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까마귀쪽나무 열매와 잎의 항염증 효과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Litsea japonica Leaf and Fruit Extract on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8 no.2, 2015년, pp.145 - 152  

남궁승 (강원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장선아 (가천대학교 생명과학과) ,  손은화 (강원대학교 생약자원개발학과) ,  박종필 (강원대학교 생약자원개발학과) ,  손은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미래기술분석실) ,  구현정 (한국농수산대학 특용작물학과) ,  윤원종 (제주테크노파크 생물종다양성연구소) ,  권정은 (가천대학교 생명과학과) ,  정용준 (가천대학교 생명과학과) ,  맹학 (가천대학교 생명과학과) ,  한효상 (중부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강세찬 (가천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까마귀쪽나무 잎과 열매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을 비교하고자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7 cell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COX-2/PGE2와 iNOS/NO 및 염증성 cytokine 인 TNF-${\alpha}$, IL-$1{\beta}$, IL-6의 생성 억제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농도 조건($10{\mu}g/ml$)에서 까마귀쪽나무의 열매 추출물이 잎 추출물에 비해 NO, $PGE_2$, iNOS, 염증성 cytokine인 TNF-${\alpha}$, IL-$1{\beta}$, IL-6의 생성량 모두에서 억제 효능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까마귀쪽나무가 보여주는 항염증 효과적 측면과 안전성의 두가지 측면을 고려할 때, 까마귀쪽나무의 열매 추출물이 저농도에서 잎 추출물보다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거나 동등하며, 그 안전성이 크다고 판단됨으로 까마귀쪽나무의 열매추출물이 항염증 효능을 가진 기능성 식품 소재로써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comparativ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itsea japonica fruit and leaf extract considering the balance of safety and efficacy. Dose response studie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inhibitory effects of 70% EtOH extract of leaf (L70%) on the pro-inflammatory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까마귀쪽나무를 식이용으로 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열매를 이용한 저농도 범위에서의 항염증 효과를 찾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기존 선행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항산화 및 항 염증 효능을 보였던 까마귀쪽 나무의 잎부위를 70% EtOH로 추 출하여 10, 50, 100 /의 실험 농도를 정하고, 열매의 70% EtOH 추출물과 30% EtOH 추출물의 10 /저농도에서의 항 염증 효과를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까마귀쪽나무 잎과 열매 추출물의 항염증 활 성을 비교하고자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7 cell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COX-2/PGE2와 iNOS/NO 및 염증성 cytokine 인 TNF-α, IL-1β, IL-6의 생성 억제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 과, 동일한 농도 조건(10 /)에서 까마귀쪽나무의 열매 추출 물이 잎 추출물에 비해 NO, PGE2, iNOS, 염증성 cytokine인 TNF-α, IL-1β, IL-6의 생성량 모두에서 억제 효능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 , 2007). 이에 까마귀쪽나무 잎과 열매 추출물에 대하여 LPS에 의해 유도 증가된 PGE2 생성에 대한 억제 효능을 확 인하였다.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
  • 2%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까마귀쪽 나무를 이용하여 좀 더 부작용을 최소화시킨 소재를 탐색하기 위하여 실제 민간에서도 식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안전성이 보 고된 열매부분을 이용하여 저농도 범위에서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고자 잎 추출물과의 효능을 비교함으로써, 인체 안전한 항염증 조절 작용을 가진 새로운 기능성 소재를 개발하는데 기 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ktan, F. 2004. iNOS-mediated nitric oxide production and its regulation. Life Sci. 75: 639-653. 

  2. Grosch, S., I. Tegeder, E. Niederberger, L. Brautigam and G. Geisslinger. 2001. COX-2 independent induction of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in colon cancer cells by the selective COX-2 inhibitor celecoxib. Faseb J. 15:2742-2744. 

  3. Jeong, J.B., S.C. Hong, H.J. Jeong and J.S. Koo. 2012.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Cnidium officinale Makino on LPS-stimulated RAW 264.7 and THP-1 Cells. Koran J. Plant Res. 25(3):299-307. 

  4. Jiménez-Pérez, N. del C., F.G. Lorea-Hernández, C.K. Jankowski and R. Reyes-Chilpa. 2011. Essential oils in Mexican Bays (Litsea spp., Lauraceae): taxonomic assortment and ethnobotanical implications. Econ. Bot. 65:178-189. 

  5. Hinz, B. and K. Brune. 2002. Cyclooxygenase-2-10 years later. J. Pharmacol. Exp. Ther. 300:367-375. 

  6. Kaplanski, G., V. Marin, F. Montero-Julian, A. Mantovani and C. Farnarier. 2003. IL-6: a regulator of the transition from neutrophil to monocyte recruitment during inflammation. Trends Immunol. 24:25-29. 

