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산 아로니아의 이화학 분석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Korea Aronia melanocarp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8, 2015년, pp.1165 - 1171  

최경희 (국가식품클러스터 지원센터 연구개발팀) ,  오현정 (국가식품클러스터 지원센터 연구개발팀) ,  정영재 (국가식품클러스터 지원센터 연구개발팀) ,  임은정 (한양여자대학교 외식산업과) ,  한진수 (국가식품클러스터 지원센터 연구개발팀) ,  김지현 (국가식품클러스터 지원센터 연구개발팀) ,  김오영 (국가식품클러스터 지원센터 연구개발팀) ,  이현순 (국가식품클러스터 지원센터 연구개발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최근 고소득 작물로 급부상 하면서 전국적으로 생산되고 있는 국내산 아로니아의 생육환경 및 품질평가를 통해 국내 아로니아 재배 적합성과 품질의 우수성을 조사해 보았다. 국내 각 지역에서 생산된 5종의 아로니아와 폴란드산 아로니아 추출물의 총당 함량, 산도, 폴리페놀 함량, 안토시아닌 함량항산화 활성을 측정해 보았다. 그 결과 총당 함량, 총산도, 안토시아닌 함량 및 조성은 국내산과 폴란드산이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안토시아닌은 아로니아의 중요한 기능성 성분으로 국내산 5종과 폴란드산 모두 cyanidin-3-galactoside가 주성분이고 함량은 65.5~69.1% 사이로 유사하였다. 국내 C 지역에서 생산된 아로니아는 폴란드산에 비해 1.2배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가지고 있으며, 폴란드산 아로니아의 DPPH 라디칼의 50% 소거활성이 $167.6{\pm}0.3{\mu}g/mL$ 인데 비해 국내 C 지역의 아로니아는 $134.7{\pm}1.9{\mu}g/mL$로 낮은 농도에서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ssay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측정에서도 폴란드산보다 국내 C 지역의 아로니아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폴란드산보다 우수한 품질을 가지고 있는 국내 C 지역의 재배환경은 조사대상 중 가장 일조량이 많았으며, 심토 pH 6.5, 토양의 유기물 함량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국내산 아로니아는 폴란드산과 품질이 유사하거나 조금 더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재배 시 일조량 확보 및 토양의 적정 산도 유지를 통해 보다 고품질의 아로니아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향후 고도 기술을 통한 국내산 아로니아의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 시 우수한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cultivation adaptability and product quality of aronia (fruit of Aronia melanocarpa) cultivated in various domestic regions. Extracts of aronia cultivated in various domestic regions and Poland were measured for their total sugar contents, acidities, total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고소득 작물로 급부상하면서 전국적으로 생산되고 있는 국내산 아로니아의 생육환경 및 품질평가를 통해 아로니아 재배의 국내 적합성과 고품질의 아로니아를 생산하기 위한 최적 재배조건 확립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유통되는 폴란드산과의 비교를 통해 국내산 아로니아의 품질 우수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고소득 작물로 급부상하면서 전국적으로 생산되고 있는 국내산 아로니아의 생육환경 및 품질평가를 통해 아로니아 재배의 국내 적합성과 고품질의 아로니아를 생산하기 위한 최적 재배조건 확립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유통되는 폴란드산과의 비교를 통해 국내산 아로니아의 품질 우수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로니아는 열매의 색에 따라 어떻게 불리는가? 아로니아(Aronia melanocarpa)는 장미과에 속하는 다년생 낙엽관목으로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베리류로(3), 열매 의 색에 따라 black chokeberry(Aronia melanocarpa), red chokeberry(Aronia arbutifolia) 및 purple chokeberry (Aronia prunifolia)로 나누어지며 이 중 초크베리라고도 불리는 Aronia melanocarpa가 전통적으로 식용이나 약용으 로 사용되어 왔다(4). 아로니아는 20세기에 들어오면서 소비에트 연방이나 동유럽 국가에서 식품 소재뿐만이 아니라 고혈압이나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는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5).
아로니아는 무엇인가? 아로니아(Aronia melanocarpa)는 장미과에 속하는 다년생 낙엽관목으로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베리류로(3), 열매 의 색에 따라 black chokeberry(Aronia melanocarpa), red chokeberry(Aronia arbutifolia) 및 purple chokeberry (Aronia prunifolia)로 나누어지며 이 중 초크베리라고도 불리는 Aronia melanocarpa가 전통적으로 식용이나 약용으 로 사용되어 왔다(4). 아로니아는 20세기에 들어오면서 소비에트 연방이나 동유럽 국가에서 식품 소재뿐만이 아니라 고혈압이나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는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5).
Aronia melanocarpa의 생리활성 물질은 무엇이고 어떤 효과를 갖는가? 아로니아는 20세기에 들어오면서 소비에트 연방이나 동유럽 국가에서 식품 소재뿐만이 아니라 고혈압이나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는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5). 폴리페놀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아닌 등의 생리활성 물질이 풍부한 아로니아는 항산화 작용, 면역증진 및 암 예방 등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6-8). 아로니아는 짙은 자줏빛을 띠고 있는데 이것은 아로니아가 다른 베리류에 비해 높은 안토시아닌 색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 (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Li J, Ding S, Ding X. 2005. Comparison of antioxidant capacities of extracts from five cultivars of Chinese jujube. Process Biochem 40: 3607-3613. 

