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삼음삼양(三陰三陽) 개합추(開闔樞) 이론(理論)의 임상적(臨床的) 활용(活用)에 대한 고찰(考察) - 병증(病證) 및 방약(方藥)에 대한 설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Sameumsamyang(三陰三陽) Gaehapchu(開闔樞) to Clinical Treatment - Focusing on the Explanation of Diseases and Prescriptions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28 no.3, 2015년, pp.125 - 139  

백유상 (경희대학교 한의학과대학 원전학교실) ,  김도훈 (가천대학교 한의학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In this article,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Sameumsamyang Gaehapchu to clinical treatment in some important medical books of traditional medicine, for example Jienuelunshu(?虐論疏) etc, is investigated. Methods : The literatures containing the application were searched in the Sikuqu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開闔樞 이론을 임상에 적용한 역대 문헌자료 중에서 『內經』의 원문에 대한 주석이나 이론 중심의 설명을 제외하였으며 그 가운데 특징적인 내용 중심으로 선별하였다. 또한 開闔樞 이론이 開闔樞 상호 간의 기능적 관계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문헌 속의 설명들 속에서 開闔樞 상호 간의 관계가 어떻게 인식되었는지를 정리하였고 이를 통하여 임상 현실에서 開闔樞 이론이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활용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 三陰三陽의 開闔樞 개념은 『內經』에서 주로 인체의 공간 분포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었고 그것은 궁극적으로 經絡 이론과 관련이 깊다. 또한 임상적으로는 開闔樞 기능이 상실되었을 경우에 나타나는 여러 병증들을 진단하여 해당 經絡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역대 문헌 가운데 『素問·陰陽離合論』과 『靈樞·根結』에 대하여 주석을 가하거나 開闔樞의 생리적인 기능들을 설명한 이론적인 내용들을 제외하고, 실제 임상 현실에서 구체적인 病機나 病證 또는 약물, 처방의 효능들을 開闔樞 이론을 활용하여 어떻게 설명하였는지에 대한 자료들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역대 문헌 가운데 『素問·陰陽離合論』과 『靈樞·根結』에 대하여 주석을 가하거나 開闔樞의 생리적인 기능들을 설명한 이론적인 내용들을 제외하고, 실제 임상 현실에서 구체적인 病機나 病證 또는 약물, 처방의 효능들을 開闔樞 이론을 활용하여 어떻게 설명하였는지에 대한 자료들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주로 三陰三陽의 開闔樞 이론이 임상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활용되었는지 즉, 특정 病機나 病證을 설명하거나 약물과 처방의 효능을 설명하는데 활용된 예들을 문헌을 통하여 살펴보고 그 특징적인 내용들을 고찰해 보았다. 開闔樞 이론을 임상에 적용한 역대 문헌자료 중에서 『內經』의 원문에 대한 주석이나 이론 중심의 설명을 제외하였으며 그 가운데 특징적인 내용 중심으로 선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三陰三陽의 開闔樞 이론은 어디서 다루고 있나? 三陰三陽의 開闔樞 이론은 『黃帝內經』의 『素問․陰陽離合論』과 『靈樞․根結』에서 다루고 있는데, 여기서는 三陰三陽의 開闔樞 배속과 開闔樞의 기능 이상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여러 병증 및 치료방법이 제시되어 있을 뿐 구체적으로 開闔樞 각각의 기능과 작용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또한 『內經』 이후의 여러 의가들이 開闔樞의 의미에 대하여 많은 논설을 제시하였으나 그것은 『內經』의원문을 의미론적으로 주석한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그 가운데 실제 임상에서 開闔樞 이론을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한 설명은 많지 않았다.
三陽 가운데에서는 太陽과 陽明이 開闔 관계가 되는데, 이 때 開闔이 의미하는 것은? 三陽 가운데에서는 太陽과 陽明이 開闔 관계가 되는데, 『醫宗金鑑』에서는 계절에 따른 衄血의 치료에서 왜 봄, 여름에 태양을 치료하고 가을, 겨울에 양명을 치료하는지를 太陽과 陽明의 開闔 관계를 통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때의 開闔은 天地四時의 기운이 운행하면서 안팎으로 출입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絳雪園古方選註』의 調中散 조문에서는桂枝, 乾薑, 五味子로 太陽을 열고 人蔘, 白朮, 炙甘草로 陽明을 닫는다고 설명하고 있다.
『內經』 이후 開闔樞 이론의 임상적 활용을 살펴보아야 하는 이유는? 『內經』 이후 開闔樞 이론의 임상적 활용을 살펴보아야 하는 이유는 첫째, 『靈樞․根結』의 開闔樞 관련 내용이 분명히 임상적 활용을 전제로 하고 있으므로 기본적으로 그것이 후대에 어떻게 이어졌는가를 알아볼 필요가 있으며, 다음으로 『內經』 및 이후의 의서에서 설명한 開闔樞의 기능이 포괄적이거나 인체의 생리적인 측면에 치우쳐 있으므로, 임상가들이 실제 치료 현장에서 어떻게 開闔樞 개념을 활용했는지를 살펴보면 開闔樞 이론의 의미가 풍부해지고 향후 그 활용가치도 높아질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洪元植. 精校黃帝內經素問. 서울. 東洋醫學硏究院. 1981. p.29, 213.(Hong WS. Jeonggyohwangjenaegyeongsomun. Seoul.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1981. p.29.) 

