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소 중심의 노인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on Community Health Center Exercise Program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6 no.1, 2015년, pp.18 - 30  

한숙정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이영란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조정민 (성신여자대학교 간호대학) ,  임미영 (서일대학교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methods, types and effects of community health center exercise programs for the elderly. Methods: We established the PICOTS-SD (Participants, Interventions, Comparisons, Outcomes, Timing of outcome measurement, Setting, Study Desig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995년에서 2014년 사이의 국내 보건소의 노인 운동중재연구 20편을 체계적 문헌고찰을 하였다. 노인운동중재의 연구방법과 운동중재 프로그램과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추후 연구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본 연구가 실시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보건소 중심의 운동을 통한 노인건강증진에 관한 연구를 고찰하여 연구방법과 운동중재 프로그램과 결과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구 연구방향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보건소 중심의 노인운동중재 연구의 일반적 특성 및 연구방법론적 특성을 파악한다.
  • 본 연구는 국내 보건소의 노인을 대상으로 한 운동중재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의 실태와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보건소 중심의 노인건강증진을 위한 운동중재 연구의 방법론, 운동 프로그램의 특성과 결과측정변수를 확인하여 보건소 중심으로 시행되는 노인운동중재연구의 실태와 동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보건소 중심의 운동을 통한 노인건강증진에 관한 연구를 고찰하여 연구방법과 운동중재 프로그램과 결과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구 연구방향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보건소 중심의 노인운동중재 연구의 일반적 특성 및 연구방법론적 특성을 파악한다.
  • 본 연구자들은 1995년 지역보건법과 건강증진법 제정이후 우리나라의 보건소에 내소하는 지역사회 주민들 중 노인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한 운동 중재의 효과에 대하여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여 노인운동 프로그램의 종류, 방법, 결과 등을 검토함으로써 운동을 통한 노인건강증진의 연구의 현황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보건소 중심의 노인건강증진을 위한 추후의 연구방향을 모색하고, 노인건강증진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자들은 1995년 지역보건법과 건강증진법 제정이후 우리나라의 보건소에 내소하는 지역사회 주민들 중 노인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한 운동 중재의 효과에 대하여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여 노인운동 프로그램의 종류, 방법, 결과 등을 검토함으로써 운동을 통한 노인건강증진의 연구의 현황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보건소 중심의 노인건강증진을 위한 추후의 연구방향을 모색하고, 노인건강증진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민의 건강수준 향상을 위한 정책수립에 새로운 변화가 요구되는 배경은 무엇인가? 국민생활수준과 의료수준의 향상으로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만성퇴행성 질환의 꾸준한 증가, 도시화 및 산업화의 진전 등으로 인한 각종 사고, 장애 및 정신질환의 증가는 국민의 건강수준 향상을 위한 정책수립에 새로운 변화가 요구되었다. 정부는 보건정책의 방향전환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전염병관리와 가족계획사업 위주로 운영되어 온 보건소를 지역 주민 건강관리의 중심적 기관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1995년에 보건소법을 지역보건법으로 전면 개정하였으며 국민건강증진법을 제정하였다.
운동 프로그램이 갖추어야할 조건은 무엇인가? 운동 프로그램이 갖추어야할 조건 즉, 운동빈도, 운동강도, 운동시간, 운동기간, 운동종류, 운동단계, 운동 프로그램 적용대상 유형, 프로그램 구성, 음악사용 유무, 운동 프로그램진행자 등을 중심으로 대상논문에서 이루어진 운동중재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운동빈도는 일주일에 3회 이상 실시한 경우가 8편(40.
건강생활실천사업의 주요 영역은 무엇이며 어떻게 추진되고 있는가? 건강생활실천사업은 지역특성을 고려해 각 보건소의 중점 사업으로 개발되고 있다. 영양, 운동, 절주, 금연 등이 건강생활실천의 주요영역이며 생활터를 활용하여 포괄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지역사회의 건강생활실천사업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성과를 최대한 높일 수 있는 분야의 선정과 선정분야에 대한 집중적인 자원의 투입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건강증진의 목표를 달성할 수 효율적으로 있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tatistics Korea. 2013 elderly statistics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3 [cited 2014 October 20].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2. Koh SJ. Calculation of healthy life expectancy in Korea [Internet]. Seoul: Health & Welfare Issue & Focu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cited 2014 November 7]. Available from: http://www.kihasa.re.kr/html/jsp/publication/periodical/focus/list.jsp 

