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시의 한국 남해안 고흥 연안의 해양환경 특징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Goheung Coastal Waters during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원문보기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v.18 no.3, 2015년, pp.166 - 178  

이문옥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김병국 (국립공원관리공단 해양연구센터) ,  김종규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립수산과학원이 1993년부터 2013년까지 지난 20년간 우리나라 연안에서 관측한 정선관측자료, NOAA/NGSST 위성영상자료, 적조자료 및 수치실험자료 등을 분석하여, Cochlodinium polykrikoides (이하 C. polykrikoides)적조의 최초의 발생지로 알려진 고흥 연안의 8월의 해양환경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고흥 연안 (나로도)의 표층 및 저층의 평균 수온은 각각 $25.0^{\circ}C$$23.7^{\circ}C$로, 대조구인 거제 해역의 표층과 저층에서의 평균 수온인 $23.8^{\circ}C$$19.4^{\circ}C$ 보다 약 $1.2-4.3^{\circ}C$가 높았다. 또한, 고흥 연안의 평균 염분은 표층과 저층에서 각각 31.78 psu과 31.98 psu로, 대조구인 거제해역의 31.54와 32.79에 비해 표층은 다소 높으나 저층은 낮았다. 즉, 고흥 연안은 하계인 8월에 표층과 저층간의 수온차나 염분차가 거제에 비해 크지 않았으며, 따라서, 고흥 연안은 8월에 성층이 매우 미약하거나 형성되지 않을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고흥 연안과 거제 해역의 표층에서의 DIN과 DIP농도는 각각 0.068 mg/L($4.86{\mu}M$)와 0.072 mg/L ($5.14{\mu}M$), 0.015 mg/L($0.48{\mu}M$)와 0.01 mg/L($0.32{\mu}M$)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C. polykrikoides 적조 발생시, 양쯔강 하구에 인접한 동중국해($31.5^{\circ}N$, $124^{\circ}E$)에서의 8월의 표층 평균 수온 및 염분은 각각 $27.8^{\circ}C$와 31.61psu로, 고흥 연안에 비해 수온은 $2.8^{\circ}C$가 높았으나, 염분은 거의 유사하였다. 또한, 동중국해의 8월 표층의 질산염($NO_3-N$) 및 인산염($PO_4-P$) 농도는 고흥 연안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게다가, C. polykrikoides적조 발생시의 NOAA/NGSST 위성영상자료 및 수치실험결과에 의하면, 양쯔강 하천수가 제주도와 우리나라 남해안까지 확장하여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하계 고흥 연안에서의 C. polykrikoides적조 발생에는 양쯔강 하천수에 의한 영양염 공급이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Goheung coastal areas in August where is known to be the first outbreak site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hereafter C. polykrikoides) blooms, based on the oceanographic data observed from 1993 to 2013 around the Korean southern coastal wate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C. polykrikoides 적조가 왜 나로도, 즉 고흥 연안에서 매년 최초로 발생하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고흥 연안의 해양환경을 남해안의 주요 적조 발생지 중의 하나인 거제 및 동중국해에 있어서의 해양환경과 비교·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연안에서 적조를 일으키는 원인생물은 무엇인가? 한국연안에서 적조를 일으키는 원인생물은 1981년 이래 2010년까지 약 55종으로, 이 중 규조류가 22종, 편모조류가 29종으로, 1980년대까지는 규조류와 편모조류가 우점하였으나, 1990년대 들어서면서 유독성의 편모조류가 탁월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Cochlodinium polykrikoides(이하 C.
C. polykrikoides 적조의 발생기작을 해명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한국연안에서 적조를 일으키는 원인생물은 1981년 이래 2010년까지 약 55종으로, 이 중 규조류가 22종, 편모조류가 29종으로, 1980년대까지는 규조류와 편모조류가 우점하였으나, 1990년대 들어서면서 유독성의 편모조류가 탁월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Cochlodinium polykrikoides(이하 C. polykrikoides) 적조는 1982년 한국남해안의 진해만에서 처음 발생한 이래 2013년 현재는 서해안의 태안(TA), 보령(BR)에서부터 남해안의 고흥(GH), 나로도를 거쳐 동해안의 강릉(GN), 삼척(SC)에 이르기까지 거의 우리나라 전 연안에서 1회 이상 발생한 기록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그 발생범위가 광역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Fig. 1 참조). 더구나, 1995년 이래 그 발생빈도도 증가하여, 유독성 적조로 인한 수산 생물에의 피해도 적지 않다 (Lewitus et al.[2012]). 특히, 2013년 하계에는 이상고온 현상의 지속으로 서해안에서 남해안을 거쳐, 동해안에 이르는 유독성 적조에 의한 사상 최악의 어업피해를 입었다. 따라서, C.
Cochlodinium polykrikoides에 의한 적조가 생긴 지역은? 특히, Cochlodinium polykrikoides(이하 C. polykrikoides) 적조는 1982년 한국남해안의 진해만에서 처음 발생한 이래 2013년 현재는 서해안의 태안(TA), 보령(BR)에서부터 남해안의 고흥(GH), 나로도를 거쳐 동해안의 강릉(GN), 삼척(SC)에 이르기까지 거의 우리나라 전 연안에서 1회 이상 발생한 기록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그 발생범위가 광역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Fig. 1 참조).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nton, A., Teoh, P.L., Mohd-Shaleh, S.R., and Mohammad- Noor, N., 2008, "First occurrence of Cochlodinium blooms in Sabah, Malaysia", Harmful Algae, Vol.7, No.3, 331-336. 

