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연 염미증강제 개발을 위한 완도산 다시마의 열수 추출 조건 최적화 및 염미증강 효능 평가
Optimization of Hot Water Extraction Conditions of Wando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for Development of Natural Salt Enhanc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5, 2015년, pp.767 - 774  

김효주 ((재)전남생물산업진흥원 식품산업연구센터) ,  양은주 ((재)전남생물산업진흥원 식품산업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완도산 다시마를 천연 염미증강제로 개발하기 위하여 다시마로부터 정미성분이 최적으로 추출되는 열수 추출 조건을 평가하였으며, 다시마 추출분말을 이용하여 염미증강 효능과 나트륨 저감화율을 분석하였다. 정미성분 추출에 가장 적합한 완도산 다시마의 수확시기를 선정하기 위하여 5월, 6월, 7월에 수확한 다시마의 일반성분과 유리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정미성분 아미노산(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은 6월 수확 다시마를 추출 원료로 선정하였다. 다시마 열수 추출 온도와 시간 조건을 평가하기 위하여 $60^{\circ}C$, $80^{\circ}C$, $100^{\circ}C$에서 1시간, 2시간, 3시간을 각각 추출하여 추출액의 품질 특성을 분석한 결과 $100^{\circ}C$ 추출 조건에서 가용성 고형분과 조단백의 함량이 35.47~36.93%와 3.75~4.0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점도는 1.96~2.19 cP로 낮게 나타나 추출 온도는 $100^{\circ}C$를 선정하였다. 추출 시간 선정을 위하여 $100^{\circ}C$에서 추출 시간에 따른 추출액의 정미성분 아미노산 함량과 관능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추출 2시간에서 정미성분 아미노산인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의 함량이 각각 275.33 mg%와 121.18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관능적 기호도도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어 다시마로부터 정미성분 추출을 위해 적합한 추출 온도와 시간은 $100^{\circ}C$, 2시간 조건으로 확인되었다. 정미성분이 최적으로 추출된 다시마의 추출분말을 제조하여 NaCl 용액에 첨가한 후 염미증강 효능을 평가한 결과 짠맛 강도 1, 5, 9의 NaCl 용액이 다시마 추출분말 1% 첨가 후 짠맛 강도 4.25, 10.08, 16.58로 상승하였다. 동일한 짠맛 강도에서 NaCl 용액과 다시마 추출분말이 첨가된 시험용액의 나트륨 함량을 측정하여 나트륨 저감화율을 분석한 결과 12.24~24.33%의 저감화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감칠맛과 정미성분이 풍부한 다시마 추출물은 조미소재뿐만 아니라 식품에서 나트륨 함량을 줄이기 위한 천연 염미증강제로서 산업적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decades, health concerns related to sodium intake have caused an increased demand for salt or sodium-reduced foods. Umami substance can enhance taste sensitivity to NaCl and may offer a unique approach to replace and reduce the sodium content in foods. In this study, hot water extraction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다시마 산지인 전남 완도군의 다시마를 이용하여 천연 염미증강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정미성분 추출에 적합한 다시마 수확시기를 선정하고, 추출 온도와 시간에 따른 다시마 추출물의 특성과 유리 아미노산 및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여 정미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열수 추출 조건을 검토하였다. 또한 정미성분이 최적으로 추출된 다시마 추출분말을 사용하여 천연염 미 증강제로서 의 효능을 평 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완도산 다시마로부터 염미증강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감칠맛을 나타내는 정미성분이 최적으로 추출되는 열수 추출 조건을 제시하였다. 정미성분이 풍부한 다시마 추출물의 염미증강제 효능 평가에서 NaCl 용액에 다시마추출분 말을 첨가하였을 때 짠맛 강도가 상승하였으며, 이때 나트륨 저감화율은 NaCl 농도에 따라 높아지면서 12.

가설 설정

  • 1)Values are mean土SD (n=3).
  • 1)Values are mean土SD (n=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Korea. 

  2. Rhee MY, Yang SJ, Oh SW, Park Y, Kim CI, Park HK, Park SW, Park CY. 2011. Novel genetic variations associated with salt sensitivity in the Korean population. Hypertens Res 34: 606-611. 

  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Korea. 

  4. Strazzullo P, D'lia L, Kandala NB, Cappuccio FP. 2009. Salt intake, stroke, and cardiovascular disease: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BMJ 339: b4567. 

  5. Tsugane S, Sasazuki S, Kobayashi M, Sasaki S. 2004. Salt and salted food intake and subsequent risk of gastric cancer among middle-aged Japanese men and women. Br J Cancer 90: 128-134. 

  6. Dervine A, Criddle RA, Dick IM, Kerr DA, Prince RL. 1995. A longitudinal study of the effect of sodium and calcium intakes on regional bone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Am J Clin Nutr 62: 740-745. 

  7. Ritz E, Koleganova N, Piecha G. 2009. Role of sodium intake in the progression of chronic kidney disease. J Ren Nutr 19: 61-62. 

  8. Nicklas TA, Weaver C, Britten P, Stitzel KF. 2005. The 2005 dietary guidelines advisory committee: developing a key message. J Am Diet Assoc 105: 1418-1424. 

  9. Department of Health. 2004. Choosing health: Making healthy choices easier. Department of Health, London, UK. p 18-39. 

  10. He FJ, Macgregor GA. 2012. Salt intake, plasma sodium, and worldwide salt reduction. Ann Med 44: S127-S137. 

  11. Lee C, Kim D, Hong J, Koh E, Kang B, Kim JW, Park HK, Kim C. 2012. Cost-benefit analysis of sodium intake reduction policy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17: 341-352. 