  7. Kim, Elvira., H.J. Boo, J.H. Hyun, S.C. Kim, J.I. Kang, M.K. Kim, E.S. Yoo and H.K. Kang. 2009. The effect of Litsea japonica on the apoptosis induction of HL-60 leukemia cells. Yakhak Hoeji 53:6-11. 

  8. Kim, J., C.S. Kim, I.S. Lee, Y.M. Lee, E. Sohn, K. Jo, J.H. Kim and J.S. Kim. 2014. Extract of Litsea japonica ameliorates blood-retinal barrier breakdown in db/db mice. Endocrine 46:462-469. 

  9. Konturek, P.C., J. Kania, G. Burnat, E.G. Hahn and S.J. Konturek. 2005. Prostaglandins as mediators of COX-2 derived carcinogenesis in gastrointestinal tract. J. Physiol. Pharmacol. 56:57-73. 

  10. Koo, H.J., W.J. Yoon, E.H. Sohn, Y.M. Ham, S.A. Jang, J.E. Kwon, Y.J. Jeong, J.H. Kwak, E. Sohn, S.Y. Park, K.H. Jang, S. Namkoong, H.S. Han, Y.H. Jung and S.C. Kang. 2014. The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itsea japonica fruit are mediated via suppression of NF-κB and JNK/p38 MAPK activation. Int. Immunopharmacol. 22:84-97. 

  11. Lawrence, T., D.A. Willoughby and D.W. Gilroy. 2002. Anti-inflammatory lipid mediators and insights into the resolution of inflammation. Nat. Rev. Immunol. 2:787-795. 

  12. Lee, S.Y., B.S. Min, J.H. Kim, J. Lee, T.J. Kim, C.S. Kim, Y.H. Kim and H.K. Lee. 2005.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Litsea japonica and their anti-complement activity. Phytother. Res. 19:273-276. 

  13. Markworth, J.F. and D. Cameron-Smith. 2013. Arachidonic acid supplementation enhances in vitro skeletal muscle cell growth via a COX-2-dependent pathway. Am. J. Physiol. Cell Physiol. 304:C56-67. 

  14. Min, B.S., S.Y. Lee, J.H. Kim, O.K. Kwon, B.Y. Park, R.B. An, J.K. Lee, H.I. Moon, T.J. Kim, Y.H. Kim, H. Joung and H.K. Lee. 2003. Lactones from the leaves of the Litsea japonica and their anti-complement activity. J. Nat. Prod. 66:1388-1390. 

  15. Nakayama, T., M. Mutsuga, L. Yao and G. Tosato. 2006. Prostaglandin E2 promotes degranulation-independent release of MCP-1 from mast cells. J. Leukoc. Biol. 79:95-104. 

  16. Sohn, E.J., J.H. Kim, C.S. Kim, Y.M. Lee, K.H. Jo, S.D. Shin, J.H. Kim and J.S. Kim. 2013. The Extract of Litsea japonica reduced the development of diabetic nephropathy via the inhibition of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ccumulation in db/db mice.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3:1-9. 

  17. Tanaka, H., T. Nakamura and K. Ichino. 1990. Butanolides from Litsea japonica. Phytochemistry 29:857-859. 

  18. Takeda, K., K. Sakurawi and H. Ishii. 1972. Components of the Lauraceae family-l. New lactonic compounds from Litsea japonica. Tetrahedron 28:3757-3766. 

  19. Wang, X.S. and H.Y. Lau. 2006. Prostaglandin E potentiates the immunologically stimulated histamine release from human peripheral blood-derived mast cells through EP1/EP3 receptors. Allergy 61:503-506. 

  20. Weller, C.L., S.J. Collington, A. Hartnell, D.M. Conroy, T. Kaise, J.E. Barker, M.S. Wilson, G.W. Taylor, P.J. Jose and T.J. Williams. 2007. Chemotactic action of prostaglandin E2 on mouse mast cells acting via the PGE 2 receptor 3. Proc. Natl. Acad. Sci. USA. 104:11712-11717. 

  21. Yi, H., S.K. Heo, H.J. Yun, J.W. Choi, J.H. Jung and S.D. Park. 2008.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Draconis Resina in Mouse Macrophage Cells. Kor. J. Herbology 23:179-192. 

  22. Yoon, W.J., S.C. Kang, Y.M. Ham, K.N. Kim, W.H. Yang, H.J. Kim, S.Y. Park and Y.H. Jung. 2010.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Litsea japonica leave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3:27-32. 

  23. Yu, Y. and K. Chadee. 1998. Prostaglandin E2 stimulates IL-8 gene expression in human colonic epithelial cells by a posttranscriptional mechanism. J. Immunol. 161:3746-37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