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수면시간과 수면 후 피로 회복이 학교 내 손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leep Duration and Relief of Fatigue after Sleep on the Risk of Injury at School among Korean Adolescents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6 no.2, 2015년, pp.100 - 107  

유정옥 (월계초등학교) ,  김정순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and the risk of accidental injury at school among Korean adolescents. Methods: From the database of the Nin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KYRBS), the researcher selected 63,307 adolescents who responded to a survey on sleep hours. W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제9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수면시간과 수면 후 피로회복과 청소년의 학교 내 손상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이차자료분석연구이다.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는 국민건강증진법을 근거로 실시하는 정부 승인통계(승인번호 11758호) 조사로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및 질병관리본부가 주관하여 우리나라 전국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횡단적 조사 자료이다.
  • 그러나 국외에서 수면문제와 사고 또는 손상과의 관계에 대한 관심에 비해 국내 연구는 제한적으로 최근 성인을 대상으로 수면시간과 손상과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8] 정도에 그치고 있을 뿐 수면 부족 문제가 심각한 우리나라 청소년을 대상으로 수면과 학교 내 손상의 관계에 대해 조사된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청소년의 수면시간 및 수면 후 피로 회복과 학교 내 손상의 관계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며 이는 교정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여 학교 내에서 일어나는 사고와 손상을 예방하고 이를 통해 청소년 시기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방안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의 수면 부족은 어떠한 문제를 일으키는가? 수면은 각성상태에서 뇌와 신체조직에 발생한 손상을 회복시키고 에너지를 보존하고 전신 및 특히 뇌 조직에 휴식을 제공하여 일상생활의 기능을 조직하고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3]. 청소년에 있어 수면이 부족하면 특히 주의력, 작동 기억력 등의 신경인지기능이 취약해져 지각 능력이 저하되고,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이 증가하는 등의 인지장애가 나타나다가 점차 정서적으로 불안정해지게 된다. 만성적인 수면 부족은 낮 시간 동안의 과다한 졸림을 동반하며[4] 전전두엽 기능을 저하시켜 인지 기능의 장애와 학업성취도 저하를 유발한다[5]. 건강문제와도 관련이 깊어 수면이 부족한 청소년의 경우 비만[6]이 될 가능성이 높고 우울 및 자살과 같은 심리적 위험을 증가[7]시키며 집중력, 반응능력을 저하시켜 사고나 실수의 가능성이 높아진다[5]. 이는 수면이 부족하면 자신도 모르게 깜박 졸게 되는 마이크로수면(microsleep)이 나타나는데 이는 개인이 필요한 수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수면 부족(sleep debt)이 축적되어 졸음을 유발하게 되는 것으로 수면과 손상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이러한 잠깐의 졸음이 큰 손상으로 이어지는 교통사고와 수면의 관계 등과 관련된 부분에서 많이 연구되었다[5].
우리나라 청소년의 주중 평균 수면시간은? 우리나라 청소년 10명 중 7~9명은 수면시간이 부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주중 평균 수면시간은 중학생 7.1시간, 일반계 고등학생 5.5시간, 특성화계 고등학생 6.3시간으로 미국 국립수면재단에서의 청소년 권고 수면시간[2]인 8~10 시간과 비교하여 큰 격차를 보이고 있으며 수면시간이 8시간 미만인 경우는 중학생 74.8%, 일반계 고등학생 97.
수면의 효과는? 수면은 각성상태에서 뇌와 신체조직에 발생한 손상을 회복시키고 에너지를 보존하고 전신 및 특히 뇌 조직에 휴식을 제공하여 일상생활의 기능을 조직하고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3]. 청소년에 있어 수면이 부족하면 특히 주의력, 작동 기억력 등의 신경인지기능이 취약해져 지각 능력이 저하되고,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이 증가하는 등의 인지장애가 나타나다가 점차 정서적으로 불안정해지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dolescent of seven to nine among ten is lack of sleep-the seven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Internet]. Osong: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cited 2015 January 15]. Available from: http://yhs.cdc.go.kr/ 

  2. National Sleep Foundation. How much sleep do we really need? [Internet]. Arlington: National Sleep Foundation. [cited 2015 January 15]. Available from: http://sleepfoundation.org/how-sleep-works/how-much-sleep-do-we-really-need 

  3. Nam SO. Normal sleep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Child Neurology Society. 2011;19(2):66-75. 

  4. Rhie S, Lee S, Chae KY. Sleep patterns and school performance of Korean adolescents assessed using a Korean version of the pediatric daytime sleepiness scale.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2011;54(1):29-35. http://dx.doi.org/10.3345/kjp.2011.54.1.29 

  5. Goel N, Rao H, Durmer JS, Dinges DF. Neurocognitive consequences of sleep deprivation. In Seminars in Neurology. 2009;29(4):320-339. http://dx.doi.org/10.1055/s-0029-1237117 

