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나무 잎 분말을 첨가한 쌀쿠키의 항산화 활성 및 품질 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added Kalopanax pictus Leaf Powder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5 no.4, 2015년, pp.672 - 680  

이은지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전공) ,  진소연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항산화능이 우수한 음나무 잎을 쌀쿠키에 첨가하여 대조군과 실험군 간 항산화 활성과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음나무 잎의 총 페놀 함량은 50.74 mg GAE/g, DPPH radical 소거활성 $IC_{50}$$41.09{\mu}g/mL$, 환원력은 1 mg/mL의 농도에서 흡광도 1.55로 음나무 잎의 우수한 항산화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쌀쿠키의 경우, 음나무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 퍼짐성, 팽창률, 색도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쌀쿠키의 항산화 활성 물질인 총 페놀 함량을 정량한 결과, 음나무 잎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페놀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쌀쿠키의 DPPH radical 소거능, 환원력 측정 결과, 음나무 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음나무 잎 분말을 3% 첨가한 쌀쿠키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5% 이상 첨가 시는 전반적인 기호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음나무 잎 분말을 첨가한 쌀쿠키는 대조군에 비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관능적으로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기능성과 기호도 측면을 모두 고려하였을 때 쌀쿠키에 3% 음나무 잎 분말 첨가는 기능성과 기호성을 갖춘 식품으로서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ntaining various concentrations (0, 1, 3 and 5%) of Kalopanax pictus leaf powder. Antioxidant activity was estimated b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total phenolic compound co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항산화능이 우수한 음나무 잎을 쌀쿠키에 첨가하여 대조군과 실험군 간 항산화 활성과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음나무 잎의 총 페놀 함량은 50.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나무 잎의 항산화능을 분석하고, 일반적으로 쿠키에 들어가는 버터나 달걀, 설탕 대신 콩가루와 견과류, 메이플 시럽을 사용하여 음나무 잎 분말 첨가 쌀쿠키의 항산화 효과와 품질 특성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음나무 잎의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과 gluten-free 식품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The total phenolic are expressed as gallic acid equivalents (mg GAE/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나무의 이명은? 음나무(Kalopanax pictus)는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음나무, 엄나무, 엄목, 개두릅나무 등의 이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음나무 순은 산삼나무 혹은 개두릅이라 불리며, 산나물로 식용되어 왔다(Choi HJ et al 2012).
음나무에 함유된 유용성분은? 식물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생리활성 물질은 페놀성 화합물로 항산화, 항균, 항알레르기, 항종양, 항암, 심장질환 및 당뇨병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Hong JY et al 2006). 음나무는 사포닌(saponins), 플라보노이드(quercitrin, quercetin, hyperin), 페놀류(coniferin, protocatechuic acid), 아미노산 등의 유용성분을 가지고 있으며(Park HJ et al 2005), 음나무의 뿌리, 가지, 잎 등에도 여러 종류의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살균, 항진균, 신경통 등에 좋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Kim HY et al 2012). 최근에는 항산화 활성(Hwang JD et al 2011), 항암효과(Kim HY et al 2002), 진통소염 효과 (Park HJ et al 2005)에 대한 연구결과도 보고되어 있지만, 음나무 잎을 식품에 적용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음나무 잎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환원력에 대해 분석한 실험에서 흡광도 수치가 높게 나타난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음나무 잎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환원력에 대한 결과는 Table 3에 제시하였다. 환원력에서 흡광도 수치는 시료의 환원력을 나타내며, 흡광도 수치가 높게 나타날수록 높은 항산 화능을 가진다(Bae YI et al 2013). 음나무 잎 추출물은 Table 2에 제시한 바와 같이, 1 mg/mL 농도에서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ACC (2000)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10th ed. Method 10-5D. American Assoc.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2. Bae YI, Lee JW, Ha TJ, Hwang SH, Shin CS, Jeong CH, Kim IH, Shim KH (2013) Nutri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363-368. 

  3. Bang BH, Kim KP, Jeong EJ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that contain different amounts of chlorella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20: 798-804. 

  4. Blio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0-1200. 

  5. Cho HS, Kim K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799-1804. 

  6. Cho HS, Park BH, Kim KH, Kim HA (2006) Antioxidative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sea tangle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1: 541-549. 

  7. Choi HJ, Kim DH, Chung HS, Kwang DM (2012) Food nutritional composition of castor aralia (Kalopanax pictus N) sprouts. Korean J Food Preserv 19: 720-726. 

  8. Choi SH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Angelica gigas Nakai powder.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5: 309-321. 

  9. Choi SY, Kim SY, Hur JM, Choi HG, Sung NJ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s from Sargassum hunbergi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39-144. 

  10. Finney KF, Morris VH, Yamazaki WT (1950) Micro versus micro cookie baking procedures for evaluating the cookie quality of wheat varieties. Cereal Chem 27: 42-49. 

