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갈대 뿌리 추출물을 첨가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 개발
Development of Rose Sparkling Wine with Reed Root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8 no.4, 2015년, pp.666 - 675  

빙동주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한진 ((주)갈대나라) ,  이오석 (영동대학교 와인발효식품학과) ,  전순실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갈대 뿌리 추출물을 첨가한 베이스 와인을 제조하고, 이에 효모를 첨가한 스파클링 와인을 제조하였다. 발효 과정 중 베이스 와인의 pH는 발효 기간이 늘어날수록 두 군 모두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발효 14일차에는 각각 3.21과 3.23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며(p>0.05), 산도는 두 군 모두 증가하였다. 당도는 발효 14일차 각각 $7.33^{\circ}Brix$, $6.90^{\circ}Brix$로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알코올 함량은 발효 14일차 대조군과 첨가군이 13.83%, 14.20%로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다(p<0.05). 색도는 발효 1일차에는 두 군 모두 명도(lightness)가 높아졌는데, 효모의 첨가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발효 기간이 증가할수록 두 군 모두 낮아졌다. 적색도(redness)와 황색도(yellowness)는 발효 14일차에는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은 대조군과 첨가군이 각각 29.19 mg/100 mL, 34.97 mg/100 mL로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큰 변화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플라보노이드는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두 군 모두 감소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 결과, 대조군과 첨가군은 각각 44.26%, 64.37%로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알코올 도수 14%의 로제 베이스 와인에 효모의 생육이 억제되어 발효가 일어나지 않아 갈대 뿌리 추출물을 첨가하여 알코올 도수 8%로 낮춘 후 효모 5종을 접종하였다. 스파클링 와인의 발효 기간 중 pH는 A군을 제외한 실험군들은 모두 발효 1일차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당도는 실험군들 모두 감소하였으며, 알코올 함량은 다소 증가하였다. 병내 기압은 발효 8일차 A군 $4.30kgf/cm^2$, C군 $3.58kgf/cm^2$, B군 $3.35kgf/cm^2$, D군 $3.27kgf/cm^2$로 최종 기압이 측정되었다. 관능검사 결과 향미(flavor), 부드러운 정도(softness),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 모두 대조군(시중 판매 제품)이 각각 6.90, 7.13, 7.33으로 가장 높았으며,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실험군들 모두 5.25~5.58로 평균 이상의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갈대 뿌리 추출물을 첨가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 제조 시 Saccharomyces cerevisiae Vitilevure Quartz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rose sparkling wine with reed root. To make the base wine with reed root extracts, we first blended wild grape wine with reed root extracts (1:9 v/v) and fermented the mixture for 14 days at $20^{\circ}C$. The pH of the control and the rose base win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갈대 뿌리 추출물과 머루와인을 혼합한 로제 와인을 베이스 와인으로 제조하고, 산업현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병내 발효를 실시하여, 전통적인 스파클링 와인을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로제란 무엇인가? 로제(rose)는 분홍빛을 뜻하는 프랑스어로, 로제 와인은 레드와인과 화이트 와인의 중간색을 가지며, 신선하고 달콤한 풍미를 내고, 오래 숙성하지 않고 마시는 와인을 말한다(Lee TN 2009; Jung JH 2013). Bang JS(2005)은 밝은 분홍색이나 연한 색을 띠는 가벼운 와인이라고 정의하였다.
갈대 뿌리 추출물을 첨가한 스파클링 와인의 병입 초기 산도 값은? 05). 병입 초기 산도는 0.30이었으며, 실험군들 모두 발효 시간이 늘어날수록 증가했으며, 발효 8일차에는 A군이 0.33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
갈대의 뿌리줄기에 함유된 성분은 무엇인가? 갈대(Phragmites communis Trinius)는 외떡잎식물로 화본목 화본과로 분류되며, 중국, 한국, 일본, 러시아 쿠릴열도 등의 온대와 한대 지역에 분포하고, 주로 바다 근처나 강가 습지에서 자란다(Lee CB 1980; Kohl 등 1998). 갈대의 뿌리줄기에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및 아스파라긴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고 밝혀진 바 있으며, 예로부터 이뇨작용, 지혈작용, 해독, 당뇨병의 소갈 등에 사용되어져 왔다(In & Kim 2010). 또한 순천만에서 자생하는 갈대순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마우스의 혈장 지질개선과 적혈구의 항산화 효소활성 및 지질과산화물 함량을 개선한다는 연구(Lee 등 2010)가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ang JS. 2005. A study on wine preference propensity of local wine consumers. Wine & Sommelier Society of Korea 1:7-24 

  2. Blois MA.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3. Chang EH, Jeong ST, Park KS, Yun HK, Roh JH, Jang HI, Choi JU. 2008.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imported red wines. Korean J Food Preserv 15:203-208 

  4. Charters S, Spielmann N. 2014. Characteristics of strong territorial brands: The case of champagne. J Business Research 67:1461-1467 

  5. Cho YU, Lee KP, Lee YS, Choi SD, Choi JS. 1995. Chemical components of sparkling wine after bottle fermentation. J Industrial Technology Res Inst 2:53-60 

