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고버섯(Lentinus edodes)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Solvent Extracts from Lentinus edod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8, 2015년, pp.1144 - 1149  

한소라 (선문대학교 제약공학과) ,  김미진 (선문대학교 제약공학과) ,  오태진 (선문대학교 제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용 표고버섯acetone, ethyl acetateethanol 등 여러 용매로 추출하여 각 추출용매에 따른 표고버섯 추출물의 항산화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은 최소 농도인 98 mg/mL에 맞추어 모든 실험을 진행하였다. 표고버섯의 폴리페놀 함량은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극성이 큰 ethanol 추출물이 acetone 추출물과 ethyl acetate 추출물보다 다소 높게 조사되었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ethyl acetate와 acetone 추출물이 ethanol 추출물보다 다소 높게 조사되었다.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낮았지만 DPPH 라디칼 소거능에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ABTS 라디칼 소거능은 86.8~98.5%로 표준물질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보다 좀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표고버섯의 다재 내성 관련 항균 활성은 ethyl acetate 추출물이 6종의 다제 내성 균주인 3종의 그람 양성균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및 Micrococcus luteus와 3종의 그람 음성균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및 Enterobacter cloacae 등 모두에서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B. subtilis에 대하여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P. aeruginosa, M. luteus, Ent. cloacae 및 B. subtilis에서는 acetone, ethyl acetate 및 ethanol 추출물 모두에서 항균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acetone, ethyl acetate, and ethanol) extracts from Lentinus edodes.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evaluated by measuring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2,2-diphenyl-1-picrylhydrazy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표고버섯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에 대한 연구는 일부 보고되었으나 다양한 유기용매 추출물에서의 다재내성 관련 항균 및 항산화 활성 보고는 아직까지 수행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세톤,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등을 이용한 표고버섯 추출물에 대하여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등의 항산화 활성 그리고 그람 양성과 그람 음성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측정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Values are expressed as mg gallic acid equivalent (GAE) per g of extrac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표고버섯 에탄올 추출물 및 열수 추출물에 따른 항균 활성의 차이는? 용매 추출에 따른 활성 비교뿐만 아니라 표고버섯의 건조 방법에 따라서도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 등을 조사하여 그들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14). 또한 표고버섯의 항균 활성에 관한 연구로는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그람 양성 및 그람 음성균에 대한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5). 이와 같이 표고버섯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에 대한 연구는 일부 보고되었으나 다양한 유기용매 추출물에서의 다재내성 관련 항균 및 항산화 활성
표고버섯은 어디에서 발생하는가? 식용버섯으로 많이 알려진 표고버섯은 참나무, 밤나무, 서어나무 등 활엽수의 고목에서 발생하며, 담자균류 주름버섯목 느타리과 잣버섯 속에 속한다. 한국, 일본, 중국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며, 특유의 향과 다양한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어 예로부터 송이 및 능이 버섯과 더불어 3대 주요 식용버섯으로 알려져 있다.
acetone, ethyl acetate 및 ethanol 등 추출용매에 따른 표고버섯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차이는? 추출물은 최소 농도인 98 mg/mL에 맞추어 모든 실험을 진행하였다. 표고버섯의 폴리페놀 함량은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극성이 큰 ethanol 추출물이 acetone 추출물과 ethyl acetate 추출물보다 다소 높게 조사되었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ethyl acetate와 acetone 추출물이 ethanol 추출물보다 다소 높게 조사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hoi OK, Kim Y, Cho GS, Sung CK. 2002. Screening for antimicrobial activity from Korean plants. Korean J Food & Nutr 15: 300-306. 

  2. Valko M, Leibfritz D, Moncol J, Cronin MT, Mazur M, Telser J. 2007.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Int J Biochem Cell Biol 39: 44-84. 

  3. Yim SB, Kim MO, Koo SJ. 1991. Determination of dietary fiber contents in mushrooms. Korean J Soc Food Sci 7:69-76. 

  4. Chaovanalikit A, Wrolstad RE. 2004. Total anthocyannins and total phenolics of fresh and processed cherries and their antioxidant properties. J Food Sci 69: 67-72. 

  5. Park MH, Oh KY, Lee BW. 1998. Anti-cancer activity of Lentinus edodes and Pleurotus astreat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702-708. 

  6. Lee IS, Chae HJ, Moon H. 2008. Inhibitory effect of aqueous extracts from the fruit body of Lentinus edodes on rat intestinal mucosa ${\alpha}$ -glucosidase activity and reducing the increase of blood glucose after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Exp Biomed Sci 14: 63-68. 