  11. Han JA (2011)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rice cookies containing germinated yakkong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7: 681-689. 

  12. Han JM, Chung HJ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added with blueberry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20: 265-271. 

  13. Hong JY, Nam HS, Lee YS, Yoon KY, Kim NW, Shin SR (2006)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the fruit of Elaeagnus multiflora Thumb. Korean J Food Preserv 13: 413-419. 

  14. Hwang JD, Choi JS, Kim JB, Lee YS (2011) Antioxidant activities of bark extracts from Kalopanax pictus.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74: 329-337. 

  15. Hwang SY, Kang KO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noodles supplemented with turmeric, purple sweet potato, or seaweed(Hizikia fusiform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 211-217. 

  16. Jang MR, Hong EY, Cheong JH, Kim GH (2012)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activity of domestic Cirsium japonicum extract. Korean Soc Food Sci Nutr 41: 739-744. 

  17. Jeon HL, Oh HL, Kim CR, Hwang MH, Kim HD, Lee SW, Kim MR (2013)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supplemented with mulberry poma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234-243. 

  18. Jeong YZ, Jin SY, Han YS (2014) Funtion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glutinous barley Jeung-pyun added with beet (Beta vulgaris L.) powder. Korean J Food & Nutr 27: 1-9. 

  19. Jin SY, Lee EJ, Kim M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optimization of rice cookies with nut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 208-216. 

  20. Joo SY, Choi HY (2012)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rice bran cook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82-191. 

  21. Jung YJ, Seo HS, Myung JE, Shin JM, Lee EJ, Hwang IK (2007)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based on goami 2 with sesames(white and black) and perilla see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785-792. 

  22. Kang HJ, Choi HJ, Lim JK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ginseng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595-1599. 

  23. Kang MY, Han JY (2000) Comparison of some characteristics relevant to rice bread made from eight varieties of endospenn mutants between dry and wet milling proces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75-81. 

  24. Kang MY, Nam YJ, Nam SH (2005) Screening of antioxidation-related functional components in brans of the pigmented rice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233-239. 

  25. Kim HY, Kim MJ, Oh SI, Hwangbo MH, Jang SJ, Kim HI, Lee IS (2012). Antioxidant activity of Kalopanax pictus leaf extract and its effect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ied pork skin.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185-190. 

  26. Kim HY, Lee IS, Kang JY, Kim GY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various levels of functional rice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642-646. 

  27. Kim KH, Yun MH, Jo JE, Yook H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flowering cherry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frui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920-925. 

  28. Kim OS, Ryu HS, Choi HY (2012)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acorn (Quercus autissima Carruther) cookies. Korean J Food Culture 27: 225-232. 

  29. Ko HC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gar snap-cookie with added Cornus fructu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957-962. 

  30. Lee JA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prepared with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powder. Korean J Culinary Research 20: 100-112. 

  31. Lee JH, Choi JE (2014) Quality of cookies incorporated with yacon powder. Food Eng Prog 18: 70-74. 

  32. Lee JK, Lim JK (2013a) Effects of roasted soybean flour on textural properties of rice cook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426-1432. 

  33. Lee JK, Lim JK (2013b) Effects of pregelatinized rice flour on the textural properties of gluten-free rice cook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277-1282. 

  34. Lee MH, Lee YT (2006) Bread-making properties of rice flours produced by dry, wet and semi-wet mill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886-890. 

  35. Lee SH, Shin MS (2009) Characteristics of preparation of rice manju and rice flour with soaking and different particle siz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427-434. 

  36. Lim EJ, Kim JY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broccoli(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Plenck)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210-215. 

  37. Oyaizu M (1986) Studies of products browning reaction: Antioxidative activity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ap J Nut 44: 307-315. 

  38. Paik JE, Bae HJ, Joo NM, Lee SJ, Jung HA, Ahn EM (2010)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dded Boehmeria nivea. Korean J Food & Nutr 23: 446-452. 

  39. Park HJ, Nam JH, Jung HJ, Kim WB, Park KK, Chung WW, Choi JW (2005) In vivo antinociceptive antiinflamatory and antioxiative effects of the leaf and stem bark of Kalopanax picus in rats. Kor J Phamocogn 36: 318-323. 

  40. Park ID (2012) Effects of sweet pumpkin powd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Korean J Food Culture 27: 89-94. 

  41. Shin HJ, Lee SJ, Seo JK, Cheon EW, Sung NJ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hot-water extract from yuza peel. Journal Life Science 18: 1745-1751. 

  42. Swain T, Hillis WE (1959) The phenolic constituents of Prunus domestica. I.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63-68. 

  43. We GJ, Lee IA, Cho YS, Yoon MR, Shin MS, Ko SH (2010) Development of rice flour-based puffing snack for early childhood. Food Engineering Progress 14: 322-327. 

  44. Yang SM, Kim SH, Shin JH, Kang MJ, Sung N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asparagus powder. J Agriculture & Life Science 44: 67-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