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학생의 객관구조화 임상시험(OSCE) 후 피드백 유형에 따른 임상수행 자신감과 피드백 만족도 효과 비교 - 간헐적 위관영양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Confidence in Practice and Satisfaction by Feedback Types Following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OSCE) among Nursing Students - Focus on Intermittent Gavage Tube Feeding -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2 no.3, 2015년, pp.318 - 327  

길은하 (을지대학교 대학원) ,  오희영 (을지대학교) ,  신선경 (대전과학기술대) ,  박연희 (중원대학교) ,  이예은 (원광보건대) ,  박정아 (을지대학교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confidence in practice of intermittent gavage tube feeding and participants' satisfaction by three types of feedback; professor verbal feedback, professor feedback with smartphone video, and peer feedback with smartphone video. In addition, frequ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OSCE 후 효과적인 피드백 방법을 파악하기 피드백 방법에 따라 학생의 임상수행 자신감과 피드백 만족도가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후)구두교수">구두 교수 피드백(verbal professor feedback), 휴대폰 동영상을 이용한 교수 피드백(professor feedback with smartphone video), 혹은 휴대폰 동영상 동료 피드백(peer professor feedback with smartphone video)으로 나누어 제공하여 이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신규간호사들이 수행에 어려움을 호소하고[21] 간호학생들이 졸업 전에 반드시 숙달하여야 할 20개 핵심간호술 중 하나인 간헐적 위관영양의 항목별 수행 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헐적 위관영양 OSCE 후 교수-학생 간 피드백을 제공하고 피드백 유형에 따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핵심 간호술기 증진을 위한 간호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 본 연구는 간헐적 위관영양 OSCE 후 피드백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을 무작위로 배정하고 실험처치 후 사후조사를 시행한 무작위 대조군 사후 설계 연구이다. ">한다[27]. 본 연구에서 교수가 학생과 함께 동영상 재생을 통하여 세부 항목마다 잘한 점과 개선해야 할 점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서 효과적인 피드백이 제공되어 교수 피드백에 대한 만족감이 높았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같은 동영상을 이용하였더라도 동료로부터의 피드백은 교수가 가지고 있는 지식과 태도를 모두 대변하지 못하기 때문에 동영상을 이용한 동료 피드백이 동영상을 이용한 교수 피드백보다 효과가 적었으리라 생각해 볼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간헐적 위관영양 OSCE 시행 후 교수-학생 간 피드백 유형에 따른 임상수행 자신감과 피드백 만족도를 분석하고 OSCE 수행 시 오류가 많았던 술기를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과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핵심 간호술기 중 하나인 간헐적 위관영양(intermittent gavage tube feeding) OSCE 후 효과적인 피드백을 검증하기 위해 세 가지 유형의 피드백을 제공하고자 한다. 피드백의 유형으로는 기존의

    가설 설정

    • “간헐적 위관영양 OSCE 후 휴대폰 동영상 교수 피드백을 받은 실험군 I과 휴대폰 동영상 동료 피드백을 받은 실험군 II가 구두 교수 피드백을 받은 대조군보다 간헐적 위관영양의 임상수행 자신감이 높을 것이다.
    • “간헐적 위관영양 OSCE 후 휴대폰 동영상 교수 피드백을 받은 실험군 I과 휴대폰 동영상 동료 피드백을 받은 실험군 II가 구두 교수 피드백을 받은 대조군보다 피드백 만족도가 높을 것이다.
    • · 제 1 연구 가설 : 간헐적 위관영양 OSCE 후 휴대폰 동영상 교수 피드백을 받은 실험군 I과 휴대폰 동영상 동료 피드백을 받은 실험군 II가 구두 교수 피드백을 받은 대조군보다 간헐적 위관영양의 임상수행 자신감이 높을 것이다.
    • · 제 2 연구 가설 : 간헐적 위관영양 OSCE 후 휴대폰 동영상 교수 피드백을 받은 실험군 I과 휴대폰 동영상 동료 피드백을 받은 실험군 II가 구두 교수 피드백을 받은 대조군보다 피드백 만족도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 동영상을 활용한 피드백의 단점은 무엇인가? 또한, 동영상을 함께 보면서 피드백을 주는 경우 학생이 미처 인식하지 못하는 부족한 부분에 대하여 시각적인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16]. 기존의 비디오 촬영을 이용한 교수학습 방법은 장비에 드는 비용이 많이 들고 장비를 사용하는 방법에 익숙하지 않다는 점, 부피나 무게 등 사용의 편이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거의 모든 학생들이 소유하고 있는 휴대폰을 동영상 촬영 도구로 활용하게 되면 언제 어디서고 손쉽게 촬영이 가능하고 학생 본인이 휴대폰에 녹화된 자료를 무한 반복 재생이 가능하여 학생이 완전히 숙달될 때까지 개개인이 편한 장소에서도 반복시청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OSCE는 무엇인가? OSCE는 의학교육 평가 방법으로 처음 개발된 교육 평가 방법으로서 학생이 주어진 시간 내에 임상 상황과 유사하게 준비된 스테이션을 돌며 부여된 과제를 자필시험, 훈련된 표준화 환자나 모형에 문진, 신체사정, 침습적 의료행위 등을 수행하고 이를 관찰하는 교수와 표준화 환자가 평가하는 방법이다[3].
간호대학에서 임상실습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무엇을 하는가?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능숙한 임상 술기 능력이 필요로 되나 임상술기 능력이 부족한 채로 간호 학생들이 졸업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신규간호사가 업무를 수행하는데 많은 제한이 있고 신규간호사 오리엔테이션 으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게 된다[1,2]. 이러한 문제가 야기되지 않도록 간호대학에서는 다양한 임상실습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교수학습 전략과 평가 방법 등의 개선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를 위해 시뮬레이션 학습, 문제중심 학습(problem based learning [PBL])과 객관구조화 임상시험(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등을 임상실습 간호교육에 활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own IS, Seo YM. Nursing students' needs for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2;18(1):25-33.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1.025 

  2. Cho MH, Kwon IS. A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on nursing activitie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7;13(2):143-154. 

