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바이오가스 정제용 용해성 폴리이미드 공중합체의 합성과 특성분석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oluble Co-polyimides for Biogas Purification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5 no.3, 2015년, pp.231 - 238  

신소라 (한국화학연구원 그린화학소재연구본부 분리막연구센터) ,  한상훈 (한국화학연구원 그린화학소재연구본부 분리막연구센터) ,  김정훈 (한국화학연구원 그린화학소재연구본부 분리막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부분지환족 dianhydride인 5-(2,5-dioxotetrahydrofuryl)-3-methyl-cyclohexene-1,2-dicarboxylic anhydride (DOCDA)와 다섯가지 diamine (2,5-dimethyl-1,4-phenylene diamine (2M), 2,4,6-trimethyl-1,3-phenylene diamine (3M), 1,5-naphthalene diamine (NDA), 4,4-diaminodiphenyl methane (MDA), 4,4'-diaminodiphenyl ether (ODA))을 two-step 이미드화를 통해 공중합하였다. 합성된 폴리이미드 공중합체를 FT-IR, 고유점도, DSC, TGA 그리고 용해도 측정을 통해 구조분석 및 물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6FDA를 dianhydride로 한 공중합체를 같은 방법으로 합성하여 함께 비교하였다. 그 결과, 모든 공중합체는 0.32~0.58의 고유점도를 가졌으며, DOCDA계 공중합체는 6FDA를 포함한 공중합체보다 약간 낮은 값을 보이나 약 $400^{\circ}C$까지 견딜 수 있는 열적 안정성과 여러 가지 용매에 대한 우수한 용해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폴리이미드를 이용해 평막을 제조하여 $CO_2$$CH_4$에 대한 기체투과도를 평가하였고 공중합체는 구조변화에 따른 투과-선택도의 상충관계를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polyimide membranes were prepared by two-step polymerization using semi-alicyclic 5-(2,5-dioxotetrahydrofuryl)-3-methyl-cyclohexene-1,2-dicarboxylic anhydride (DOCDA) with five diamines such as 2,5-dimethyl-1,4-phenylene diamine (2M), 2,4,6-trimethyl-1,3-phenylene diamine (3M), 1,5-naphthalene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구조적 특징들은 용해도를 향상시키며 기체투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특징의 모노머들이 고분자의 물성과 분리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DOCDA와 MDA 또는 ODA에 10 mol%의 메틸치환기를 가지는 diamine, 나프탈렌 구조의 diamine을 추가로 하여 공중합체를 합성하였고 물성 분석과 제조된 막에 대한 CO2, CH4의 기체투과도 및 선택도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폴리이미드 합성에 주로 사용되는 6FDA를 이용하여 위와 같은 조성의 공중 합체 합성 후 특성을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재생될 수 있는 폐기물은?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에너지 고갈 및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국가별로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구체적인 규제와 이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중 음식물 쓰레기, 농축산 폐기물 등과 같은 유기 폐기물은 폐자원 회수를 통해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재생될 수 있다. 언급된 유기 폐기 물의 혐기성 미생물 소화 처리에 의해 생산되는 바이오 가스는 대표적인 바이오매스로써 열효율이 커 경제적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재활용된다는 점이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이점으로 작용한다.
분리하고자 하는 기체나 실제 공정 환경에 필요한 특성을 갖춘 소재 개발이 필요한 이유는? 기체분리에 주로 사용되는 비다공성 고분자 막은 ‘solution-diffusion’에 의한 기체분리가 일어나기 때문에 고분자의 구조적 특징 및 기체와 고분자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영향을 받는다[5,6]. 따라서 분리하고자 하는 기체 또는 실제 공정 환경에 필요한 특성을 갖춘 소재 개발이 필요하다.
바이오가스로부터 어떻게 고순도 메탄을 생산하는가? 언급된 유기 폐기 물의 혐기성 미생물 소화 처리에 의해 생산되는 바이오 가스는 대표적인 바이오매스로써 열효율이 커 경제적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재활용된다는 점이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이점으로 작용한다. 또한 바이오가스는 이산화탄소(35~45%)와 메탄(45~65%)이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황화수소 및 암모니아와 같은 미량의 불순물들을 전처리하여 제거하고 CO2만 분리해내면 95% 이상의 고순도 메탄을 생산하여 일반 가정에 도시가스로 공급할 수 있으며, 순도를 97~98% 이상 올리면 수송용 연료 CNG (Compressed Natural Gas)로 사용할 수 있다[1,2]. 기체분리막을 이용한 바이오가스 정제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분리기술인 흡착법, 흡수법, 심냉법과 비교하였을 때 상변화를 수반하지 않아 에너지 소모가 적고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는 환경 친화적인 공정으로 설비 및 공정이 비교적 간단하며 운전이 쉽고 부지를 많이 차지하지 않아 높은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D. A. Lashof and D. R. Ahuja, "Relative contribution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to global warming", Nature, 344, 529 (1990). 

