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집단지성을 이용한 한글 감성어 사전 구축
Building a Korean Sentiment Lexicon Using Collective Intelligence 원문보기

지능정보연구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v.21 no.2, 2015년, pp.49 - 67  

안정국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김희웅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빅데이터의 활용과 분석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뉴스기사와 댓글과 같은 비정형 데이터자연어 처리 기술에 기반한 감성 분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한국어는 영어와는 달리 자연어 처리가 어려운 교착어로써 정보화나 정보시스템에의 활용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감성 분석에 활용이 가능한 감성어 사전을 집단지성으로 구축하였고, 누구나 연구와 실무에 사용하도록 API서비스 플랫폼을 개방하였다(www.openhangul.com). 집단지성의 활용을 위해 국내 최대 대학생 소셜네트워크 사이트에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단어마다 긍정, 중립, 부정에 대한 투표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집단지성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감성을 '정의'가 아닌 '분류'하는 방식인 폭소노미의 '사람들에 의한 분류법'이라는 개념을 적용하였다. 총 517,178(+)의 국어사전 단어 중 불용어 형태를 제외한 후 감성 표현이 가능한 명사, 형용사, 동사, 부사를 우선 순위로 하여, 현재까지 총 35,000(+)번의 단어에 대한 투표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감성어 사전은 집단지성의 참여자가 누적됨에 따라 신뢰도가 높아지도록 설계하여, 시간을 축으로 사람들이 단어에 대해 인지하는 감성의 변화도 섬세하게 반영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앞으로도 감성어 사전 구축을 위한 투표를 계속 진행할 예정이며, 현재 제공하고 있는 감성어 사전, 기본형 추출, 카테고리 추출 외에도 다양한 자연어 처리에 응용이 가능한 API들도 제공할 계획이다. 기존의 연구들이 감성 분석이나 감성어 사전의 구축과 활용에 대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에만 한정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본 연구는 집단지성을 실제로 활용하여 연구와 실무에 활용이 가능한 자원을 구축하여 개방하여 공유한다는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더 나아가, 집단지성과 폭소노미의 특성을 결합하여 한글 감성어 사전을 구축한 새로운 시도가 향후 한글 자연어 처리의 발전에 있어 다양한 분야들의 융합적인 연구와 실무적인 참여를 이끌어 개방적 협업의 새로운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emerging the notion of big data and social media has led us to enter data's big ba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are widely used by people around the world, and they have become a part of major communication tools for all ages. Over the last decade, as online social networking sites beco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한글 감성어 사전 구축(WHAT)을 위해, 기본적인 교육적 소양을 가진 대학생(WHO)들을 선택을 하였고, 이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가입승인 및 등급향상과 같은 보상(WHY)을 주었으며, 오류를 방지하여 신뢰도를 높이는 시스템의 투표 방식을 선택하였다(HOW). 본 연구는 집단지성을 연구의 설계에 직접적으로 적용하여 실질적으로 연구와 실무에 도움이 되는 자원을 창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연구들에게 새로운 시사점을 주는데 큰 의의가 있다고 본다.
  • 하지만 본 연구의 연구자들은 폭소노미의 특성인 참여에 의한 협업과 분류가 빅데이터 환경의 시스템에 근본적인 틀과 방향성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을 하였고, 폭소노미의 단점인 낮은 신뢰성을 극복하기 위해 앞서 언급한 집단지성을 활용하기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폭소노미와 집단지성을 결합하여 개인적인 선입견이 들어가지 않는 집단들에 의한 신뢰도가 높은 감성어 사전을 구축하며, 이러한 시도는 폭소노미에 대한 재조명을 하는 점에 있어 중요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한글 감성어 사전 구축(WHAT)을 위해, 기본적인 교육적 소양을 가진 대학생(WHO)들을 선택을 하였고, 이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가입승인 및 등급향상과 같은 보상(WHY)을 주었으며, 오류를 방지하여 신뢰도를 높이는 시스템의 투표 방식을 선택하였다(HOW). 본 연구는 집단지성을 연구의 설계에 직접적으로 적용하여 실질적으로 연구와 실무에 도움이 되는 자원을 창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연구들에게 새로운 시사점을 주는데 큰 의의가 있다고 본다.
  •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문서의 극성 판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감성어 사전의 구축에 대한 명확한 언급이 없으며, 신뢰도가 높은 한글 감성어 사전을 사용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글 감성 분석에 활용될 수 있는 신뢰도가 높고 감성의 깊이 표현이 가능한 감성어 사전을 구축한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신뢰도가 높은 한글 감성어 사전을 구축하여 누구나 연구나 실무에 활용이 가능한 자원을 마련함으로써, 한국어 자연어 처리 연구의 개방형 협업(Open collaboration)을 위한 플랫폼을 구축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대학생들의 집단지성을 이용하여 단어의 감성의 깊이 표현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을 하여 실시간으로의 접근성이 용이하도록 개방하였다.
  • 그러나 폭소노미는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태깅이 무작위이므로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Gruber, 2007; Hwang and Kang, 2008), 이러한 한계점으로 인해 폭소노미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2007년 이후로 많이 감소된 추세이다. 하지만 본 연구의 연구자들은 폭소노미의 특성인 참여에 의한 협업과 분류가 빅데이터 환경의 시스템에 근본적인 틀과 방향성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을 하였고, 폭소노미의 단점인 낮은 신뢰성을 극복하기 위해 앞서 언급한 집단지성을 활용하기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폭소노미와 집단지성을 결합하여 개인적인 선입견이 들어가지 않는 집단들에 의한 신뢰도가 높은 감성어 사전을 구축하며, 이러한 시도는 폭소노미에 대한 재조명을 하는 점에 있어 중요한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빅데이터의 특성은 무엇인가? 최근 데이터의 기하급수적인 증가와 소셜미디어의 급성장으로 빅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기업들은 다양하고 좋은 데이터를 어떻게 확보하느냐와 이를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해 관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Prentice, 2011). Laney (2001)는 빅데이터를 3V (volume, velocity, and variety)로 정의하였으며, 최근에는 가치(value)를 추가한 4V로 정의를 하기도 한다 (McAfee, 2012). 다시 말해 빅데이터 환경에서는 데이터의 사이즈, 처리/분석 속도, 다양성, 가치 창출이 매우 중요하며, 이는 기업의 경쟁우위 확보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기존의 카테고리가 아닌 새로운 카테고리의 구분을 확장의 예시는 무엇이 있는가? 폭소노미의 대표적인 예로는 블로그의 글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태그(tag)를 들 수가 있으며, 이는 기존의 카테고리가 아닌 새로운 카테고리의 구분을 확장시키는 장점이 있다(Russell, 2005; Thomas, 2007). 예를 들면, 블로그에서 ‘삼성 야구팀’에 대한 글은 다른 축구나 농구와 관련된 기사들과 같은 ‘스포츠’ 카테고리이다. 하지만 문서에 ‘야구,’ ‘삼성,’ ‘스포츠’, ‘이승엽’과 같은 다양한 태그를 달면, 태그들이 새로운 카테고리들을 생성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기존에는 다른 카테고리에 있던 문서들이 태그를 활용함으로써 새로운 카테고리로 구분되어 수직적 카테고리가 아닌 수평적 카테고리로써의 무한한 확장성을 가진다. 이 외에도 폭소노미 기반으로 메타데이터(Metadata)를 이용한 소셜 북마크 온톨로지 구축을 제안하는 연구(Ohmukai et al.
감성 분석은 무엇을 가능하게 하는가? 감성 분석은 주로 주관적인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람들의 성향 분석, 선별, 예측, 판단 등을 가능하게 하며, 최근 들어 SNS의 급부상과 함께 다양한 분야에 오피니언 마이닝의 개념으로도 적용이 되고 있다(Khan et al., 2014; Pang and Lee,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accianella, S., A. Esuli, and F. Sebastiani, "Senti WordNet 3.0: An Enhanced Lexical Resource for Sentiment Analysis and Opinion Mining," LREC, Vol. 10(2010), 2200-2204. 

