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구성 향상을 위한 연료전지 촉매 개발
Synthesis and Durability of Carbon-Supported Catalysts for PEMFC 원문보기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 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26 no.4, 2015년, pp.318 - 323  

이미혜 (현대자동차 연구개발본부 연료전지기술개발팀) ,  최진성 (현대자동차 연구개발본부 연료전지기술개발팀) ,  노범욱 (현대자동차 연구개발본부 연료전지기술개발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commercialization of fuel cell electric vehicles, one of the key objectives is to improve durability of MEA and electrocatalysts. Regarding electrocatalysts, the major issue is to reduce carbon corrosion and dissolution of Pt caused by harsh conditions, for example, SU/SD (Start-up/Shut-down).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MEA는 연료전지자동차의 엔진 역할을 하는 스택에서 실제 전기화학 반응을 하는 작동부이므로 향후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는 부품이다. 본 개발에 의하여 연료전지 MEA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는 방안을 확보하였다.
  • 이러한 백금이리듐 합금(PtIr/C) 합성은 졸겔(sol-gel) 법, 증기 증착, 전기도금 방법 등 다양한 연구들로 시도되었으나, 그 균일성이 떨어지고 양산 적용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백금이리듐 합금을 수나노미터 크기로 미세하게 분산하여 담지시킬 폴리올(polyol) 합성법을 개발하였다. 탄소 담지체 표면에 합성한 백금이리듐 합금촉매를 기존 백금담지 촉매를 적용한 MEA 대비 동등 이상의 초기성능을 구현하였고, 연료전지 차량모사 시스템에서의 내구성 향상 효과를 가질 수 있게 하였다.
  • 5는 OER 활성을 나타내는데, 이는 물을 산소(O2)와 전자(e⁻)로 분해하는 것으로 그 onset 값이 물질마다 상이하다. 연료전지 운전 시 시동/ 정지와 같은 고전위 영역에 노출되었을 때 탄소 담지체를 산화 시켜 전자를 발생시키기 전에, 물을 분해 시켜 산소와 전자를 만들어내는 반응에 대한 활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리듐이 적용된 백금이리듐 합금촉매가 기존 백금담지 촉매보다 OER 활성이 뛰어나고, 이는 고전위 노출 시 백금담지 촉매보다 탄소 부식을 방지할 능력이 높음을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연기관 차량을 대체하기 위한 차세대 연료전지 차량의 주요한 기술개발 방향은? 내연기관 차량을 대체하기 위한 차세대 연료전지 차량의 주요한 기술개발 방향은 연료전지 출력성능 향상, 내구성 및 냉· 시동성 향상 등이라 할 수 있다. 특히 MEA (Membrane Electrode Assembly)는 연료 전지 자동차의 핵심 부품으로서, 그 성능여하에 따라 연료전지의 출력과 내구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핵심 부품이다1-2).
MEA의 구성은? MEA의 구성은 음극, 전해질 막, 양극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며, 전해질 막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의 전극들이 접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전해질 막 양측에 도포되는 전극에 촉매가 분산되는데, 이는 탄소 담지체에 담지 된 형태의 백금으로 수소산화(HOR, Hydrogen Oxidation Reaction)와 산소환원(ORR, Oxygen Reduction Reaction) 이 일어나는 반응 장소를 제공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전해질 막 촉매의 역할은? 전해질 막 양측에 도포되는 전극에 촉매가 분산되는데, 이는 탄소 담지체에 담지 된 형태의 백금으로 수소산화(HOR, Hydrogen Oxidation Reaction)와 산소환원(ORR, Oxygen Reduction Reaction) 이 일어나는 반응 장소를 제공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촉매의 역할은 연료가스(수소/산소)의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생성된 화학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서 변환시키는 반응을 발생토록 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W. Vielstich, and A. Lamm, Hubert, "Handbook of fuel cells", John willey & Son, Vol. 1, 2003. 

  2. C. H Steele, and A. Heinzel, "Materials for fuel cell technologies", Nature, Vol. 414, 2001, p. 345. 

  3. G. Chen, H. Zhang, H. Ma, and H. Zhong, "Electrochemical durability of gas diffusion layer under simulated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conditions", Int. J. Hydrogen Energy, Vol. 34, 2009, p. 8185. 

  4. K. S. Eom, G. H. Kim, E. A. Cho, J. H. Jang, H. J. Kim, S. J. Yoo, S. K. Kim, and B. K. Hong, "Effects of Pt loading in the anode on the durability of a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polymer-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during startup/shutdown cycling", Int. J. Hydrogen Energy, Vol. 37, 2012, p. 18455. 

  5. T. R. Ralph, S. Hudson, and D. P. Wilkinson, "Electrocatalyst stability in PEMFCs and the role of fuel starvation and cell reversal tolerant anodes", ECS Trans., Vol. 1, 2006, p. 67. 

  6. P. J. Ferreira, G. J. Lao, Y. S. Horn, D. Morgan, S. Kocha, and H. A. Gasteiger, "Instability of Pt/C electrocatalysts in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J. Electrochem. Soc., Vol. 152, 2005, p. A2256. 

  7. X. Wang, R. Kumar, and D. J. Myers, "Effect of voltage on platinum dissolution-relevance to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Electrochem. Solid-State Lett. Vol. 9, 2006, p. A225. 

  8. E. Guilminot, A. Corcella, F. Charlot, F. Maillard, and M. Chatenet, "Membrane and active layer degradation upon PEMFC steady-state operation: I.platinum dissolution and redistribution within the MEA", J. Electrochem. Soc., Vol. 154, 2007, p. B1106. 

  9. R. Borup, J. Meyers, B. Pivovar, Y. S. Kim, R. Mukundan, N. Garland, D. Myers, M. Wilson, and F. Garzon, "Scientific aspects of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durability and degradation", Chem. Rev., Vol. 107, 2007, p. 3904. 

  10. H. A. Gasteiger, S. S. Kocha, B Sompalli, and F. T. Wagner, "Activity benchmarks and requirements for Pt, Pt-alloy, and non-Pt oxygen reduction catalysts for PEMFCs", Appl. Catal. B, Vol. 56, 2005, p. 9. 

  11. F. Fievet, J. P. Lagier, and B. Blin, Solid State Ionics,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nucleations in the polyol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micron and submicron size metal particles", Vol. 32, 1989, p. 198. 

  12. H. S. Oh, J. G. Oh, Y. G. Hong, and H. S. Kim, "Investigation of carbon-supported Pt nanocatalyst preparation by the polyol process for fuel cell applications", Electrochimica Acta, Vol. 52, 2007, p. 72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