  3. Barrows HS, Abrahamson S. The programmed patient: A technique for appraising student performance in clinical neurology.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1964;39(8):802-805. 

  4. Yoon J, Kim KJ, Choi MS. The effects of OSCE application before clinical practic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3;19(2):273-284.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2.273 

  5. Park JY. Self-assessment,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after OSCE using smart phon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2;18(1):120-130.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1.120 

  6. Cheung NY, Song YS. Clinical application of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 for novic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6;13(3):334-342. 

  7. Yoo MS, Yoo IY. Effect of OSCE method on performance of clinical skills of students in fundamentals of nursing co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3;33(2):228-235. 

  8. Han MH. A clinical skill test using OSCE modules developed by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6;12(3):365-372. 

  9. Han MH, Park SG. Analysis of trends in self-assessment of performance of clinical skills in nursing students after OS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1;18(2):210-216. 

  10. Kim YH. Satisfaction with evaluation method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al skill education through cell phone animation self-monitoring and feedback-Focus on foley catheteriz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8;15(2):134-142. 

  11. Im SJ, Yune SJ, Kang SY, Lee SY, Kim HK, Jeong HJ. The effect of direct feedback in teaching endotracheal intubation.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007;19(4):325-333. http://dx.doi.org/10.3946/kjme.2007.19.4.325 

  12. Kovacs G, Bullock G, Ackroyd-Stolarz S, Cain E, Petrie D.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n the effect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in promoting airway management skill maintenance.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2000;36(4):301-309. http://dx.doi.org/10.1067/mem.2000.109339 

  13. Wulf G, Shea CH. Principles derived from the study of simple skills do not generalize to complex skill learning.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2002;9(2):185-211. http://dx.doi.org/10.3758/bf03196276 

  14. Edwards A, Tzelepis A, Klingbeil C, Melgar T, Speece M, Schubiner H, et al. Fifteen years of a videotape review program for internal medicine and medicine-pediatrics residents. Academic Medicine. 1996;71(7):744-748. http://dx.doi.org/10.1097/00001888-199607000-00006 

  15. Cheon EY. The effects of video-aided peer feedback on enhancing nurs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foley catheteriz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3;19(1):43-51.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1.43 

  16. Violato C, Lockyer J. Self and peer assessment of pediatricians, psychiatrists and medicine specialists: Implications for self-directed learning.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2006;11(3):235-244. http://dx.doi.org/10.1007/s10459-005-5639-0 

  17. Mendonca CO, Johnson KE. Peer review negotiations: Revision activities in ESL writing instruction. TESOL Quarterly. 1994;28(4):745-769. http://dx.doi.org/10.2307/3587558 

  18. Fesler-Birch DM. Critical thinking and patient outcomes: A review. Nursing Outlook. 2005;53(2):59-65. 

  19. Cowin LS, Hengstberger-Sims C. New graduate nurse self-concept and retention: A longitudinal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6;43(1):59-70. 

  20. Sung MH. Correlations between motivation to achieve, clinical competency and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for diploma and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0;17(1):90-98. 

  21. Kim YH, Hwang SY, Lee AY. Perceived confidence in practi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of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4;20(1):37-46. http://dx.doi.org/10.5977/jkasne.2014.20.1.37 

  22.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Essential of fundamental nursing skills evaluation items protocol revision (The third edition) [Internet].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4 [cited 2014 September 01]. Avaliable from: http://kabone.or.kr/HyAdmin/upload/goodFile/120140117153430.pdf. 

  23. Shrout PE, Fleiss JL. Intraclass correlation: Uses in assessing rater reliability. Psychological Bulletin. 1979;86(2):420-428. http://dx.doi.org/10.1037//0033-2909.86.2.420 

  24. Park YR. Knowledge, attitude and self-confidence of student nurses regarding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7;14(4):429-436. 

  25. NAVER. NAVER a Korean language dictionary [Internet]. Seoul: NAVER; 2014 [cited 2014 September 01]. Avaliable from: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2720700. 

  26. Torre DM, Sebastian JL, Simpson DE. Learning activities and high-quality teaching: Perceptions of third-year IM clerkship students. Academic Medicine. 2003;78(8):812-814. 

  27. Wood BP. Feedback: A key feature of medical training. Radiology. 2000;215(1):17-19. http://dx.doi.org/10.1148/radiology.215.1.r00ap5917 

  28. Bienstock JL, Katz NT, Cox SM, Hueppchen N, Erickson S, Puscheck EE. To the point: Medical education reviews-Providing feedback.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7;196(6):508-513. http://dx.doi.org/10.1016/j.ajog.2006.08.021 

  29. Topping KJ. Peer assisted learning: A practical guide for teachers. Cambridge, MA: Brookline Books;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