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스피스완화의료 사회복지사 e-learning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e-learning Education Programs for Social Worker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8 no.1, 2015년, pp.9 - 15  

심혜영 (국립암센터 호스피스완화의료사업과) ,  장윤정 (국립암센터 호스피스완화의료사업과)

초록

말기암환자 관리를 위해서 전문인력 교육은 필수적이다. 정부에서는 암관리법을 통해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양적 확대를 기반으로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제2기 암정복 10개년 계획에서 전문인력 확충계획을 발표하였다. 그간,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훈련을 위한 표준교육 과정과 의사/간호사 e-learning에 이어 이번 사회복지사 e-learning을 개발하여 운영하게 되었다. 호스피스완화의료 현장에서 사회복지사는 호스피스완화의료 대상자들의 심리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중추적 역할을 수행해왔으며, 우리나라 호스피스완화의료가 정착되고 제도화되기까지 현장에서 전문가의 책임과 역할을 다해오고 있다. 하지만 그간 사회복지사 직종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과정이 없는 실정으로 사회복지 실천 지식과 기술을 충분히 습득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 호스피스완화의료 사회복지사 e-learning 과정 개발을 통해 말기암환자를 돌보는 사회복지사의 정체성과 전문성, 임상현장에서의 실천능력이 함양되고 교육 접근성이 향상될 것이며, 향후 보수교육 과정을 통한 지속적인 전문성 보장을 위한 교육제도가 제도적으로 도입되어 더욱 발전하길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ducation is essential for specialists in charge terminal care of cancer patients. In the second 10-year plan to conquer cancer under the Cancer Control Act,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a plan to train mor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HPC) specialists based on quantitative HPC expansion. Speci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호스피스완화의료 사회복지사 e-learning 개발 과정에 대해 국내외 호스피스완화의료 사회복지사교육 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교육 개발 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 정부에서는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질적ㆍ양적 확대와 함께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제2기 암정복 10개년 계획에서 전문인력 확충 목표 달성을 위해 직종별로 2010년 간호 e-learning, 2012년 의사 e-learning을 개발 완료하였고, 2013년부터는 호스피스완화의료 사회복지사 e-learning 교육 과정을 개발하여 2014년 5월부터 운영하고 있다. 호스피스완화의료 사회복지사 e-learning 과정의 목적은 교육 참여의 접근성을 높여 호스피스완화의료 사회복지영역의 전문성을 함양하고,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필수적지식 및 기술을 학습함으로써,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식 고취로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서비스 제공 질을 향상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말기암환자는 어떤 증상을 겪는가? 한국인의 사망 형태를 살펴보면 사망 인구 중 30%는 심근경색, 뇌졸중, 사고 등 예측하지 못한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70%는 암과 같이 예측 가능한 경과와 투병 기간이 짧은 ‘말기’로 사망한다(2). 특히, 말기 암은 여러 치료에도 불구하고 암이 계속 진행 및 악화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말기암환자들은 통증, 피로감, 쇠약감, 식욕 부진 등과 같은 신체적 증상과 불안, 우울과 같은 정신적인 증상으로 고통을 겪게 된다(3). 더불어, 말기암환자의 가족은 장기간 환자 간병으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으로 많은 부담을 겪고 고가의 진료비로 인한 경제적인 어려움도 겪을 수 있다(4).
미국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 사회복지사의 자격인증은 몇 년마다 갱신해야하는가? 미국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 사회복지사(Advanced Certifie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ocialWorker, ACHP-SW)가 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분야 석사 학위 소지자로서 완화의료 실무경력 최소 2년(3,000시간) 이상, 관련 연수교육 20시간 이상을 받아야 한다. 또한 사회복지사로서의 직무능력을 갖췄음을 입증할 수 있는 동료와 전문가의 평가결과가 요구되며 2년마다 갱신해야 한다(12). 대만의 경우, 호스피스완화의료 사회복지사는 공식적인 자격증은 없으나 의사와 간호사에게 요구하는 80시간(실습 20시간)의 교육시간 보다 더 긴 100시간(실습 40시간)을 요구한다.
말기암환자 완화의료의 목적은 무엇인가? 더불어, 말기암환자의 가족은 장기간 환자 간병으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으로 많은 부담을 겪고 고가의 진료비로 인한 경제적인 어려움도 겪을 수 있다(4). 말기암환자 완화의료는 통증과 증상의 완화 등을 포함한 신체적, 심리사회적, 영적 영역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와 치료를 통하여 말기암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것이 목적이다(5).보건복지부는 2006년 제2기 암정복 10개년 계획(2006∼2015)을 수립하면서 말기암환자들이 여러 신체 증상으로 고통 받고 있으나 적절한 의료제공이 되지 않는 점을 지적하고, 말기암환자 지원을 위한 완화의료전문기관을 지정하여 인력, 시설, 장비를 지원하는 내용을 암정복 10개년 계획에 포함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orea death statistics [Internet]. Daejeon: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c2013 [cited 2014 Nov 17].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34E01&conn_pathI2. 