  2. Ban, S. B. and C. S. Jung, "A neural network model for recognizing facial expressions based on perceptual hierarchy of facial feature points,"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Vol.12, No.1/2(2001), 77-89. 

  3. Black, E. W., "Wikipedia and academic peer review: Wikipedia as a recognised medium for scholarly publication?," Online Information Review, Vol. 32, No. 1(2008), 73-88. 

  4. Boder, A., "Collective intelligence: a keystone in knowledge management," Journal of Knowledge Management, Vol. 10, No. 1(2006), 81-93. 

  5. Bollen, J., A. Pepe, and H. Mao, "Modeling public mood and emotion: Twitter sentiment and socio-economic phenomena," arXiv preprint arXiv:0911.1583. (2009). 

  6. Bonabeau, E., "Decisions 2.0: The power of collective intelligence," MIT Sloan management review, Vol. 50, No.2(2009), 45-52. 

  7. Cachia, R., R. Compano, and O. D. Costa, "Grasping the potential of online social networks for foresight,"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Vol. 74, No. 8(2007), 1179-1203. 

  8. Cho, S. Y., H.-K, Kim, B. Kim, and H. -W. Kim, "Predicting Movie Revenue by Online Review Mining: Using the Opening Week Online Review," Information Systems Review, Vol. 16, No. 3(2014), 111-132. 

  9. Echarte, F., J. J. Astrain, A. Cordoba, and J. E. Villadangos, "Ontology of Folksonomy: A New Modelling Method," SAAKM, 289, 36(2007). 

  10. Gruber, T., "Ontology of folksonomy: A mash-up of apples and oranges," International Journal on Semantic Web and Information Systems (IJSWIS), Vol. 3, No. 1(2007), 1-11. 

  11. Hwang, J. S. and S. Y. Choi, "Analysis of Participants' Features in Different Collective Intelligence Models: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Korea and U.S.A.,"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Vol.27, No.4(2010), 257-301. 