  3. Jeon KH, Oh YH, Lee YK, Sohn CK, Baek BM, Lee SY, et al. 2011 elderly survey [Internet]. Seoul: Health & Welfare Issue & Focu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cited 2014 November 7]. Available from: http://www.bokjiro.go.kr/cmm/fms/FileDown.do?atchFileId5902918 

  4. Lee SH, Jo HS, Park YS, Kin HJ, Sohn MS, Park HS, et al. Determination of strategic business units in the health promotion service areas of health center.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 Administration. 1998;8(2):110-124. 

  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The national health plan 2020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 [cited 2014 October 20]. Available from: http://www.mw.go.kr 

  6. Song HJ, Jin KN. Development of program evaluation indicator: Community health center's health promotion program. Korea Journal of Health Policy & Administration. 2003;13(4):1-27. 

  7.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DAMI & Ro-BANS ver 2.0 by HIRA. 2013 [Internet]. Seoul: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3 [cited 2014 October 20].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cms/law/03/08/03/__icsFiles/afieldfile/2013/07/15/DAMI_RoBANS.pdf 

  8. Byun JH. Evaluation and developmental direction of National health promotion service. Health-Welfare Policy Forum. 1996;10:57-60. 

  9. Nam JJ. Evaluation of major health promotion policy and future directions. Health-Welfare Policy Forum. 2002;74:25-35. 

  10. Kim SH, Chun YJ. The analysis of literature: Fall prevention program for the elderly.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013;53:711-721. 

  11. Yoo JH, Chu SK, Ban K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famil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elderly femal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006;23(1):40-49. 

  12. Park MH, Kim AL, Kim JS, Kim HJ, Park YH, Song JA, et al. Geriatric nursing. Seoul: Jungdam Com.; 2013. 624 p. 

  13.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Guideline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9th ed. Wloters Kluwer: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3. 440 p. 

  14. American Geriatrics Society, Geriatrics Society, &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Panel On Falls Prevention. Guideline for the prevention of falls in older perso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 Society. 2001;49(5):664-672. 

  15. Chae HW. Guideline of exercise prescription and health. Seoul: Taegun Com.; 1999. 237 p. 

  16. Lee SH. The effects of music on anaerobic power and retings of perceived exertion. [master's thesis]. [Incheon]: University of Incheon; 2012. 42 p. 

  17. Seo DI, Kim SK, Chang HK. The effects of 12 weeks of walking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in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09;23(1):61-68. 

  18. Choi JH, Kwon BA, Lee KM. Physical dimensions of aging. Seoul: Jungdam Com.; 1999. 424 p. 

  19. Im MY, Lee YR, Han SJ, Cho JM. The effects of lifestyle factors on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012;23(1):13-21. 

  20. National Health Insurance. The Press release [Internet].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2013 [cited 2014 October 20]. Available from: http://www.nhis.or.kr/cms/board/board/Board.jsp?actVIEW&communityKeyB0039&boardId22642 

  21. Bae JJ, Park HC. The effect of exercise on senior' depression in local area.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014;53(3):549-557. 

  22. Hyun KS, Won JS, Kim WO, Han SS, Lee JA. The effects of danjeon breathing exercise on vital capacity, physical fitness,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9;20(4):474-482. 

  23. Lee SJ. Comprehension of psycho-motor. Seoul: Seoul Rehabilitation Center; 2005. 332 p. 

  24. Kim JH, Park YS. The effect of aerobic rhythmical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itness,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Academic Society. 2000;14(1):12-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