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출방법에 따른 제주산 애플망고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Jeju Apple Mango by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5, 2015년, pp.775 - 783  

안미란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바이오식품공학과) ,  금영수 (건국대학교 생명자원식품공학과) ,  이시경 (건국대학교 생명자원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제주산 애플망고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추출법으로 SE법, SDE법 및 SPME법을 이용하여 제주산 애플망고 시료로부터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 분석하여 효율적인 추출방법에 대해 비교하였다. 제주산 망고의 조단백질$0.22{\pm}0.01$, 조지방 $0.09{\pm}0.00$, 회분$0.27{\pm}0.02%$였으며, 유리당 함량은 sucrose, fructose, glucose의 순으로 높았고 maltose, lactose, galactose는 검출되지 않았다. 추출법을 달리하여 SE법, SDE법 및 SPME법에서 확인된 휘발성 향기성분은 각각 51종, 59종 및 71종이었으며, 추출된 망고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각 방법에 따라 11.44%, 15.68% 및 73.54%가 추출되었고 확인된 화합물의 종류 및 추출량에서 SPME법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휘발성 향기성분으로는 테르펜류와 그 유도체가 44.49~94.57%로 확인되어 망고의 향기성분을 판단하는 중요한 화합물의 조성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출방법에 따라 관능기별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망고의 주 향기성분인 ${\delta}$-3-carene의 경우 각 추출방법에서 높은 함유량을 보였으며 ${\alpha}$-phellandrene, ${\gamma}$-terpinene, trans-${\beta}$-ocimene, ${\alpha}$-terpinolene, limonene, ${\alpha}$-pinene, furaneol 등은 망고의 특징적인 향기성분으로 확인되었으며 SPME법으로 추출 시에 가장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volatile ingredients of Jeju Apple mango subjected to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and GC/MS. The crude protein, fat, and ash contents were $0.22{\pm}0.01$, $0.09{\pm}0.00$, and $0.27{\pm}0.0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열대과일에 대한 향기성분의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제주산 애플 망고(Irwin)의 이화학적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추출 방법을 달리하여 용매추출(solvent extraction, SE)법, 연속 수증기증류(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SDE)법, 고체상미세추출(solid-phase microextraction, SPME)법을 이용하여 애플망고로부터 휘발성 향기 성분을 추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추출방법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이를 제품 품질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제주산 애플망고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추출법으로 SE법, SDE법 및 SPME법을 이용하여 제주산 애플망고 시료로부터 휘발성 향기 성분을 추출 분석하여 효율적인 추출방법에 대해 비교하였다. 제주산 망고의 조단백질이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eok RC. 2007. Humans and food. Korea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 8, 109. 

  2. Go SC, Park YC, Gang SH, Gang JH, Gang SG, Lee SS. 2010. Mango cultivation technology in 2010.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Jeju, Korea. p 12-162. 

  3. Park JK, An KW, Ahn YS. 2010. Mango.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ress, Gwangju, Korea. p 7-24. 

  4. Sandu KS, Bhatia BS. 1985. Physico-chemical changes during preparation of fruit juice concentrate. J Food Sci Technol 22: 202-206. 

  5. Lee HJ, Park ER, Kim KS. 2000.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various varieties of apple (Malus pumila 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597-605. 

  6. Lee HC, Seo HY, Shin DB, Park YK, Kim YS, Ji JR, Choi HD. 2009.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of volatile components form strawberry.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615-621. 

  7. Park ER, Jo JO, Kim KS. 1999.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various varieties of peach (Prunus persica L.) cultivated in Korea.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206-215. 

  8. Park ER. 2003. Study on flavor components in pear (Pyrus pyrifolia N.). PhD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9. Seo HY, Lee HC, Kim YS, Choi IW, Park YK, Shin DB, Kim KS, Choi HD. 2008. Characteristic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Fuji apples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651-1621. 

