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아시아 청년층 정보이용자의 도서관불안에 관한 연구
The Library Anxiety of Information Users in their 20s in East-Asia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9 no.3, 2015년, pp.253 - 272  

박미향 (국회도서관 전자정보정책과)

초록

본 연구는 동아시아 지역 성인층의 평생학습 확산을 대비한 국가간 도서관 협력의제를 고찰하기 위해 해당 지역 주요국가인 한국, 중국, 일본의 20대 청년층 정보이용자의 도서관인식과 불안을 국가간 비교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에 청년층 정보이용자의 상황적 맥락(선호정보원, 이용빈도, 학력, 성별)에 따른 도서관이용 의 요인별 인식차이를 조사하여 청년층 이용자의 선호정보원과 이용빈도에 따라 도서관불안에 명백한 차이가 있음을 통계적으로 입증하였다. 특히 중국의 정보이용자층이 다른 나라 이용자층에 비해 도서관이용시 각 요소에 대한 불안정도가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한국의 정보이용자들의 디지털정보에 관한 불안요소가 다른 나라 청년층 이용자에 비해 낮은 분포로 측정되었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이용자들의 환경변화에 따른 정보서비스요구에 대한 도서관의 수용 및 새로운 차원의 도서관 장소 모색 등 성인층을 위한 동아시아지역 도서관운영의 개선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library awareness and anxiety among people in their 20s living in East Asia. The objective is to develop the international library cooperation agenda for life-long education proliferation. User groups in Korea, China, and Japan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인의 정보요구와 취향을 기반으로 선호하는 정보원특성에 따른 정보이용자의 도서관 불안을 조사하였다. 정보원 문항과 관련하여 책(단행본), 잡지, 신문, 인터넷(블로그, 이메일 등), 지인 등 총 다섯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이를 전통적 공식 정보원과 비공식적(인터넷검색과 인적정보 활용) 정보원 등 두 가지 그룹으로 나누었다.
  • 국가별로 정보이용자가 자국 도서관을 이용할 때 느끼는 도서관불안감이 어느 정도의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국가별로 전체 응답자를 세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간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ANOVA분석을 하였고 Scheffe방법을 이용하여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 현재의 지구촌시대는 각 나라의 국가경쟁력강화를 넘어 지구촌을 세계 시민이 사는 공동의 공간으로 인지하고, 다양한 정책 이슈에 공동 대응할 수 있는 성숙한 시민의 양성과 초국가적 협력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100세 시대 평생학습기반 마련 및 성인교육과 학습의 장으로서 역사적으로 가장 오래된 지식정보인프라이자 문화교육기관인 도서관의 사회적 활용을 도모하며, 동아시아지역 국가의 정책적․학술 연구적 관심속에 도서관 협력의제를 개발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추후 보편적 역사 이해속에 보다 깊은 이해와 협력이 요구되는 동아시아 지역 성인교육의 주요 거점이자 기반시설이 될 도서관의 사회적 역할을 이용자연구와 연결하여 새롭게 접목시킨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이 연구는 동아시아 대표국가인 한국, 중국, 일본의 대도시지역 공공 및 대학도서관 등을 이용하는 20대 청년층 정보이용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국가별 도서관 인식차이와 각 요인별 도서관불안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른 가설검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 이를 통해 동아시아 청년세대의 도서관인식을 살펴보고, 국가간 공통점과 이용자들의 인식에 있어 차이점, 그리고 관련된 사회문화적 원인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향후 해당 지역의 성인층을 대상으로 한 도서관운영 및서비스정책 개선과 국가간 이용자들의 도서관이해를 촉진하는 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동아시아지역의 평생학습 환경제고에 관한 도서관 협력의제를 고찰하기 위해 해당 지역 주요국가인 한국, 중국, 일본 20대 정보이용자의 도서관인식과 불안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 청년세대의 도서관인식을 살펴보고, 국가간 공통점과 이용자들의 인식에 있어 차이점, 그리고 관련된 사회문화적 원인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향후 해당 지역의 성인층을 대상으로 한 도서관운영 및서비스정책 개선과 국가간 이용자들의 도서관이해를 촉진하는 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동아시아지역의 평생학습 환경제고에 관한 도서관 협력의제를 고찰하기 위해 해당 지역 주요국가인 한국, 중국, 일본 20대 정보이용자의 도서관인식과 불안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 청년세대의 도서관인식을 살펴보고, 국가간 공통점과 이용자들의 인식에 있어 차이점, 그리고 관련된 사회문화적 원인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 부가적으로 통계적 차이뿐만 아니라 그룹집단 간 불안감 차이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해당 연구에서 수행한 사후검증은 학력별, 이용횟수 별 도서관 인식요인에 따른 불안감의 변화추이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가설 설정