  7. Mizuno T. 1999. The extraction and development of antitumor-active polysaccharides from medicinal mushrooms in Japan. Int J Med Mushrooms 1: 9-29. 

  8. Enman J, Rova U, Berglund KA. 2007. Quantification of the bioactive compound eritadenine in selected strains of shiitake mushroom (Lentinus edodes). J Agric Food Chem 55:1177-1180. 

  9. Hatvani N. 2001. Antibacterial effect of the culture fluid of Lentinus edodes mycelium grown in submerged liquid culture. Int J Antimicrob Agents 17: 71-74. 

  10. Kim H, You J, Jo Y, Lee Y, Park I, Park J, Jung MA, Kim YS, Kim S. 2013. Inhibitory effects of Lentinus edodes and rice with Lentinus edodes mycelium on diabetes and obes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75-181. 

  11. Lee GD, Chang HG, Kim HK. 1997. Antioxidative and nitrite-scavenging activities of edible mushroom.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432-436. 

  12. Kim CH, Jeong JG. 2009.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e effect of reducing serum alcohol concentration of Lentinus edodes. Kor J Herbology 24: 159-164. 

  13. Qi Y, Zhao X, Lim YI, Park KY. 2013.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655-662. 

  14. Kim MJ, Chu WM, Park EJ. 2012. Antioxidant and antigenotoxic effects of shiitake mushrooms affect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r 41: 1041-1048. 

  15. Kim YD, Kim KJ, Cho DB.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Lentinus edodes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10: 89-93. 

  16. Folin O, Denis W. 1915. A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phenols (and phenol derivatives) in urine. J Biol Chem 22: 305-308. 

  17.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8.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9. Piddock LJ. 1990. Techniques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sensitivity in bacteria. J Appl Bacteriol 68: 307-318. 

  20. Di Carlo G, Mascolo N, Izzo AA, Capasso F. 1999. Flavonoids: old and new aspects of a class of natural therapeutic drugs. Life Sci 65: 337-353. 

  21. Jankun J, Selman SH, Swiercz R, Skrzypczak-Jankun E. 1997. Why drinking green tea could prevent cancer. Nature 387: 561. 

  22. Cheung LM, Cheung PCK, Ooi VEC. 2003.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of edible mushroom extracts. Food Chem 81: 249-255. 

  23. Ferreira IC, Barros L, Abreu RM. 2009. Antioxidants in wild mushrooms. Curr Med Chem 16: 1543-1560. 

  24. Kim SM, Cho YS, S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6-632. 

  25. Que F, Mao L, Zhu C, Xie G. 2006. Antioxidant properties of Chinese yellow wine, its concentrate and volatiles. LWT -Food Sci Technol 39: 111-117. 

  26.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27. Choi CW, Kim SC, Hwang SS, Choi BK, Ahn HJ, Lee MY, Park SH, Kim SK. 2002. Antioxidant activity and fre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between Korean medicinal plants and flavonoids by assay-guided comparison. Plant Science 163: 1161-1168. 

  28. Gallardo C, Jeimenz L, Garcia-Conesa MT. 2006. Hydroxycinnamic acid composition and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selected grain fractions. Food Chem 99: 455-463. 

  29. Vundac VB, Brantner AH, Plazibat M. 2007. Content of polyphenolic constitu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Stachys taxa. Food Chem 104: 1277-1281. 

  30. Hong MH, Jin YJ, Pyo YH. 2012. Antioxidant properties and ubiquinone contents in different parts of several commercial mushroo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235-1241. 

  31. Huang D, Ou B, Prior RL. 2005. The chemistry behind antioxidant capacity assays. J Agric Food Chem 53: 1841-1856. 

  32. Jin SY. 2011. Study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Korean and Iranian pomegranat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063-1072. 

  33. Lee JS, Kim T, Lee YH, Jin CM, Kim HG, Kim WJ, Oh DC, Park YI. 2006.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Coriolus versicolor liquid culture extracts against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and purification of active substance. Korean J Mycol 34: 92-97. 

  34. Kim HJ, Ahn MS, Kim GH, Kang MH. 2006.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leurotus eryngii extracts prepared from different aerial part.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799-804. 

  35. Park JW, Kim T, Lim DJ, Lee HB, Joo YS, Park YI. 2004. Antibacterial activities of mushroom liquid culture extracts against livestock disease-causing bacteria and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Korean J Mycol 32: 145-1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