  2. Cho, E.S. and Choi, Y.K., 2005, "The characteristics of marine environment and phytoplankton community around southwestern waters for ichthyotoxic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monitoring programme", J. Environmental Sciences, Vol.14, No.2, 177-184. 

  3. Cho, E.S. and Lee, Y.S., 2005, "Effect of salinity-stratified waters on upward migration and ratio of extracted DNA/RNA in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based on the ratio of absorbance at 260 and 280 nm", J. Life Science, Vol.15, No.3, 468-473. 

  4. Choi, H.Y., 2001, "Oceanographic condition of the coastal area between Narodo Is. and Solido I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and its relationship to the disappearance of red-tide observed in summer 1998", J. Korean Soc. Oceano., Vol.6, No.2, 49-62. 

  5. Gobler, C.J., Berry, D.L., Anderson, O.R., Burson, A., Koch, F., Rodgers, B.S., Moore, L.K., Goleski, J.A., Allam, B., Bowser, P., Tang, Y., and Nuzzi, R., 2008, "Characterization, dynamics, and ecological impacts of harmful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on eastern Long Island, NY, USA", Harmful Algae, Vol.7, No.3, 293-307. 

  6. Gobler, C.J., Burson, A., Koch, F., Tang, Y., and Mulholland, M.R., 2012, "The role of nitrogenous nutrients in the occurrence of harmful algal blooms caused by Cochlodinium polykrikoides in New York estuaries (USA)", Harmful Algae, Vol.17, 64-74. 

  7. Jung, C.S., Lee, C.K., Lee, Y.C., Kim, S.G., Kim, H.G., Chung, I.K., and Lee, W.A., 2002, "The outbreak, maintenance, and decline of the red tide dominated by Cochlodinium polykrikoides in the coastal waters off Southern Korea from August to October, 2000", J. Korean Soc. Oceano., Vol.7, No.2, 68-77. 

  8. Kim, C.J., Kim, H.G., Kim, C.H., and Oh, H.M., 2007, "Life cycle of the ichthyotoxic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in Korean coastal waters", Harmful Algae, Vol.6, No.1, 104-111. 

  9. Knauss, J.A., 1978, "Introduction to physical oceanography", Prentice-Hall Inc., New Jersey, USA, 1-338. 

  10. Kwak, M.T., Seo, K.H., Cho, Y.K., Kim, B.G., You, S.H., and Seo, J.W., 2015, "Long-term comparison of satellite and in-situ sea surface temperature around the Korean Peninsula", Ocean Science Journal, Vol.50, No.1, 109-117. 