  2. Wang H, Nair MG, Strasburg GM, Chang YC, Booren AM, Gray JI, DeWitt DL. 1999.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anthocyanins and their aglycon, cyanidin, from tart cherries. J Nat Prod 62: 294-296. 

  3. Wu X, Gu L, Prior RL, McKay S. 2004. Characterization of anthocyanins and proanthocyanidins in some cultivars of Ribes, Aronia, and Sambucus and their antioxidant capacity. J Agric Food Chem 52: 7846-7856. 

  4. Kokotkiewicz A, Jaremicz Z, Luczkiewicz M. 2010. Aroniac plants: a review of traditional use, biological activities, and perspectives for modern medicine. J Med Food 13: 255-269. 

  5. Domarew CA, Holt RR, Snitkoff GG. 2002. A study of Russian phytomedicine and commonly used herbal remedies. J Herb Pharmacother 2: 31-48. 

  6. Hwang ES, Thi ND.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heongpomook added with aronia (Aronia melanocarpa)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30: 161-169. 

  7. Han GL, Li CM, Mazza G, Yang XG. 2005. Effect of anthocyanin rich fruit extract on PGE2 produced by endothelial cells. J Hyg Res 34: 581-584. 

  8. Lala G, Malik M, Zhao C, He J, Kwon Y, Giusti MM, Magnuson BA. 2006. Anthocyanin-rich extracts inhibit multiple biomarkers of colon cancer in rats. Nutr Cancer 54:84-93. 

  9. Hwang ES, Ki KN. 2013. Stability of the anthocyanin pigment extracted from aronia (Aronia melancocarpa).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416-421. 

  10. Yun HT, Kim WH, Lee YH, Suh SJ, Kim SJ. 2006. Isoflavone contents of soybean according to different planting dates. Korean J Crop Sci 51: 174-178. 

  11. Hong SB, Lee SJ, Kim YH, Hwang YS, Yoon KH, Lee SI, Nam MY, Song LS, Choung MG. 2010. Variation of anthocyanin, and isoflavone contents in Korean black soybeans grown at different latitudinal locations. Korean J Environ Agric 29: 129-137. 

  12. Kang HM, Choi IL, Kim IS. 2008. Effect of cultural regions or methods on postharvest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qualities of paprika fruits. J of Bio-Environmental Control 17: 325-329. 

  13. Dubois M, Gilles KA, Hamilton JK, Rebers PA, Smith F. 1956.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s and related substances. Anal Chem 28: 350-356. 

  14. Lee J, Durst RW, Wrolstad RE. 2005. Determination of total monomeric anthocyanin pigment content of fruit juices, beverages, natural colorants, and wines by the pH differential method: collaborative study. J AOAC Int 88: 1269-1278. 

  15. Appel HM, Govenor HL, D'Ascenzo M, Siska E, Schultz JC. 2001. Limitations of Folin assays of foliar phenolics in ecological studies. J Chem Ecol 27: 761-778. 