  10. Kader AA. 2008. Fresh-cut mangos as value-added product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http://ucanr.edu/datastoreFiles/608-653.pdf. 

  1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l.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lington, VA, USA. Method 920.39, 955.04, 942.05, 934.01. 

  12. Schultz TH, Flath RA, Mon TR, Eggling SB, Teranishi R. 1997. Isolation of volatile components from a model system. J Agric Food Chem 25: 446-449. 

  13. Park MS, Park JH, Oh DH. 2011. Quality and volatile-flavor compound characteristics of Hypsizigus marmoreus. Korean J Food Preserv 18: 552-558. 

  14. Korean Food Standards Codex. 201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eoul, Korea. Available from: http://www.foodnara.go.kr/kisna/index.do (accessed Sep 2013). 

  15. An MR. 2014.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in mango (Mangifera indica L.)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M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16. Hong SB, Lee SJ, Kim YH, Hwang YS, Yoon KH, Lee SI, Nam MY, Song LE, Baek IY, Kim HK, Choung MG. 2010. Variation of protein, oil, fatty acid, and sugar contents in black soybean cultivars according to different latitudes. Korean J Environ Agric 29: 120-128. 

  17. Reineccius GA. 2007. Flavour-isolation techniques. In Flavours and Fragrances: Chemistry, Biopro-cessing and Sustainability. Berger RG, ed. Springer Verlag, Berlin, Germany. p 409-414. 

  18. Laohakunjit N, Uthairatakij A, Kerdchoecuen O, Chatpaisarn A, Photchanachai S. 2005. Identification of changes in volatile compound in ${\gamma}$ -irradiated mango during storage. International Symposium of "New Frontier of Irradiated Food and Non-food Products" KMUTT, Bangkok, Thailand. p 10-18. 

  19. Zhu J, Park KC, Baker TC. 2003. Identification of odors from overripe mango that attract vinegar flies, Drosophila melanogaster. J Chem Ecol 29: 899-909. 

  20. Lebrun M, Plotto A, Goodner K, Ducamp MN, Baldwin E. 2008. Discrimination of mango fruit maturity by volatiles using the electronic nose and gas chromatography. Postharvest Biol Technol 48: 122-131. 

  21. Tamura H, Boonbumrung S, Yoshizawa T, Varanyanond W. 2001. The volatile constituents in the peel and pulp of a green Thai mango, Khieo Sawoei cultivar (Mangifera indica L.). Food Sci Technol Res 7: 72-77. 

  22. Malundo TMM, Baldwin EA, Moshonas MG, Baker RA, Shewfelt RL. 1997. Method for the rapid headspace analysis of mango (Mangifera indica L.) homogenate volatile constituents and factors affecting quantitative results. J Agric Food Chem 45: 2187-2194. 

  23. MacLeod AJ, Snyder CH. 1985. Volatile components two cultivars of mango from Florida. J Agric Food Chem 33: 380-384. 

  24. Engel KH, Tressl R. 1983. Studies on the volatile components of two mango varieties. J Agric Food Chem 31: 796-801. 

  25. Koulibaly A, Sakho M, Crouzet J. 1992. Variability of free and bound volatile terpenic compounds in mango. Lebensm Wiss Technol 25: 374-379. 

  26. Gholap AS, Bandyopadhyay C. 1977. Characterisation of green aroma of raw mango (Mangifera indica L.). J Sci Food Agric 28: 885-888. 

  27. Wilson III CW, Shaw PE, Knight Jr RJ. 1990. Importance of some lactones and 2,5-dimethyl-4-hydroxy-3(2H)-furanone to mango (Mangifera indica L.) aroma. J Agric Food Chem 38: 1556-1559. 

  28. Pino JA, Mesa J, Munoz Y, Marti MP, Marbot R. 2005. Volatile components from mango (Mangifera indica L.) cultivars. J Agric Food Chem 53: 2213-22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