  2. T. H. Lee, J. Y. Kim, S. H. Chang, H. S. Lee, and I. W. Choi, "A study for separation of $CH_{4}$ and $CO_{2}$ from biogas", Trans. Korean Hydrog. New Energy Soc., 21, 72 (2010). 

  3. H. Wang, Z. Xu, M. Fan, R. Gupta, R. B. Slimane, A. E. Bland, and I. Wright, "Progress in carbon dioxide separation and capture: A review", J. Environ. Sci., 20, 14 (2008). 

  4. R. D. Noble and S. A. Stern, "Membrane separation technology, principles and applications", Elsevier, Amsterdam, 589 (1995). 

  5. D. R. Paul and Y. P. Yampol'skii, "Polymeric gas separation membranes", CRC Press, London, 88-102 (1994). 

  6. M. Mulder, "Basic principles of membrane technology", Kluwer Academic Publisher, Dordrecht (1991). 

  7. Y. G. Park, S. K. Oh, B. J. Park, and J. H. Kim, "Study of membrane process for biogas purification and enrichment", J. Korea Soc. Waste Management, 30, 783 (2013). 

  8. C. H. Choi, Y. M. Kim, and J. H. Chang, "Colorless and Transparent polyimide films for flexible displays", Polym. Sci. Technol., 23, 296 (2012). 

  9. H. Ohya, V. V. Kudryavtesv, and S. I. Semenova, "Polyimide membranes: applications, fabrications, and properties", Kodansha, 241 (1996). 

  10. M. R. Coleman and W. J. Koros, "Isomeric polyimides based on fluorinated dianhydrides and diamines for gas separation applications", J. Membr. Sci., 50, 285 (1990). 

  11. H. Yamamoto, Y. Mi, S. A. Stern, and A. K. St.Clair, "Structure/permeability relationships of polyimide membranes", J. Polym. Sci. Part B: Polym. Phys., 28, 2291 (1990). 

  12. K. Tanaka, H. Kita, K. Okamoto, A. Nakamura, and Y. Kusuki, "The effect of morphology on gas permeability and permselectivity in polyimide based on 3,3',4,4'-biphenyltetracarboxylic dianhydride and 4,4'-oxydianiline", Polym. J., 21, 127, (1989). 

  13. L. Shao, L. Liu, S. X. Cheng, Y. D. Huang, and J. Ma, "Comparison of diamino cross-linking in different polyimide solutions and membranes by precipitation observation and gas transport", J. Membr. Sci., 312, 174 (2008). 

  14. S. S. Hosseini and T. S. Chung, "Carbon membranes from blends of PBI and polyimides for $N_{2}/CH_{4}$ and $CO_{2}/CH_{4}$ separation and hydrogen purification", J. Membr. Sci., 328, 174 (2009). 

  15. T. Matsumoto, D. Mikamim T. Hashimoto, M. Kaise, R. Takahashi, and S. Kawabata, "Alicyclic polyimides - a colorless and thermally stable polymer for opto-electronic devices", J. Phys: conf. Ser., 187 (2009). 

  16. K. Tanaka, M. Okano, H. Toshino, H. Kita, and K. Okamoto, "Effect of methyl substituents on permeability and permselectivity of gases in polyimides prepared from methyl-substituted phenylenediamines", J. Polym. Sci. Part B: Polym. Phys., 30, 907 (1992). 

  17. K. Miyatake, N. Asano, and M. Watanabe, "Synthesis and properties of novel sulfonated polyimides containing 1,5-naphthylene moieties",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41, 3901 (2003). 

  18. T. Matumoto, "Nonaromatic polyimides derived from cycloaliphatic monomers", Macromolecules, 32, 4933 (1999). 

  19. S. Xiao, Robert Y. M. Huang, and X. Feng, "Synthetic 6FDA-ODA copolyimide membranes for gas separation and pervaporation: functional groups and separation properties", Polymer, 48, 5355 (2007). 

  20. C. Y. Park, Y. T. Lee, and J. H. Kim "Synthesis of soluble copolyimides using an alicyclic dianhydride and their $CO_{2}/CH_{4}$ separation properties" Membr. J., 24, 1 (2014). 

  21. K. Y. Chun, H. S. kim, H. S. Han, and Y. I. Joe, "The preparation and the gas perme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oluble polyimides", J. Korean Ind. Eng. Chem., 9, 306 (1998). 

  22. H. G. Im, J. H. Kim, H. S. Lee, and T. M. Kim, "Effect of long time physical aging on ultra thin 6FDA-based polyimide films containing carboxyl acid group", Polymer (Korea), 31, 335 (2007). 

  23. J. H. Kim, S. B. Lee, and S. Y. Kim "Incorporation effects of fluorinated side groups into polyimide membranes on their physical and gas permeation properties", J. Appl. Polym. Sci. 77, 2756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