  6. Choi JH, OH SK. 1985. Studies on the anti-aging action of Korea ginseng. J Korean Food Sci Technol 17:506-515 

  7. Gonzalez R, Martinez Rodriguez AJ, Carrascosa AV. 2003. Yeast autolytic mutants potentially useful for sparkling wine production. International J Food Microbiology 84:21-26 

  8. Hashidoko Y, Itoh E, Yakota K, Yoshida T, Tahara S. 2002. Characterization of five phyllosphere bacteria isolated from Rosa rugosa leaves, and their phenotypic and of metabolic properties. Biosci Biotechnol Biochem 66:2474-2478 

  9. Hidalgo P, Pueyo E, Cheynier V, Douilard R. 2003. Phenolic composition of champagnes from chardonnay and pinot noir vintages. J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1:3179-3184 

  10. In MJ, Kim DC. 2010.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wild grape (Vitis amurensis) wine prepared with reed (Phragmites communis) root. J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1:1528-1533 

  11. Jeong HW. 2014. Korean wine market outlook 2014. Available from: http://www.wine21.com/11_WineNews/winenews02_view.php?SelUno12720 Accessed Feb, 2014 

  12. Ji SH, Han WC, Lee JC, Kim BW, Jang KH. 2009.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oru wine fermented with Rose rugoga Thun. Korean J Food Sci Technol 41:186-190 

  13. Jung JH. 2013.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grape (Sheridan) rose wines. MS Thesis, Konkuk Univ. Seoul, Korea 

  14. Kang BT, Yoon OH, Lee JW, Kim SH. 2009. Qualitative properties of wild grape wine having different aging periods. Korean J Food & Nutr 22:548-553 

  15. Kim YS, Jeong DY, Shin DH. 2008. Optimum fermentation coditions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ulberry (Morus alba)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40:63-69 

  16. Kohl JG, Woitke P, Kuhl H, Dewender M, Konig G. 1998. Seasonal changes in dissolved amino acids and sugars in basal culm internodes as physiological indicators of the C/Nbalance of Phragmites australis at littoral sites of different trophic status. Aquat Bot 60:221-240 

  17. Lee CB. 1980. An Illustrated Plant. Hyangmon Press, Seoul, Korea. 

  18. Lee J, Jeong JY, Cho YS, Park SK, Kim KJ. 2010. Effect of young Phragmites communis leaves powder on lipid metabolism and erythrocyte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high-fat diet fed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677-683 

  19. Lee JH, Kang TH, Um BH, Sohn EH, Han WC, Ji SH, Jang KH. 2012. Evaluation of physicochemical and fermentation qualities of moru wines supplemented with pine needles or medicinal herb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886-894 

  20. Lee KM, Jeong GT, Park DH. 2004. Study of antimicrobial and DPPH radical scavenger activity of wood vinegar. Korean J Biotechnol Bioeng 19:381-384 

  21. Lee OS. 2013. Grape sparkling wine color control techniqu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orea Patent 1012820230000 

  22. Lee TN. 2009. Consumer behaviors as determined by wine preferences. MS Thesis, Ewha Womans Univ, Seoul, Korea 

  23. Li H, Choi YM, Lee JS, Park JS, Yeon KS, Han CH. 2007. Drying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the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in a conveyer-type far-infrared dryer. J Korean Sco Food Sci Nutr 36:250-254 

  24. Margalit Y. 2003. Winery Technology & Operation. The Wine Apprecition Guild, San Francisco, CA, USA 

  25. Mo JH, Oh SJ, Kim KR. 2013. Comparison 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of Phragmitis rhizoma. J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9:809-814 

  26. OH SJ. 2011. Physiological activating material searching and skin whitening improvement effect of the extracts from Phragmitis rhizoma. PhD Dissertation, Kwangju Women's Univ. Gwangju, Korea 

  27. Park WM, Park HG, Rhee SJ, Lee CH, Yoon KE. 2002. Suitability of domestic grape, cultivar campbell's early for production of red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590-596 

  28.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 Evans C. 1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 Med 26:1231-1237 

  29. Slinkard K, Singleton VL. 1977. Total phenol analysis: Automation and comparison with manua lmethod. Am J Enol Vitic 28:49-56. 

  30. Son HS, Park BD, Ko BK, Lee CH.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produced by adding different amounts of wat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3:453-457 

  31. Song KJ, Kim JJ, Jung BO, Chung SJ, Yoon JA, Choi SY. 2013. Characteristics of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wine with chitooligosaccharide. J Chitin Chitosan 18:87-92 

  32. Wang MF, Shao Y, Li JG, Zhu NQ, Rngarajan M, Lavoie EJ, Ho CT. 1998. Antioxidative phenolic compounds from sage (Saliviao fficinalis). J Agric Food Chem 46:4869-4873 

  33. Yoo KS, Kim JS, Jin Q, Moon JS, Kim MD, Han NS. 2008. Chemical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of commercial red wine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0:430-435 

  34. Yoon JH. 2006. Whitening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s from Phragmitis rhizoma. MS Thesis, Chungang Univ.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