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효홍삼농축액 구형과립 제조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Spherical Granule of Fermented Red Ginseng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7, 2015년, pp.1064 - 1071  

신명곤 (우송대학교 식품생물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난소화성 덱스트린 혼합비율을 발효홍삼농축액의 40, 50, 60%가 되도록 발효홍삼농축액을 제조한 다음 유동층 코팅기의 분무속도, 분무압력, 제품온도를 변수로 조정하면서 발효홍삼농축액 구형과립을 제조하였다. 발효홍삼농축액 구형과립의 용해시간은 6.4초로 발효홍삼농축액의 11.3초보다 훨씬 짧아 발효홍삼농축액을 구형과립 형태로 제조하면 발효홍삼농축액의 섭취 시 불편함이 상당히 개선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특히 발효홍삼농축액 구형과립의 입사각은 14.89도로 발효홍삼농축액 분말의 40.77도와 비교 시 흐름성이 아주 좋음을 보여 주었는데, 발효홍삼농축액 구형과립의 아주 높은 흐름성은 액상 형태인 발효홍삼농축액의 문제점을 해결해 줄 새로운 제형의 발효홍삼제품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난소화성 덱스트린 혼합비율이 높을수록 입사각이 낮아져 발효홍삼농축액 구형과립의 흐름성 및 편리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혼합비율을 높여야 함을 알 수 있었으며, 난소화성 덱스트린 혼합비율별 발효홍삼농축액 구형과립의 용해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없음을 보여 주었다. 난소화성 덱스트린 50% 및 발효홍삼농축액 고형분 50%를 혼합한 용액으로 분무속도 5.40 mL/min, 분무압력 2.15 bar, 제품온도 $83.03^{\circ}C$의 유동층 코팅 조건으로 제조하면 발효홍삼농축액 구형과립의 수율은 87.78%가 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iscous fermented red ginseng extracts were dried and coated using a fluidized bed coater to increase convenience and consumer acceptance. The methods for making spherical granules of fermented red ginseng extracts with increasing convenience were established by using indigestible dextrin. Spheric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진세노사이드의 소화흡수율을 증진시키기 위해 제조된 발효홍삼농축액은 섭취 및 보관 시 많은 불편함이 있는데, 이러한 발효홍삼농축액의 섭취 및 보관 시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세노사이드의 체내 흡수가 높은 발효홍삼농축액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발효홍삼농축액의 섭취 및 보관 시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발효홍삼농축액 구형과립 제조방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동층 코팅기를 사용하여 발효홍삼농축액을 구형과립으로 제조 시 ginsenoside 함량의 변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발효홍삼농축액 및 난소화성 덱스트린 혼합비율별 발효홍삼농축액 구형과립에 대한 ginsenoside 함량을 각각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8과 같다. 발효홍삼농축액 및 발효홍삼농축액 구형과립의 고형분 함량이 각각 60% 및 95%임을 감안하면, 발효홍삼농축액을 구형과립화하는 과정 중 ginsenoside의 함량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가설 설정

  • 3)Means with the same letter at same row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삼의 주 성분인 진세노사이드를 경구투여하면 어떤 과정을 통해 생리 활성을 나타내는가? 이들 화합물 중 인삼의 주성분은 진세노사이드이며, 진세노사이드는 당 부분과 비당 부분으로 구성된 배당체의 구조를 하고 있다. 이러한 성분들이 경구투여 되면 장내세균의 효소 작용을 받아 당 부분이 해리된 compound K 등 입자가 작은 구조가 되어 장내세포를 통과하여 생리활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주 ginsenosides의 구강 섭취 시 생리학적 이용도는 낮아 Rb1은 0.
인삼의 생리 활성은 어느 성분에 의한 것인가? 인삼은 위장병 치료, 혈액순환 촉진, 활력증강 등에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 항당뇨, 항산화, 항암, 면역증강 및 기억력 개선 효과(1,2)가 있음이 보고된 바 있고 이들 생리활성은 인삼 속에 함유되어 있는 진세노사이드, 페놀화합물, 산성다당체 및 플라보노이드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5). 이들 화합물 중 인삼의 주성분은 진세노사이드이며, 진세노사이드는 당 부분과 비당 부분으로 구성된 배당체의 구조를 하고 있다.
최근에 보고된 인삼의 효과는? 인삼은 위장병 치료, 혈액순환 촉진, 활력증강 등에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 항당뇨, 항산화, 항암, 면역증강 및 기억력 개선 효과(1,2)가 있음이 보고된 바 있고 이들 생리활성은 인삼 속에 함유되어 있는 진세노사이드, 페놀화합물, 산성다당체 및 플라보노이드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5). 이들 화합물 중 인삼의 주성분은 진세노사이드이며, 진세노사이드는 당 부분과 비당 부분으로 구성된 배당체의 구조를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Wu JY, Gardner BH, Murphy CI, Seals JR, Kensil CR, Recchia J, Beltz GA, Newman GW, Newman MJ. 1992. Saponin adjuvant enhancement of antigen-specific immune responses to an experimental HIV-1 vaccine. J Immunol 148: 1519-1525. 

  2. Sato K, Mochizuki M, Saiki I, Yoo YC, Samukawa K, Azuma I. 1994. Inhibition of tumor angiogenesis and metastasis by a saponin of Panax ginseng, ginsenoside-Rb2. Biol Pharm Bull 17: 635-639. 

  3. Liu ZQ, Luo XY, Liu GZ, Chen YP, Wang ZC, Sun YX. 2003. In vitro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e of ginsenoside and its antioxidative or prooxidative activity in free radical induced 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J Agric Food Chem 51: 2555-2558. 