  12. van der Klaauw NJ, Smith DV. 1995. Taste quality profiles for fifteen organic and inorganic salts. Physiol Behav 58: 295-306. 

  13. Lawless HT, Rapacki F, Horne J, Hayes A. 2003. The taste of calcium and magnesium salts and anionic modifications. Food Qual Prefer 14: 319-325. 

  14. Yip T, Wan W, Hui PC, Lui SL, Lo WK. 2012. Severe hyperkalemia in a peritoneal dialysis patient after consumption of salt substitute. Perit Dial Int 32: 206-208. 

  15. Batenburg M, van der Velden R. 2011. Saltiness enhancement by savory aroma compounds. J Food Sci 76: S280-S288. 

  16. Kremer S, Mojet J, Shimojo R. 2009. Salt reduction in foods using naturally brewed soy sauce. J Food Sci 74: S255-S262. 

  17. IOM (Institute of Medicine). 2010. Strategies to reduce sodium intake in the United States. Henney JE, Taylor CL, Boon CS, ed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Washington, DC, USA. p 405-408. 

  18. Kim DS, Lee DS, Cho DM, Kim HR, Pyeun JH. 1995. Trace components and functional saccharides in marine algae-2. Dietary fiber contents and distribution of the algal polysaccharides. J Korean Fish Soc 28: 270-278. 

  19. Cho DM, Kim DS, Lee DS, Kim HR, Pyeun JH. 1995. Trace components and functional saccharide in seaweed-1. Changes in proximate composition and trace elements according to the harvest season and places. Bull Korean Fish Soc 28: 49-59. 

  20. Back SY, Kim HK, Jung SK, Do JR. 2014. Effects of alginate oligosaccharide on lipid metabolism in mice fed a high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491-497. 

  21. Choi JH, Kim DI, Park SH, Kim DW, Kim CM, Koo JG. 2000. Effects of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extract and fucoidan components on lipid metabolism of stressed mouse. J Korean Fish Soc 33: 124-128. 

  22. Ha JH, Kwon MC, Han JG, Jin L, Jeong HS, Choi GP, Park UY, You SG, Lee HY. 2008. Enhancement of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low molecular weight fucoidan isolated from Hizikia fusiforme.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545-550. 

  23. Bae TJ, Kang DS. 2013. Effects of blood-anticoagulant activity of fucoidan extracted from sporophylls of Undaria pinnatifida. Bull Fish Sci Inst Chonnam Nat' Univ 21: 24-31. 

  24. Choi JH, Kim DI, Park SH, Kim DW, Lee JS, Ryu JH, Chung YS. 1999. Effects of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and fucoidan components on anti-aging action. Korean J Life Science 9: 439-452. 

  25. Jeong EJ, Bang BH. 2003. The effect on the quality of yogurt added water extracted from sea tangle. Korean J Food & Nutr 16: 66-71. 

  26. Ku HS, Noh JS, Kim HJ, Cheigh HS, Song YO. 2007. Antioxidant effects of sea tangle added korean cabbage kimchi in vitro and in viv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97-1502. 

  27. Ham SS, Kim SH, Yoo SJ, Oh HT, Choi HJ, Chung MJ. 2008. Biological activities of soybean sauce (Kanjang) supplemented with deep sea water and sea tangle. Korean J Food Preserv 15: 274-279. 

  28. Bae TJ, Choi OS. 2001. Changes of free amino acid compositions and sensory properties in kochujang added sea tangle powder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 Nutr 14: 245-254. 

  29. Jung YH, Kim GB, Choe SN, Kang YJ. 1994. Preparation of Mook with sea mustard and sea tangle. 1. The optimum conditions of sea mustard and sea tangle Mooks. J Korean Soc Food Nutr 23: 156-163. 

  30. Han KH, Choi MS, Ahn CK, Youn MJ, Song TH. 2002. Soboru bread enriched with dietary fibers extracted from Kombu.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619-624. 

  31. Kim ML, Choi MA, Jeong JS. 2008. Development of fermented beverage using the sea tangle extra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thereof. Korean J Food Preserv 15: 21-29. 

  32. Bae TJ, Kang DS. 2000. Processing of powdered seasoning material from sea tangle. Korean J Food & Nutr 13: 521-528. 

  33. Kim WJ, Lee JK, Chang YS. 1994. Development of combined method for extraction of sea tangle.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51-56. 

  34. Lee BJ, Kim BJ. 2011. Fermentation condiment of sea-tangle extract by yeas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orean Patent 101025292. 

  35.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49-59. 

  36. Lee JK, Choi HS, Yoon SK, Kim WJ. 1993. Effect of extraction temperature on some quality of sea tangle extract. J Korean Soc Food Nutr 22: 771-776. 

  37. An MH. 200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a tangle extract (Laminaria japonica) by hot water. MS Thesis.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Korea. p 25-27. 

  38. Kim NM, Park MH, Jeon BS, Park CK, Yang JW. 1999. Roasting conditions for improvement of viscosity and sensory properties of sea tangle extracts. Korean J Food & Nutr 12: 484-489. 

  39. Lee EJ, Kwon OJ, Im MH, Choi UK, Son DH, Lee SI, Kim DG, Cho YJ, Kim WS, Kim SH, Chung YG. 2002. Chemical changes of kanjang made with barley bra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751-756. 

  40. Lee GH. 2011. A salt substitute with low sodium content from plant aqueous extracts. Food Res Int 44: 537-543. 

  41. Manabe M. 2008. Saltiness enhancement by the characteristic flavor of dried bonito stock. J Food Sci 73: S321-S325. 

  42. Mojet J, Heidema J, Christ-Hazelhof E. 2004. Effect of concentration on taste-taste interactions in foods for elderly and young subjects. Chem Senses 29: 671-6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