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 환자의 골관절염 수술 후 발생한 섬망과 섬망 위험요인
Postoperative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Surgery: Incidence and Risk Factors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2 no.2, 2015년, pp.57 - 66  

박은아 (부경대학교 간호학과) ,  김민영 (울산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surgery and identify risk factors for its development. Methods: This study enrolled 288 patients who underwent osteoarthritis surgery in a hospital between May and Nov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골관절염 수술을 시행하는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섬망 위험요인 및 섬망 관련 특성을 전향적으로 조사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골관절염으로 수술을 시행하는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섬망 발생률과 섬망 발생 여부에 따른 섬망 발생 위험요인을 규명하고, 섬망의 특성을 파악하여 수술 후 섬망 발생 위험이 높은 대상자를 예측하고,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골관절염 수술 후 섬망 발생률은 14.
  • 본 연구의 목적은 골관절염으로 수술을 시행한 노인 환자의 섬망 발생 위험요인과 섬망 발생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후 정신의학과 전문의가 환자를 진료한 후 최종 섬망을 진단하였다. 섬망 관찰 기간은 선행연구에서 수술 환자의 섬망은 수술 후 평균 1~4일 내에 발생한다고 하였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수술 후 섬망을 파악하기 위해 수술 후 마취가 깬 시간부터 수술 후 5일까지 대상자의 섬망 유무를 매일 관찰하고 기록하였다. 섬망이 진단된 환자는 섬망이 회복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관찰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골관절염으로 수술을 시행한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섬망 발생 여부에 따른 섬망 발생 위험요인을 규명하고 섬망 발생 특성을 파악하여, 섬망 발생 위험이 높은 대상자를 예측하고, 섬망 발생 예방 및 섬망 발생 조기 대처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 , 2014). 특히 골관절염 수술의 경우 노인 환자의 비율이 높고,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어, 본 연구에서는 골관절염 노인 환자의 수술 후 섬망 발생의 특성을 파악하고, 섬망 발생 위험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관절염이란 무엇인가? 골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의 점진적인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발생하여 관절통증, 강직, 활동제한, 관절 마찰음을 동반하는 대표적인 만성질환으로 노인에게 유병율이 높다(Bijlsma, Berenbaum, & Lafeber, 2011; Kim & Bae, 2014). 국내 65세 이상 노인의 골관절염 유병률은 2013년 37.
골관절염 수술을 시행한 환자의 나이는 섬망 발생과 어떤 연관을 보이는가? 섬망 발생 위험요인은 나이, 수술 전 낮은 활동상태, 항정신성 약물 복용력, 수술 후 3개 이상의 카테터 삽입과 중환자실 입실 유무였다. 나이의 경우 70세 미만에서 섬망 발생률이 4.4%였으나, 70대에서 19.5%, 80세 이상에서는 40.0%로 조사되어, 고령일수록 섬망 발생률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나이는 여러 연구에서 섬망 위험 요인으로 조사되었으며(Noimark, 2009; van Meenen et al.
수술 후 발생하는 섬망은 어떤 증상을 동반하는가? 노인은 수술 후 회복능력이 느리고, 합병증도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일반 환자보다 수술 후 섬망도 더 많이 발생한다(Inouye, Westendorp, & Saczynski, 2014; Noimark, 2009). 수술 후 발생하는 섬망은 주의력 결핍, 의식변화, 인지기능장애 및 수면주기의 변화 등 다양한 증상을 동반하는 급성 정신장애 증후군으로서(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수술 후 부정적인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nouye et al., 2014; Noimark,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belha, F. J., Luis, C., Veiga, D., Parente, D., Fernandes, V.,Santos, P., et al. (2013). Outcom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postoperative delirium during an ICU stay following major surgery. Critical Care, 17(5), R257. http://dx.doi.org/10.1186/cc13084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V. 5th edit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3. Ansaloni, L., Catena, F., Chattat, R., Fortuna, D., Franceschi, C., Mascitti, P., et al. (2010). Risk factors and incidence of postoperative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after elective and emergency surgery. British Journal of Surgery, 97(2), 273-280. http://dx.doi.org/10.1002/bjs.6843 

  4. Bellelli, G., Mazzola, P., Morandi, A., Bruni, A., Carnevali, L., Corsi, M., et al. (2014). Duration of postoperative delirium i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6-month mortality in older adults after hip fractur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62(7), 1335-1340. http://dx.doi.org/10.1111/jgs.12885 

  5. Bijlsma, J. W., Berenbaum, F., & Lafeber, F. P. (2011). Osteoarthritis: An update with relevance for clinical practice. Lancet, 377(9783), 2115-2126. http://dx.doi.org/10.1016/s0140-6736(11)60243-2 

  6. Chung, M. H., Yun, S. O., Park, J. H., Chu, S. O., Oh, S. Y., & Kim, M. Y. (2011). Predictors of delirium in patients after orthopedic surger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3), 443-454. 

