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악 요법이 미숙아의 심박동수와 호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sic Therapy on the Heart Rate and Respiration Rate in Premature Infa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7 no.3, 2015년, pp.271 - 276  

유경희 (순천향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n the heart rate and respiration rate of preterm infants when providing auditory stimulation on them. Methods: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in a quasi experimental study. Forty preterm infants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미숙아에게 음악요법의 활용의 유효크기가 크다고 보고된 연구[9]의 음악요법 중재방법을 반영하여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에게 음악요법을 제공함으로써 미숙아의 심박동수와 호흡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가설 설정

  • 제1가설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심박동수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제2가설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호흡수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숙아란? 미숙아는 재태기간 37주 미만에 출생한 신생아로서 정상적으로 태어난 만삭아에 비해 호흡기능이 미성숙하고 신생아의 특성인 반사활동이 미약하다. 따라서 미숙아는 우유를 빨고 삼키는 능력이 저하되어 영양부족과 감염에 대해 취약한 생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미숙아는 만삭아에 비해 어떤 단점을 가지는가? 미숙아는 재태기간 37주 미만에 출생한 신생아로서 정상적으로 태어난 만삭아에 비해 호흡기능이 미성숙하고 신생아의 특성인 반사활동이 미약하다. 따라서 미숙아는 우유를 빨고 삼키는 능력이 저하되어 영양부족과 감염에 대해 취약한 생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미숙아는 출생 직후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생활하게 되는데 이 때 미숙아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 따라서 미숙아는 우유를 빨고 삼키는 능력이 저하되어 영양부족과 감염에 대해 취약한 생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출생 직후 신생아 중환자실 내 보육기내에서 생활하게 되는데 이는 출생 전 자궁내 환경과 매우 다르고 치료와 관련하여 지속적인 소음과 과도한 조명 및 다양한 스트레스 환경에 놓이게 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lackburn S. Environmental impact of the NICU on developmental outcomes.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1988;13(5):279-289. 

  2. Crawford JW. Mother-infants interaction in premature and full-term infants. Child Development. 1982;53:957-962. 

  3. Holaday B. Pattern of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their chronically ill infants. Maternity Child Nursing Journal. 1986;15(3):29-45. 

  4. Holditch-Davis D, Bartlett TR, Belyea M. Developmental problems and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prematurely born children.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000;15(3):157-167. 

  5. Zahr LK. Responses of premature infants to routine nursing intervention and noise in the NICU. Nursing Research. 1995;44(3):179-185. 

  6. Burke M, Walsh J, Oehler J, Gingras J. Music therapy following suctioning: Four case studies. Neonatal Network. 1995;14(7):41-49. 

  7. Long JG, Philip AG, Lucey JF. Excessive handling as a cause of hypoxemia. Pediatrics. 1980;65:203-207. 

  8. Kenny JD, Garcia-Prats JL, Corbet AJ, Rudolph AJ. Hypercarbia at birth: A possible role in the pathogenesis of intraventricular hemorrhage. Pediatrics. 1978;62:465-469. 

  9. Cho HH. Effects of music therapy on weight and vital sign in preterm infants [master's thesis]. Seoul: The Korea University; 2000. p. 1-53. 

  10. Chou SJ, Choi SH.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the heart rate and behavioral state of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6;12(1): 84-88. 

  11. Kang IS, Kim YH. The effect of recorded mother's voice on the body weight and physiological reactions of the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1;13(2):94-101. 

  12. Park SS. The effects of the music therapy on the weight, vital sign, behavioral state of the premature infants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02. p. 1-48. 

  13. Yeum MK, Ahn YM, Seo HS, Jun, YH. The effects of maternal heart sound on the weight, physiologic responses and behavioral states of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9;16(3):211-219. 

  14. Kim EJ.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sensory stimulation of preterm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3;9(2):131-139. 

  15. Jusczyk PW, Hirsh-Pasek K, Nelson DG, Kennedy LJ, Woodward A, Piwoz J. Perception of acoustic correlates of major phrasal units by young infants. Cognitive Psychology. 1992;24(2):252-293. 

  16. Philbin MK, Evans JB. Standards for the acoustic environment of the newborn ICU. Journal of perinatology. 2006;26:S27-S30. 

  17. White RD. Recommended standards for the newborn ICU. Journal of Perinatology. 2007;Supplement2:S4-S19. 

  18. Chung CY. Statistical Analysis for SPSS WIN. 5th ed. Seoul: Muyok; 2009. p.471-485. 

  19. Eyler FD, Courtway-Meyers C, Edens MJ, Hellrung DJ, Nelson RM, Eitzman DV, et al. Effects of developmental interventions on heart rate and transcutaneous oxygen levels in low-birth weight infants. Neonatal Network. 1989;8(3):17-23. 

  20. Standley JM. The effect of music and multimodal stimulation on responses of premature infants in neonate intensive care. Pediatric Nursing. 1998;24(6):532-538. 

  21. White-Traut RC, Nelson MN, Silvestri JM, Cunningham N, Patel M. Responses of preterm infant to unimodal and multimodal sensory intervention. Pediatric Nursing. 1997;23:169-175. 

  22. Collins SK, Kuck K. Music therapy in the intensive care unit. Neonatal Network. 1991;9(6):23-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