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흑염소와 약용식물 복합 증탕추출액 및 증류액이 조골세포 증식과 파골세포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extract and distillate from the mixture of black goat meat and medicinal herb on osteoblast proliferation and osteoclast formation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8 no.2, 2015년, pp.157 - 166  

송효남 (세명대학교 한방바이오융합과학부) ,  임강현 (세명대학교 한의대) ,  권인숙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골기능 개선용 흑염소 액상제품을 개발하기 기초연구로서 흑염소 및 약용식물 복합추출물이 MG-63 조골세포 및 마우스 골수세포 유래 파골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흑염소 원료육의 일반성분, 휘발성 염기질소, 무기질함량, 유리아미노산 조성 및 지방산 조성 등의 영양성분을 분석하여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흑염소에 첨가할 약용식물의 종류와 배합을 달리한 두 그룹의 한약재 첨가군에 대해 증탕추출액과 증류액을 제조하여 총 6개 시료군 (흑염소육 (BG-E, BG-D), 6종 한약재 첨가군 (BG-E6, BG-D6) 및 8종 한약재 첨가군 (BG-E8, BG-D8)을 대상으로 골강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식품공전상 식품의 원료로 사용이 가능한 원료 중 황기, 홍화씨, 당귀, 황정, 속단, 우슬 각각 2/2/2/2/1/1의 배합비를 지닌 한약재 6종 첨가군 및 동일배합에 녹용과 녹각을 각각 0.3/1.2 로 추가배합한 한약재 8종 첨가군을 사용하였다. 조골세포 MG-63의 증식 촉진 활성에 대해 시료별 및 농도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한약재 무첨가 흑염소군보다 6종 및 8종 등 한약재 첨가량이 많을수록 활성이 증가하였다. 증탕추출액과 달리 증류액은 모두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조골세포의 골석회화 촉진활성시험 결과 대조군에 비해 모든 시료 처리군에서 칼슘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MG-63 세포의 석회화 결절 형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BG-E6는 대조군에 비해 석회화 형성을 170.3% 증가시켰고, 증류액인 BG-D와 BG-D6는 각각 168.5% 및 159.8%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시료별 차이에 있어 한약재 첨가군이 무첨가군보다 높았고, 증탕추출액이 증류액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세포의 칼슘 흡수량을 측정한 결과 모든 증탕추출액에서 활성이 증가하였고 특히 BG-E6와 BG-E8은 각각 615.5%와 628.1%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증류액은 BG-D6의 1/10 농도군외에 효과가 없었다. 마우스 골수세포 유래 파골세포의 증식억제 실험결과 TNF-${\alpha}$ 만을 처리한 대조군에 비해 모든 시료군이 TRAP활성을 억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BG-D 및 BG-E6, BG-E8은 유의하게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였다. 종합적으로 흑염소육을 비롯하여 황기, 홍화씨, 당귀, 황정, 속단, 우슬, 녹용 및 녹각 등 한약재의 복합추출물은 골 기능 강화에 매우 효과적인 기능성 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effects of water extract and distillate from the mixture of black goat meat and medicinal herb on MG-63 osteoblast proliferation and mouse bone marrow derived osteoclast formation were investigated. Methods: Proximate composition, volatile basic nitrogen (VBN), mineral content, free a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골기능 개선용 흑염소 액상제품을 개발하기 기초연구로서 흑염소 및 약용식물 복합추출물이 MG-63 조골세포 및마우스 골수세포 유래 파골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분석하였다. 흑염소 원료육의 일반성분, 휘발성 염기질소, 무기질함량, 유리아미노산 조성 및 지방산 조성 등의 영양성분을 분석하여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골강화가 본격적으로 필요한 성인들과성장기 어린이를 위한 골 기능 개선용 흑염소 액상제품을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흑염소 원료육과 골 건강에유용한 한약재 복합물을 수동기계식 증탕가공방식과 증류식 추출기계에 의한 증류가공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흑염소 원료육에 대한 기초적인 영양성분을 분석하였고, 골강화 효능평가를 위해 MG-63 조골세포를 이용한 조골세포의 증식 촉진활성과 골수세포유래 파골세포의 분화억제활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흑염소 및 천연약용식물로부터 골대사에 관련하는 세포들의 분화나 기능을 조절할수 있는 기능성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흑염소 원료육에 대한 기초적인 영양성분을 분석하였고, 골강화 효능평가를 위해 MG-63 조골세포를 이용한 조골세포의 증식 촉진활성과 골수세포유래 파골세포의 분화억제활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흑염소 및 천연약용식물로부터 골대사에 관련하는 세포들의 분화나 기능을 조절할수 있는 기능성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Gil B, Song H. Establishment of quality index on the black-goat meat extracts. Korean J Food Nutr 2001; 14(4): 322-328. 