  6. Park S. Association between short sleep duration and obesity among South Korean adolescent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11;33(2):207-223. http://dx.doi.org/10.1177/0193945910371317 

  7. Rhie SK, Chae KY. Impact of sleep duration on emotional status in adolescents. Journal of Depress and Anxiety. 2013; 2(138):1-5. http://dx.doi.org/10.4172/2167-1044.1000138 

  8. Kim YY, Kim UN, Lee JS, Park JH. The effect of sleep duration on the risk of unintentional injury in Korean adult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2014;47(3): 150-157. http://dx.doi.org/10.3961/jpmph.2014.47.3.150 

  9. School Safety and Insurance Federation. 2013 accidents and compensation statistics. [Internet] Seoul: School Safety and Insurance Federation. 2014 [cited 2015 January 15]. Available from: http://www.ssif.or.kr/06_participation/part05.html 

  10. Malta DC, do Prado RR, Caribe SS, da Silva MM, de Andreazzi MA, da Silva Junior JB,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injuries in adolescents, from the National Adolescent School-based Health Survey(PeNSE 2012). Revista Brasileira de Epidemiologia. 2014;17(Suppl 1):183-202. http://dx.doi.org/10.1590/1809-4503201400050015 

  11. Mattila V, Parkkari J, Kannus P, Rimpela A. Occurrence and risk factors of unintentional injuries among 12-to 18-year-old Finns-a survey of 8219 adolescents. European Journal of Epidemiology. 2004;19(5):437-444. http://dx.doi.org/10.1023/B:EJEP.0000027355.85493.cb 

  12. Stallones L, Beseler C, Chen P. Sleep patterns and risk of injury among adolescent farm resident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006;30(4):300-304. http://dx.doi.org/10.1016/j.amepre.2005.11.010 

  13. Lam LT, Yang L. Short duration of sleep and unintentional injuries among adolescents in China.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2007;166(9):1053-1058. http://dx.doi.org/10.1093/aje/kwm175 

  14. Dawson D, Reid K. Fatigue, alcohol and performance impairment. Nature. 1997;388:235-235. 

  15. Shin SM. Association of sleep habit with health behavior, experience of accident and injury treated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15;23(1):19-25. http://dx.doi.org/10.17547/kjsr.2015.23.1.19 

  16. Chen MY, Wang EK, Jeng YJ. Adequate sleep among adolescent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BioMed Central Public Health. 2006;6:59. http://dx.doi.org/doi:10.1186/1471-2458-6-59 

  17. Grandner MA, Drummond SP. Who are the long sleepers? Towards an understanding of the mortality relationship. Sleep Medicine Reviews. 2007;11(5):341-360. http://dx.doi.org/10.1016/j.smrv.2007.03.010 

  18. Pilcher JJ, Ginter DR, Sadowsky B. Sleep quality versus sleep quantity: Relationships between sleep and measures of health, well-being and sleepiness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1997;42(6):583-596. http://dx.doi.org/10.1016/S0022-3999(97)00004-4 

  19. Parrott AC, Hindmarch I. The leeds sleep evaluation questionnaire in psychopharmacological investigations-a review. Psychopharmacology. 1980;71(2):173-179. 

  20. Zhu H, Han Y, Sun Y, Xie Z, Qian X, Stallones L, et al. Sleeprelated factors and work-related injuries among farmers in heilongjiang provinc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14;11(9):9446-9459. http://dx.doi.org/10.3390/ijerph110909446 

  21. Li Y, Jin H, Owens JA, Hu C.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and injury among school-aged children in rural China: A case-control study. Sleep Medicine. 2008;9(2):142-148. http://dx.doi.org/10.1016/j.sleep.2007.01.018 

  22. Boergers J, Gable CJ, Owens JA. Later school start time is associated with improved sleep and daytime functioning in adolescents. Journal of Developmental & Behavioral Pediatrics. 2014;35(1):11-17. http://dx.doi.org/10.1097/DBP.0000000000000018 

  23. Owens JA, Belon K, Moss P. Impact of delaying school start time on adolescent sleep, mood, and behavior.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2010;164(7):608-614. http://dx.doi.org/10.1001/archpediatrics.2010.96. 

  24. Taylor DJ, Jenni O, Acebo C, Carskadon MA. Sleep tendency during extended wakefulness: Insights into adolescent sleep regulation and behavior. Journal of Sleep Research. 2005;14(3):239-244. http://dx.doi.org/10.1111/j.1365-2869.2005.00467.x 

  25. Choi YS. Jeonbuk, later school start time... I love it. but I'm still awkward [Internet]. Seoul: Yonhapnews. 2014 [cited 2014 October 1]. Available from: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4/10/01/0200000000AKR20141001097500055.HTML?fromsearch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