  2. 洪元植. 精校黃帝內經靈樞. 서울. 東洋醫學硏究院. 1981. p.50.(Hong WS. Jeonggyohwangjenaegyeongyeongchu. Seoul.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1981. p.50.) 

  3. 張介賓. 類經.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4. pp.286-287.(Zhang JB. Leijing. Beijing. Renminweichengchubanshe. 1994.) 

  4. 章潢 撰. 圖書編(四卷).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1992. p.133.(Zhang H. Tushubian(vol.4). Shanghai. Shanghaigujichubanshe. 1992. p.133.) 

  5. 戴思恭. 推求師意(欽定四庫全書.子部五.醫家類.卷33). 서울. 대성문화사. 1995. p17.(Daisigong. Tuiqiushiyi. Seoul. Publisher of Daesung. 1995. p.17.) 

  6. 盧之?. ??論疏(欽定四庫全書.子部五.醫家類.卷47). 서울. 대성문화사. 1995. pp.70-72.(Lu ZY. Jienuelunshu(Qinding Sikuquanshu). Seoul. Publisher of Daesung. 1995. pp.70-72.) 

  7. 盧之?. 本草乘雅半偈.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6. p.51, 120, 163, 174, 271, 282, 333. pp.298-299.(Lu ZY. Bencaochengyabanjie. Beijing. Renminweichengchubanshe. 1986. p.51, 120, 163, 174, 271, 282, 333. pp.298-299.) 

  8. 江蘇新醫學院. 中藥大辭典. 上海. 上海科學技術出版社. 2004. p.32, 71, 225, 387, 452, 480, 570, 617, 656, 672, 707, 777, 986, 1092, 1173, 1191, 1298, 1597, 1690, 1767, 1772, 1835, 1914, 2019, 2308, 2316, 2436.(Jiangsuxinyixueyuan. Zhongyaodacidian. Shanghai. Shanghaikexuejishuchubanshe. 2004. p.32, 71, 225, 387, 452, 480, 570, 617, 656, 672, 707, 777, 986, 1092, 1173, 1191, 1298, 1597, 1690, 1767, 1772, 1835, 1914, 2019, 2308, 2316, 2436.) 

  9. 喩昌. 喩嘉言醫學三書(醫門法律).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2004. p.594, 657.(Yu C. Youjiayan Yixuesanshu(Yimenfalu). Beijing. Zhongyigujichubanshe. 2004. p.594, 657.) 

  10. 王子接. 絳雪園古方選註.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6. p.24, 36, 91. pp.26-27.(Wang ZJ. Jiangxueyuangufangxuanzhu. Beijing. Zhongyigujichubanshe. 1996. p.24, 36, 91. pp.26-27.) 

  11. 吳謙 外. 御纂醫宗金鑑.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6. p.551.(Wu Q. Yuzuanyizongjinjian. Beijing. Renminweichengchubanshe. 1996. p.551.) 