  2. The Kyunghyang Shinmun [Internet]. Seoul: The Kyunghyang Shinmun; 1993 Sep 25 [cited 2015 Jan 20]. Available from: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93-09-25&officeId00032&pageNo1. 

  3. Yonhap News [Internet]. Seoul: Yonhap News; 1996 Jul 27 [cited 2015 Jan 21]. Available from: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4031653. 

  4. Choi SH, Park BY, Cho YM, Choi CY, Kwon EG, Kim YK, Hur SN. Effects of feeding browses on growth and meat quality of Korean native goats. J Anim Sci Technol 2003; 45(5): 819-824. 

  5. Choi SH, Kim SW, Park BY, Sang BD, Kim YK, Myung JH, Hur SN. Effects of dietary crude protein level on growth and meat quality of Korean native goats. J Anim Sci Technol 2005; 47(5): 783-788. 

  6. Kim SW, Yoon SH, Kim JH, Ko YG, Kim DH, Kang GH, Kim YS, Lee SM, Suh SW. Effects of feeding levels of concentrate on the growth, carcass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evaluation in feeds based on rice-straw of Korean black goats. J Korean Soc Grassl Forage Sci 2012; 32(4): 429-436. 

  7. Hwangbo S, Choi SH, Kim SW, Son DS, Jeon BS, Lee SH, Jo IH. Effects of different grazing types of hilly pasture on growth and meat quality in organic Korean black goats. Korean J Org Agric 2008; 16(3): 309-320. 

  8. Kim YB, Jeon KH, Lee NH, Yang SY, Moon BY, Jang A. Nutritional quality of black goat meat. Proceedings of 36th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2005 Oct 28; Korea University. Seoul: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2005. 

  9. Kim JS, Kim KP, Lee MC. Mineral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jemsosojoo.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8; 27(2): 220-226. 

  10. Park CI, Kim YJ. Composition in amino acid and changes in protein, mineral contents during storage of black goat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Anim Resour 2000; 20(4): 257-263. 

  11. Young HT, Kim MW, Choi HJ. Studies on the characterization of black goat meat and bone beverage containing honey with red ginseng. Korean J Food Nutr 2005; 18(2): 135-139. 

  12. Jo KS. A study on the extraction time and component analysis of goat meat with bone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2002; 9(4): 396-399. 

  13. Kim SA. The recipe standardization and nutrient analysis of broiled black goat meat. Korean J Diet Cult 2001; 16(4): 269-275. 

  14. Kim C, Ha H, Kim H, Lee JH, Song KY. Pueraria lobata Ohwi as an osteoporosis therapeutic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02; 34(4): 710-718. 

  15. Lee Y, Lee HS, Jang SJ, Song JH. Effect of water extract of Schisandra Chinensis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010; 24(5): 848-853. 

  16. Im KJ, Choi KH, Jung EH, Yoo DY. The effect of dried roots of Rehmannia glutinosa extract on osteoblast in rat fetus calvarial cells. J Orient Obstet Gynecol 2013; 26(3): 33-43. 

  17. Kim JH, Ki JY, Ann JY, Park HJ, Kim HJ, Kwak HB, Oh JM, Kim YK. Inhibitory effects of Achyranthis Bidentatae Radix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bone resorption. Korean J Herbol 2010; 25(1): 65-74. 