  11. Kwon, H.K., Kim, H.J., Yang, H.S., and Oh, S.J., 2014a, "The importance of dissolved organic nutrients on the interspecific competition between the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and diatom Skeletonema sp.", J. Korean Soc. Oceano., Vol.19, No.4, 232-242. 

  12. Kwon, H.K., Kim, H.J., Yang, H.S., and Oh, S.J., 2014b, "Nonoutbreak cause of Cochlodinium bloom in the western coast of Jaran Bay in summer, 2013", J. Korean Soc.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Vol.20, No.4, 372-381. 

  13. Lee, D.K., 2008,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and ecophysical conditions in the South Sea of Korea", Harmful Algae, Vol.7, No.3, 318-323. 

  14. Lee, M.O. and Choi, J.H., 2009, "Distribution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in the Korean Southern Coastal Water during C. polykrikoides blooms", J. Korean Soc. for Mar. Environ. Eng., Vol.12, No.4, 235-247. 

  15. Lee, M.O. and Kim, J.K., 2008, "Characteristics of algal bloom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Mar. Environ. Research, Vol.65, No.2, 128-147. 

  16. Lee, S.W., 1986, "Introduction to physical oceanography", Jipmundaong, Seoul, 1-268. 

  17. Lee Y.S. and Lee, S.H., 2006, "Factors affecting outbreaks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in coastal areas of Korea", Mar. Pollut. Bull., Vol.52, No.10, 626-634. 

  18. Lee, Y.S., Park, Y.T., Kim, Y.S., Kim, K.Y., Park, J.S., Go, W.J., Jo. Y.J., and Park, S.Y., 2001, "Countermeasure and outbreak mechanism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red tide 1.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outbreak and disappearance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J. Korean Soc. Oceano., Vol.6, No.4, 259-264. 

  19. Lewitus, A.J., Horner, R.A., Caron, D.A., Garcia-Mendoza, E., Hickey, B.M., Hunter, M., Huppert, D.D., Kudela, R.M., Langlois, G.W., Largier, J.L., Lessard, E.J., Ralonde, R., Rensel, J.E., Strutton, P.G., Trainer, V.L., and Tweddle, J.F., 2012, "Harmful algal blooms along the North American west coast region: History, trends, causes, and impacts", Harmful Algae, Vol.19, 133-159. 

  20. Lim, A.S., Jeong, H.J., Jang, T.Y., Jang, S.H., and Franks, P.J.S., 2014, "Inhibition of growth rate and swimming speed of the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by diatoms: Implications for red tide formation", Harmful Algae, Vol.37, 53-61. 

  21. Oh, S.J., Yoon, Y.H., Kim, D.I., Shimasaki, Y., Oshima, and Y., Honjo, T., 2006, "Effect of light quantity and quality on the growth of the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Dinophyceae), Algae, Vol.21, No.3, 311-316. 

  22. Seo, G.H., Cho, Y.K., and Choi, B.J., 2013, "Variations of heat transport in the northwestern Pacific marginal seas inferred from high-resolution reanalysis", Progress in Oceanography, Vol.121, 98-108. 

  23. Shchepetkin, A.F. and McWilliams, J.C., 2005, "The regional ocean modeling system: a split-explicit, free-surface, topography following coordinates ocean model", Ocean Modelling, Vol.9, 347-404. 

  24. Suh, Y.S., Jang, L.H., and Kim, H.G., 2003, "Relationships between spatio-temporal distributuio of C. polykrikoides red tide and mesoscale variation of oceanographic environment around the Korean Waters", J. Korean Assoc. Geo. Info. Studies, Vol.6, No.3, 139-150. 

  25. Yang, J.S., Choi, H.Y., Jeong, H.J., Jeong, J.Y., and Park, J.K., 2000, "The outbreak of red tides in the coastal waters of Kohung, Chonnam, Korea: 1.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in 1997", J. Korean Soc. Oceano., Vol.5, No.1, 16-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