  12. Hwang, J. W., and Y. J. Ko, "A Document Sentiment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Feature Weighting Method Improved by Measuring Sentence Sentiment Intensity," Journal of KIISE Vol.36, No.6(2009), 491-497. 

  13. Hwang, S. H., and Y. K. Kang, "Hierarchical Triadic Context Analysis for Folksonomy-Based Web Applications," JDCTA, Vol.2, No.1(2008), 20-27. 

  14. Jang, J.-Y.,"A Sentiment Analysis Algorithm for Automatic Product Reviews Classification in On-Line Shopping Mall,"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Vol.14, No.4 (2009), 19-33. 

  15. Jang, Y., E. Cho, and H. Kim, "An Exploratory Study on Online Prosocial Behavior,"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Vol.16, No.1(2015), 225-242. 

  16. Jung, Y. C., Y. J. Choi, and S. H. Myaeng, "A Study on Negation Handling and Term Weighting Schemes and Their Effects on Mood-based Text Classification,"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Vol.19, No.4 (2008), 477-497. 

  17. Khan, F. H., S. Bashir, and U. Qamar, "TOM: Twitter opinion mining framework using hybrid classification scheme," Decision Support Systems, Vol.57(2014), 245-257. 

  18. Kim, J. O., S. Lee, and H. S. Yong, "Automatic Classification Scheme of Opinions Written in Korean," Journal of KIISE: Database, Vol. 38, No.6(2011), 423-428. 

  19. Kim, Y., N. Kim, and S. R. Jung, "Stock-Index Invest Model Using News Big Data Opinion Mining,"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Vol.18, No.2(2012), 143-156. 

  20. Laney, D., "3D data management: Controlling data volume, velocity and variety," META Group, 2001. 

  21. Lee, J. S., "Three-Step Probabilistic Model for Korean Morphological Analysis," Journal of KIISE Vol.38, No.5(2011), 257-268. 

  22. Lee, S., and H. Yoon, "The Study on Strategy of National Information for Electronic Government of S. Korea with Public Data analysed by the Application of Scenario Planning,"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7, No.6(2012), 1259-1273. 

  23. Lee, Y.-J, "A Semantic-Based Mashup Development Tool Supporting Various Open API Types,"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Vol.13, No.3(2012), 115-126. 

  24. Levenshtein, V. I., "Binary codes capable of correcting deletions, insertions, and reversals," Soviet physics doklady, Vol. 10, No. 8(1966), 707-710. 

  25. Levy, P., Collective intelligence, Plenum/Harper Collins, 1997. 

  26. Lipsman, A., G. Mudd, M, Rich, and S. Bruich, "The power of "like": How brands reach (and influence) fans through social-media marketing,"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 52, No. 1(2012), 40. 

  27. Malone, T. W., R. Laubacher, and C. Dellarocas, "The collective intelligence genome," IEEE Engineering Management Review, Vol.38, No.3(2010), 21-31. 

  28. McAfee, A., and E. Brynjolfsson, "Big data: the management revolution," Harvard business review, Vol. 90, No.10(2012), 61-67. 

  29. Medelyan, O., and C. Legg, "Integrating Cyc and Wikipedia: Folksonomy meets rigorously defined common-sense," Proceedings of the WIKI-AI: Wikipedia and AI Workshop at the AAAI'08 Conference, Chicago, US, (2008). 

  30. Nasukawa, T., and J. Yi. "Sentiment analysis: Capturing favorability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nowledge capture, ACM, (2003), 70-77. 

  31. Ohkura, T., Y. Kiyota, and H. Nakagawa, "Browsing system for weblog articles based on automated folksonomy," Proceedings of the WWW 2006 Workshop on the Weblogging Ecosystem: Aggregation, Analysis and Dynamics, at WWW, Vol. 2006(2006). 

  32. Ohmukai, I., M. Hamasaki, and H. Takeda, "A proposal of community-based folksonomy with RDF metadata." Proceedings of the 4th International Semantic Web Conference (ISWC2005), (2005). 

  33. Pang, B., and L. Lee, "Opinion mining and sentiment analysis," Foundations and trends in information retrieval Vol.2, No.1-2(2008), 1-135. 

  34. Prentice, S., "CEO Advisory:'Big Data'Equals Big Opportunity," Gartner, March 31, 2011. 

  35. Russell, T., "Contextual authority tagging: Cognitive authority through folksonomy," Unpublished manuscript. Retrieved, Vol. 11, No.16(2005). 

  36. Sulis, W., "Fundamental concepts of collective intelligence," Nonlinear Dynamics, Psychology, and Life Science, Vol. 1, No.1(1997), 35-53. 

  37. Taboada, M., J. Brooke, M. Tofiloski, K. Voll, and M. Stede, "Lexicon-based methods for sentiment analysis," Computational linguistics, Vol. 37, No. 2(2011), 267-307. 

  38. Thomas, V. W., "Folksonomy," online posting, 2007. 

  39. Xu, Z., Y. Fu, J. Mao, and D. Su, "Towards the semantic web: Collaborative tag suggestions," Collaborative web tagging workshop at WWW2006, Edinburgh, Scotland,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