  2. National Cancer Center. Introduction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alliative care team. Goyang:National Cancer Center;2012. 

  3. Lee HR. Management of non-pain symptoms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based on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guideline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3;16:205-15. 

  4. Ahn EJ, Lee YS. Burnout and burden of family care-givers for caring of terminal patients with cancer. J Korean Oncol Nurs 2005:5;40-51. 

  5. Cancer Control Act [Internet]. Sejong: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c2013 [cited 2014 Sep 4].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Sc.do?menuId0&p1&subMenu1&nwYn1&query%EC%95%94%EA%B4%80%EB%A6%AC%EB%B2%95&x0&y0#liBgcolor0. 

  6. Park EC. National cancer control policy: theory and practice. Goyang:National Cancer Center;2010. 

  7. Parker-Oliver D, Bronstein LR, Kurzejeski L. Examining variables related to successful collaboration on the hospice team. Health Soc Work 2005;30:279-86. 

  8. Reese DJ, Sontag MA. Successful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on the hospice team. Health Soc Work 2001;26:167-75. 

  9. Reith M, Payne M. Social work in end-of-life and palliative care. J Palliat Med 2009;12:1163-4. 

  10. Ro YJ, Han SS, Yoo YS, Yong JS. Development of task guidelines for hospice team member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1;4:26-40. 

  11. World Health Organization. Cancer control: knowledge into action: WHO guide for effective programmes. module 5, Palliative care.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12. Continuing education approval program guidelines [internet].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c2006 [cited 2014 Sep 15]. Available from: http://www.socialworkers.org/pdev/default.asp. 

  13. Lee CY, Komatsu H, Zhang W, Chao Y-F, Kim KK, Kim GS, et al. Comparison of the hospice systems in the United States, Japan and Taiwan. Asian Nurs Res 2010;4:163-73. 

  14. Lee YS. Current status of palliative social worker education. Hospice & palliative care professionals workshop for planning standard training program delivery; 2008 Oct 28; Korea. Goyang: National Cancer Center; 2008. 

  15. Kim CG, Lee KJ, Lee YS. Developing curriculum for hospice social worker in Korea. Korean J Soc Welf 2005;10:407-13. 

  16. National Cancer Center. Education report on the 2005 hospice palliative institutionalization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Goyang: National Cancer Center; 2006. 

  17. Lee MK, Lee YS, Lee JH.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hospice 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 for medical social workers. Korean J Med Soc Work 2009;2:59-78. 

  18. Choi Ek, Yoo YS, Kim HS, Lee SW. Curriculum development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nurse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6;9:77-85. 

  19. Ruiz JG, Mintzer MJ, Leipzig RM. The impact of E-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Acad Med 2006;81:207-12. 

  20. Chung J. Televised teaching effectiveness: two case studies. Educational Technology 1991;31:41-7. 

  21. Romiszowski A, Mason R.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In: Jonassen DH. Handbook of research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New York:Macmillan Library Reference USA; 1996. p. 397-431. 

  22. Park JH, Son JY, Yoo NJ, Kim S. A review on usage and effectiveness of e-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Korean Med Educ 2010;22:91-100. 

  23. Kim DI, Lee HJ, Son JY. Practical solutions for establishing blended e-learning system to improve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Asian J Educ 2005;6:97-1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