  7. Contin, A. M., Perez-Jara, J., Alonso-Contin, A., Enguix, A., & Ramos, F. (2005). Postoperative delirium after elective orthopedic surger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6), 595-597. http://dx.doi.org/10.1002/gps.1335 

  8. Dasgupta, M., & Dumbrell, A. C. (2006). Preoperative risk assessment for delirium after noncardiac surgery: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4(10), 1578-1589.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06.00893.x 

  9. Gaudreau, J. D., Gagnon, P., Harel, F., Tremblay, A., & Roy, M. A. (2005). Fast, systematic, and continuous delirium assessment in hospitalized patients: The nursing delirium screening scale.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29(4), 368-375. http://dx.doi.org/10.1016/j.jpainsymman.2004.07.009 

  10. Inouye, S. K., Westendorp, R. G., & Saczynski, J. S. (2014). Delirium in elderly people. Lancet, 383(9920), 911-922. http://dx.doi.org/10.1016/s0140-6736(13)60688-1 

  11. Juliebo, V., Bjoro, K., Krogseth, M., Skovlund, E., Ranhoff, A. H., & Wyller, T. B. (2009). Risk factors for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with hip fractur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7(8), 1354-1361.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09.02377.x 

  12. Kang, K. B., Suh, D. H., & Oh, S. R. (2011). Delirium after intertrochanteric fractures of femur in elderly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Fractures Society, 24(2), 131-137. http://dx.doi.org/10.12671/jkfs.2011.24.2.131 

  13. Kim, K. N., Kim, C. H., Kim, K. I., Yoo, H. J., Park, S. Y., & Park, Y. H.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nursing delirium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3), 414-423. http://dx.doi.org/10.4040/jkan.2012.42.3.414 

  14. Kim, M. J., & Bae, S. H. (2014).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with osteoarthritis: Based on the 2010-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1(3), 195-205. http://dx.doi.org/10.5953/JMJH.2014.21.3.195 

  15.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3). The aged population statistics. Retrieved May 5, 2015,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0&tblIdTX_35004 

  16. Mazzola, P., Bellelli, G., Broggini, V., Anzuini, A., Corsi, M., & Berruti, D., et al. (2015). Postoperative delirium and pre-fracture disability predict 6-month mortality among the oldest old hip fracture patients. 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27(1), 53-60. http://dx.doi.org/10.1007/s40520-014-0242-y 

  17. Noimark, D. (2009). Predicting the onset of delirium in the postoperative patient. Age and Ageing, 38(4), 368-373. http://dx.doi.org/10.1093/ageing/afp024 

  18. Pauley, E., Lishmanov, A., Schumann, S., Gala, G. J., van Diepen, S., & Katz, J. N. (2015). Delirium is a robust predictor of morbidity and mortality among critically ill patients treated in the cardiac intensive care unit. American Heart Journal, 170(1), 79-86.e1 http://dx.doi.org/10.1016/j.ahj.2015.04.013 

  19. Robinson, T. N., Raeburn, C. D., Tran, Z. V., Angles, E. M., Brenner, L. A., & Moss, M. (2009). Postoperative delirium in the elderly: Risk factors and outcomes. Annals of Surgery, 249(1), 173-178. http://dx.doi.org/10.1097/SLA.0b013e31818e4776 

  20. Song, W. S., Choi, J. C., Lee, Y. S., Na, H. Y., Choi, J. W., Kim, W. S., et al. (2008). The risk factors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with hip fracture. Journal of the Korean Hip Society 20(4), 293-298. 

  21. Staus, R. (2011). Delirium in the older adult orthopaedic patient: Predisposing, precipitating, and organic factors. Orthopaedic Nursing, 30(4), 231-238. http://dx.doi.org/10.1097/NOR.0b013e3182247c79 

  22. Steve, M. M., Unlu, C., Jurriaan, B. T., Honig, A., Van Wagensveld, B. A., Steller, E. P., et al. (2014).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delirium in the elderly general surgical patient. American Journal of Surgery, 208(1), 26-32. http://dx.doi.org/10.1016/j.amjsurg.2013.12.029 

  23. Sykes, P. K. (2012).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ostoperative delirium among older patients on an orthopedic surgical unit: A best practice implementation project.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7(2), 146-153. http://dx.doi.org/10.1097/NCQ.0b013e31823f8573 

  24. van Meenen, L. C., van Meenen, D. M., de Rooij, S. E., & ter Riet, G. (2014). Risk prediction models for postoperative delirium: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62(12), 2383-2390. http://dx.doi.org/10.1111/jgs.13138 

  25. Witlox, J., Eurelings, L. S., de Jonghe, J. F., Kalisvaart, K. J., Eikelenboom, P., & van Gool, W. A. (2010).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and the risk of postdischarge mortality, institutionalization and dementia: A meta-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304(4), 443-451. http://dx.doi.org/10.1001/jama.2010.1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