. Effects of thiosulfinates isolated from Allium tuberosum L. on the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003-1007. 

  24. Kwon SK. 2003. Organosulfur compounds from Allium sativum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J Appl Pharmacol 11: 8-32. 

  25. Jeang DY, Jeang SU. 2005. Garlic science. World Science, Seoul, Korea. p 93-103. 

  26. Droge W. 2001. Free radicals in the physiological control of cell function. Physiol Rev 82: 47-95. 

  27. Shin JH, Choi DJ, Lee SJ, Cha JY, Sung NJ.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965-971. 

  28. Shin JH, Lee HG, Kang MJ, Lee SJ, Sung NJ. 2010.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fraction from black garlic.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933-940. 

  29. Shin JH, Kang MJ, Kim RJ, Ryu JH, Kim MJ, Lee SJ, Sung NJ. 2011. Biological activity of browning compounds from processed garlics separated by dialysis membran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357-365. 

  30. Cha JY, Yang HJ, Jeong JJ, Seo WS, Park JS, Ok M, Cho YS. 2010.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and antioxidant capacity by fermented products of some medicinal plants. J Life Sci 20: 940-947. 

  31. Jung EY, Hong YH, Kim SH, Suh HJ. 2010. Physiological effects of formulations added with black garlic extract on skin care: oxidative stress, tyrosinase and elastase activi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662-668. 

  32. Lee BB, Park SR, Han CS, Han D, Park EJ, Park HR, Lee SC.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activity against $\alpha$ -amylase and $\alpha$ -glucosidase of Viola mandshuric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05-409. 

  33. Shinde J, Taldone T, Barletta M, Kunaparaju N, Hu B, Kumar S, Placido J, Zito SW. 2008.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Syzygium cumini (Linn.) Skeels seed kernel in vitro and in Goto-Kakizaki (GK) rats. Carbohydr Res 343: 1278-1281. 

  34. Baynes JW, Thorpe SR. 1999. Role of oxidative stress in diabetes complications: a new perspective on an old paradigm. Diabetes 48: 1-9. 

  35. Liu CT, Hse H, Lii CK, Chen PS, Sheen LY. 2005. Effects of garlic oil and diallyl trisulfide on glycemic control in diabetic rats. Eur J Pharmacol 516: 165-173. 

  36. Liu CT, Wong PL, Lii CK, Hse H, Sheen LY. 2006. Antidiabetic effect of garlic oil but not diallyl disulfide in rats with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Food Chem Toxicol 44: 1377-1384. 

  37. Lee ES, Ju HK, Moon TC, Lee E, Jahng Y, Lee SH, Son JK, Baek SH, Chang HW. 2004. Inhibition of nitric oxide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 ${\alpha}$ ) production by propenone compound through blockade of nuclear factor (NF)- ${\kappa}B$ activation in cultured murine macrophages. Biol Pharm Bull 27: 617-620. 

  38. Lee TH, Kwak HB, Kim HH, Lee ZH, Chung DK, Baek NI, Kim J. 2007. Methanol extracts of Stewartia koreana inhibit cyclooxygenase-2 (COX-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gene expression by blocking NF- ${\kappa}B$ transactivation in LPS-activated RAW 264.7 cells. Mol Cells 23: 398-404. 

  39. Kim KH, Kim HJ, Byun MW, Yook HS. 2012.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six vegetables containing different sulfur compoun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577-583. 

  40. Banerjee SK, Maulik SK. 2002. Effect of garlic on cardiovascular disorders: a review. Nutr J 1: 4. 

  41. Kim CH, Lee MA, Kim TW, Jang JY, Kim HJ. 2012. Antiinflammatory effect of Allium hookeri root methanol extract in LPS-induced RAW264.7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645-1648. 

  42. Kim DH, Hwang EY, Son JH. 2013.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arthamus tinctorious seed extracts in Raw 264.7 cells. J Life Sci 23: 55-62. 

  43. Meydani SN. 1990. Dietary modulation of cytokine production and biologic functions. Nutr Rev 48: 361-369. 

  44. Miossec P. 1997. Cytokine-induced autoimmune disorders. Drug Saf 17: 93-104. 

  45. Zhang HL, Nagatsu A, Watanabe T, Sakakibara J, Okuyama H. 1997. Antioxidative compounds isolated from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oil cake. Chem Pharm Bull (Tokyo) 45: 1910-1914. 

  46. Nathan C. 1992. Nitric oxide as a secretory product of mammalian cells. FASEB J 6: 3051-306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