  16. Maksimovic Z, Malencic D, Kovacevic N. 2005.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aydis stigma extracts. Bioresour Technol 96: 873-877. 

  17. Wang KJ, Zhang YJ, Yang CR. 2005. Antioxidant phenolic compounds from rhizomes of Polygonum paleaceum. J Ethnopharmacol 96: 483-487. 

  18. Benzie I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19. Son JH, Choung MG, Choi HJ, Jang UB, Son GM, Byun MW, Choi C. 2001. Physiological effect of Korean black soybean pig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764-768. 

  20. Yu MH, Im HG, Lee HJ, Ji YJ, Lee IS. 2006. Component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arcocarp and seed of Zyzypus jujuba var. inermis reh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28-134. 

  21. Kang MH, Cho CS, Kim ZS, Chung HK, Min KS, Park CG, Park HW. 2002.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prepared from leaves, seed, branch and aerial part of Crotalaria sessiflora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098-1102. 

  22. Lee SY, Shin YJ, Park JH, Kim SM, Park CS. 2008. An analysis of the Gyungokgo's ingredients and a comparison study on anti-oxidation effects according to the kinds of extract. Kor J Herbology 23: 123-136. 

  23. Chung HJ. 2014. Comparison of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black chokeberry and blueberry cultivated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1349-1356. 

  24. Hwang SJ, Yoon WB, Lee OH, Cha SJ, Kim JD. 2014. Radical-scavenging-linke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black chokeberry and blueberry cultivated in Korea. Food Chem 146: 71-77. 

  25. Teixeira J, Gaspar A, Garrido EM, Garrido J, Borges F. 2013. Hydroxycinnamic acid antioxidants: An electrochemical overview. BioMed Res Int 1: 1-11. 

  26. Oszmianski J, Wojdylo A. 2005. Aronia melanocarpa phenolic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Eur Food Res Technol 221: 809-813. 

  27. Lim JD, Cha H, Choung M, Choi R, Choi D, Youn AR. 2014. Antioxidant activities of acidic ethanol extract and the anthocyanin rich fraction from Aronia melanocarpa. Korean J Food Cook Sci 30: 573-578. 

  28. Ku KM, Kim SK, Kang YH. 2009. Antioxidant activity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corn silk (Zea mays L.). Korean J Plant Res 22: 323-329. 

  29. Slimestad R, Torskangerpoll K, Nateland HS, Johannessen T, Giske NH. 2015. Flavonoids from black chokeberries, Aronia melanocarpa. J Food Compos Anal 18: 61-68. 

  30. Jakobek L, Drenjancevic M, Jukic V, Seruga M. 2012. Phenolic acids, flavonols, anthocyanins and antiradical activity of "Nero", "Viking", "Galicianka" and wild chokeberries. Sci Hortic 147: 56-63. 

  31. Denev PN, Kratchanov CG, Ciz M, Lojek A, Kratchanova MG. 2012. Bioavailabi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polyphenols: in vitro and in vivo evidences and possible mechanisms of action: A review. Compr Rev Food Sci Food Saf 11: 471-489. 

  32. Lee JS, Son BY, Kim JT, Ku JH, Han OK, Baek SB, Moon JK, Hwang JJ, Kwon YU. 2012. Change of total anthocyanin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urple waxy corn (Zea mays L.) inbred lines and hybrids during grain filling. Kor J Breed Sci 44: 290-300. 

  33. Lee SH, Kim SK, Hong EY, Chun SH, Son IC, Kim DI. 2014. Effect of harvest time on the several phenolic compounds and fruit quality of grape cultivars. Korean J Plant Res 27: 119-124. 

  34. Spayd SE, Tarara JM, Mee DL, Ferguson JC. 2002. Separation of sunlight and temperature effects on the composition of Vitis vinifera cv. Merlot berries. Am J Enol Vitic 53:171-182. 

  35. Djuric M, Brkovic D, Milosevic D, Pavlovic M, Curcic S. 2015.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he fruit of black chokeberry grown on different types of soil. REV CHIM (Bucharest) 66: 178-781. 

  36. Park EJ.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aronia (Aronia melanocarpa) pow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5: 646-6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