  12. 劉力紅, 陳治恒. 論開闔樞機理在傷寒論中的運用. 廣西中醫藥. 1992. 15(1). pp.29-31.(Liu LH, Chen ZH.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Kai-He-Shu to Shanghanlun. Guangxi Journal of TCM. 1992. 15(1). pp.29-31.) 

  13. 劉力紅, 陳治恒. 論開闔樞機理在傷寒論中的運用(續完). 廣西中醫藥. 1992. 15(2). pp.34-39.(Liu LH, Chen ZH.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Kai-He-Shu to Shanghanlun(conclusion). Guangxi Journal of TCM. 1992. 15(2). pp.34-39.) 

  14. 樊毓運. 傷寒論氣化學說理論和臨床應用探討. 廣州中醫藥大學大學院. 2012. pp.1-95.(Fan YY. Theoretical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of Qi transformation Theory in Treatise on Febrile Disease. Guangzhou University of Chinese Medicine. 2012. pp.1-95.) 

  15. 박찬국. 三陰三陽과 氣의 變化.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1995. 9. pp.1-9.(Park CK. Sameumsamyang and the Change of Gi. 1995.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9. pp.1-9.) 

  16. 김인락. 開闔樞와 關闔樞.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1995. 9. pp.10-19.(Kim IR. 1995 Gaehapchu and Gwanhapchu.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9. pp.10-19.) 

  17. 尹暢烈. 三陰三陽의 開闔樞에 관한 考察. 대전대학교한의학연구소논문집. 1996. 5(1). pp.13-25.(Yoon CR. A study on the Concept of Gaehapchu in the Theory of Sameumsamyang. Oriental Medical Journal of Daejeon University. 1996. 5(1). pp.13-25.) 

  18. 조용주, 김진주. 開闔樞 기능에 관한 硏究. 경락경혈학회지. 2008. 25(1). pp.19-37.(Cho YJ, Kim JJ. A study on the function of Gae-Hap-Chu. Journal of Meridian & Acupoint. 2008. 25(1). pp.19-37.) 

  19. 강정수. 開闔樞에 關한 硏究. 대전대학교한의학연구소논문집. 1996. 4(2). pp.63-72.(Kang JS. A study on the Concept of Gaehapchu. Oriental Medical Journal of Daejeon University. 1996. 4(2). pp.63-72.) 

  20. 李容範. 關闔樞의 조합원리 및 몇 가지 활용 예.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04. 17(1). pp.218-225.(Lee YB. The principle of Combination of Gaehapchu.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04. 17(1). pp.218-225.) 

  21. 黃鳳娜. 關于陰陽開闔樞協調寤寐的機理探討. 河南中醫. 2007. 27(10). pp.5-6.(Huang FN. A study on the Mechanism of Sleeping and Waking relating to the Harmony of Kai-He-Shu. Hena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07. 27(10). pp.5-6.) 

  22. 馬桂琴. 試論開闔樞與抗風濕經方應用. 中國中醫基礎醫學雜誌. 2014. 20(4). p.461. pp.433-434.(Ma GQ. A study on the Theory of Kai-He-Shu and the Application of Prescription against the Wind and the Humidity. Chinese Journal of Basic Medicine in TCM. 2014. 20(4). p.461. pp.433-434.) 

  23. 陶繼恩, 胡苗苗, 熊廣明, 韋秋連. 開闔樞理論在鍼灸臨床中的運用. 山西中醫. 2012. 28(1). pp.35-36.(Tao JE, Hu MM, Xiong GM, Wei QL.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Kai-He-Shu to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reatment. Shanxi Journal of TCM. 2012. 28(1). pp.35-36.) 

  24. 李容範. 楊上善의 三陰三陽學說에 대한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1996. 10. p.469.(Lee YB. A Study on Yangsangseon's Theory of Sameumsamyang.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1996. 10. p.469.) 

  25. 朴贊國. 素問 陰陽離合論을 중심으로 한 三陰三陽 硏究.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1992. 6. pp.131-137.(Park CK. A Study on Sameumsamyang in Somun Eumyangihapron.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1992. 6. pp.131-137.) 

  26. 林鎭錫. 陰陽離合論의 三陰三陽과 開闔樞.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1998. 11(2). p.21, 23.(Lim JS. Sameumsamyang and Gaehapchu in Eumyangihapron.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1998. 11(2). p.21, 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