  4. Noh KH, Son JW, Kim HJ, Oh DK. 2009. Ginsenoside compound K production from ginseng root extract by a thermostable beta-glycosidase from Sulfolobus solfataricus. Biosci Biotechnol Biochem 73: 316-321. 

  5. Popovich DG, Kitts DD. 2002. Structure-function relationship exists for ginsenosides in reducing cell proliferation and inducing apoptosis in the human leukemia (THP-1) cell line. Arch Biochem Biophys 406: 1-8. 

  6. Hsu S. 2005. Green tea and the skin. J Am Acad Dermatol 52: 1049-1059. 

  7. Jukes TH, Cantor C. 1969. Evolution of protein molecules. In Mammalian Protein Metabolism. Munro HN, ed. Academic Press Inc., New York, NY, USA. p 21-132. 

  8. Kim SJ, Murthy HN, Hahna EJ, Lee HL, Paek KY. 2007. Parameters affecting the extraction of ginsenosides from the adventitious roots of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Sep Purif Technol 56: 401-406. 

  9. Amidon GL, Lennernas H, Shah VP, Crison JR. 1995. A theoretical basis for a biopharmaceutic drug classification: the correlation of in vitro drug product dissolution and in vivo bioavailability. Pharm Res 12: 413-420. 

  10. Kim BG, Choi SY, Kim MR, Suh HJ, Park HJ. 2010. Changes of ginsenosides in Korean red ginseng (Panax ginseng) ferment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M1 Process Biochem 45: 1319-1324. 

  11. Park HJ, Jung DH, Joo H, Kang NS, Jang SA, Lee JG, Sohn EH. 2010. The comparative study of anti-allergic and anti- inflammatory effects by fermented red ginseng and red ginseng. Korean J Plant Res 23: 415-422. 

  12. Kim DH. 2009. Metabolism of ginsenosides to bioactive compounds by intestinal microflora and its industrial application. J Ginseng Res 33: 165-176. 

  13. Shibata S, Fujita M, Itokawa H, Tanaka O, Ishii T. 1963.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japanese and chinese crude drugs. XI. Panaxadiol, a sapogenin of ginseng roots. Chem Pharm Bull (Tokyo) 11: 759-761. 

  14. Han BH, Park MH, Han YN, Woo LK, Sankawa U, Yahara S, Tanaka O. 1982. Degradation of ginseng saponins under mild acidic conditions. Planta Med 44: 146-149. 

  15. Ko SR, Suzuki Y, Choi KJ, Kim YH. 2000. Enzymatic preparation of genuine prosapogenin, 20(S)-ginsenoside Rh1, from ginsenosides Re and Rg1. Biosci Biotechnol Biochem 64: 2739-2743. 

  16. Mochizuki M, Yoo YC, Matsuzawa K, Sato K, Saiki I, Tono-oka S, Samukawa K, Azuma I. 1995. Inhibitory effect of tumor metastasis in mice by saponins, ginsenoside-Rb2, 20(R)- and 20(S)-ginsenoside-Rg3, of red ginseng. Biol Pharm Bull 18: 1197-1202. 

  17. Park SJ, Kim DH, Kim SS. 2006.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ation product of ginseng by lactic acid bacteria (FGL). J Ginseng Res 30: 88-94. 

  18. Hamashita T, Nakagawa Y, Aketo T, Watano S. 2007. Granulation of core particles suitable for film coating by agitation fluidized bed I. Optimum formulation for core particles and development of a novel friability test method. Chem Pharm Bull (Tokyo) 55: 1169-1174. 

  19. Maulny APE, Beckett ST, Mackenzie G. 2005. Physical properties of co-crystalline sugar and honey. J Food Sci 70: E567-E572. 

  20. Wright BJ, Zevchak SE, Wright JM, Drake MA. 2009. The impact of agglomeration and storage on flavor and flavor stability of whey protein concentrate 80% and whey protein isolate. J Food Sci 74: S17-S29. 

  21. Cho HJ, Jung EY, Oh SH, Yoon B, Suh HJ, Lee HS. 2010. Microbial conversion of ginsenoside from the extract of Korean red ginseng (Panax ginseng) by Lactobacillus sp. J Food Sci Nutr 15: 105-112. 

  22. Stone H, Sidel JL. 1993. Sensory evaluation. 2nd ed. Academic Press Inc., San Diego, CA, USA. p 251. 

  23. Patel YL, Sher P, Pawar AP. 2006. The effect of drug concentration and curing time on processing and properties of calcium alginate beads containing metronidazole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APS PharmSciTech 7: E1-E7. 

  24. Ehlers H, Liu A, Raikkonen H, Hatara J, Antikainen O, Airaksinen S, Heinamaki J, Lou H, Yliruusi J. 2009. Granule size control and targeting in pulsed spray fluid bed granulation. Int J Pharm 377: 9-15. 

  25. Fries L, Antonyuk S, Heinrich S, Dopfer D, Palzer S. 2013. Collision dynamics in fluidised bed granulators: A DEMCFD study. Chem Eng Sci 86: 108-123. 

  26. Tan HS, Salman AD, Hounslow MJ. 2006 Kinetics of fluidised bed melt granulation I: The effect of process variables. Chem Eng Sci 61: 1585-1601. 

  27. Lee GH, Shin MG. 2009. Production of spherical granule from viscous red ginseng extracts for improving product fluency and preservation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J Food Sci 74: E519-E525. 

  28. Bouwman AM, Visser MR, Meesters GM, Frijlink HW. 2006. The use of Stokes deformation number as a predictive tool for material exchange behaviour of granules in the 'equilibrium phase' in high shear granulation. Int J Pharm 318: 78-8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