  18. Kwak HB, Kim JH, Kwon YM, Oh JM, Kim YK. Effect of water extract of deer antler in osteoclast differentiation.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008; 22(4): 891-895. 

  19. Kim YK, Choi YH, Song JH, Jang SJ, Kim HJ, Lee CH, Ahn SH, Lee JE, Kim JJ, Choi MK. Inhibitory effect of deer antler on osteoclastic bone resorption.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009; 23(6): 1299-1304. 

  20. Choi KH, Yoo DY. The effect of Guibi-tang water extract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osteoblast proliferation. J Orient Obstet Gynecol 2014; 27(3): 12-27. 

  21. Jeon MH, Kim M. Effect of Hijikia fusiforme fractions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in osteoblastic MC3T3-E1 cells. J Life Sci 2011; 21(2): 300-308. 

  22. Koo HJ, Sohn EH, Kang SC. The optimal combination of the mixture of unripe Rubus coreanus and Astragalus membranaceus in the activation and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ic cells. Korean J Plant Resour 2013; 26(5): 658-662. 

  23. Im NK, Kim HJ, Kim MJ, Lee EJ, Kim HI, Lee IS. Effects of medicinal herb extracts on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 osteoclast form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0; 42(5): 637-642. 

  24.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ition. Washington, D.C.: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0. 

  2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R). 11. Processed meat and egg products. In: Korea Food Code. Article 5.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Each Food Product.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9. p.37. 

  26. Song HN, Gil B.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 and phenolic compound in propolis collected from falseacacia and chestnut tree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002; 34(4): 546-551. 

  27. Folch J, Lees M, Sloane Stanley GH.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e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1957; 226(1):497-509. 

  28. Song HN. Quality properties of fermented mugworts and the rapid pattern analysis of their volatile flavor components via surface acoustic wave (SAW) based electronic nose sensor in the GC system. Korean J Food Preserv 2013; 20(4): 554-563. 

  29. Song HN. Quality analysis for recycle of the drained soybean boiling water discarded in the mass production of fermented soy fo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013; 29(5): 525-531. 

  30. Kim HK, Kim MG, Leem KH. Effects of egg yolk-derived peptide on osteogenic gene expression and MAPK activation. Molecules 2014; 19(9): 12909-12924. 

  31. Arpornmaeklong P, Brown SE, Wang Z, Krebsbach PH. Phenotypic characterization,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and bone regeneration capacity of human embryonic stem cel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Stem Cells Dev 2009; 18(7): 955-968. 

  32. Miyawaki A, Llopis J, Heim R, McCaffery JM, Adams JA, Ikura M, Tsien RY. Fluorescent indicators for Ca2+ based on green fluorescent proteins and calmodulin. Nature 1997; 388(6645): 882-887. 

  33. Kil JS, Kim MG, Choi HM, Lim JP, Boo Y, Kim EH, Kim JB, Kim HK, Leem KH. Inhibitory effects of Angelicae Gigantis Radix on osteoclast formation. Phytother Res 2008; 22(4): 472-476. 

  34. Hotokezaka H, Sakai E, Kanaoka K, Saito K, Matsuo K, Kitaura H, Yoshida N, Nakayama K. U0126 and PD98059, specific inhibitors of MEK, accelerate differentiation of RAW264.7 cells into osteoclast-like cells. J Biol Chem 2002; 277(49): 47366-47372. 

  35. Webb EC, Casey NH, Simela L. Goat meat quality. Small Rumin Res 2005; 60(12): 153-166. 

  36. Lee JW, Kim DK. Analyses of the expression profiles of genes responsible for the growth of osteoblast upon Velvet antlers treatment. J Korean Orient Pediatr 2002; 16(1): 39-74. 

  37. Suda T, Takahashi N, Udagawa N, Jimi E, Gillespie MT, Martin TJ. Modulation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function by the new members of the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and ligand families. Endocr Rev 1999; 20(3): 345-3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