  • 1. 국가별로 청년층 정보이용자의 도서관불안에는 차이가 있다.
  • 2. 정보원 선호에 따라 도서관불안은 차이가 난다.
  • 3. 도서관 이용빈도가 따라 도서관불안은 차이가 난다.
  • 4. 학력수준에 따라 도서관불안은 차이가 난다.
  • 5. 남성과 여성의 도서관불안은 차이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적 차원에서 도서관이란? 도서관은 역사적으로 가장 오래된 문화기반시설로서 개인의 발전과 생의 의미추구에 있어 필수적인 사회적 기관이다. 국가적 차원에서는 도서관을 활용한 시민들의 정보활용 및 생산능력의 향상은 국가경쟁력 강화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지구적 관점에서도 도서관을 통한 시민교육과 교양강화는 글로벌 시민들이 만들어가는 성숙한 지구촌 시민사회 구현을 위해 필수적인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저출산·고령화현상 추세는? 인구문제에 있어 핵심적인 정책적 고려사항은 저출산·고령화현상이다. 고령화문제에 있어 전 세계적으로 50년 전에 비해 기대 수명이 거의 절반이 늘었고, 저출산문제는 한국의 경우 더욱 심각하여 2014년 말 현재 0~9세의 비율이 40대(40~49세)에 비해 절반정도로 감소하였다(통계청 2014). 특히 고령화는 선진국만의 현상이 아니어서, 통계적으로 70억 인구 가운데 40억 인구 이상이 이미 기대 수명 70세 이상 80세, 90세 나아가 100세까지 사는 것을 바라보게 되었다(박형준 2014). 이제 한 사람이 거의 한 세기를 사는 시대가 열렸고, 이는 개인에게나 국가에게나 엄청난 변화를 요구하는 현상이며, 성인 층의 단계적 확장과 함께 평생학습의 사회적 필요성도 커지게 됨을 의미한다.
도서관이란? 도서관은 역사적으로 가장 오래된 문화기반시설로서 개인의 발전과 생의 의미추구에 있어 필수적인 사회적 기관이다. 국가적 차원에서는 도서관을 활용한 시민들의 정보활용 및 생산능력의 향상은 국가경쟁력 강화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남영준, 김규환, 최성은. 2010. 외국인 유학생의 도서관불안에 관한 연구: C대학도서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4): 313-328.(Nam, Young-Joon, Kim, Gyu-Hwan and Choi, Sung-Eun. 2010. "A Research on library anxiety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4): 313-328.) 

  2. 남태우, 박현영. 2006.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도서관 불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1): 151-168.(Nam, Tae-Woo and Park, Hyun-Young. 2006. "A Study on library anxiety of domestic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7(1): 151-168.) 

  3. 박주범, 정동열. 2010. 디지털도서관 불안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4): 353-371.(Park, Joo-Bum and Jeong, Dong-Youl.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library anxiety sca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4): 353-371.) 

  4. 박현영, 남태우. 2006. 도서관 불안척도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3): 99-120.(Park, Hyun-Young and Nam, Tae-Woo. 200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brary anxiety sca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0(3): 99-120.) 

  5. 박형준. 2014. 한국사회 무엇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공진국가 구상. 서울: 메디치미디어.(Park, Heong-Joon. 2014. How Can We Change Korean Society in What Way?: Co-evolutionary State. Seoul: Medichmedia.) 

  6. 오선혜, 이성숙. 2012. 공공도서관 시니어 이용자의 도서관불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1): 257-276.(Oh, Sun-Hye and Lee, Sung-Sook. 2012. "A Study on the library anxiety of public library senior user."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1): 257-276.) 

  7. 오의경. 2011. 정보활용능력 인지수준과 도서관불안간의 관계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4): 123-137.(Oh, Eui-Kyung. 2011. "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self-cognition level of information literacy and library anxie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4): 123-137.) 

  8. 장보성, 김은정, 남영준. 2010. 장애인 이용자의 도서관불안 측정과 분석: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3): 309-327.(Jang, Bo-seong, Kim, Eun-jeong and Nam, Young-joon. 2010. "Measurement and analysis of library anxiety among library handicapped us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1(3): 309-327.) 

  9. 정종기. 2014. 도서관 이용자의 도서관노출경험이 도서관불안에 미치는 영향: 대학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1): 271-296.(Jung, Hong-Kee. 2014. "A Study on the impact of library exposure experience to freshmen's academic library anxiety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1): 271-296.) 

  10. 최운실, 이희수, 변종임. 2003. 생애단계에 따른 평생교육 체제 모델 탐색. 평생교육학연구, 9(3): 299-325.(Choi, Un-Sil, Lee, Hee-Su and Byun, Jong-Im. 2003. "A Study of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Model by Life-cyc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felong Education, 9(3): 299-325.) 

  11. 통계청. 2014. 인구추계 2014. 대전: 통계청. [online] [cited 2015. 6. 30.] (Statistics Korea. 2014. estimated population 2014. Daejeon: Statistics Korea. [online] [cited 2015. 6. 30.] ) 

  12. Aspray, W. and Hayers, B. M. 2011. Everyday Information: the Evolution of Information Seeking in America. New York: MIT Press. 

  13. Rimmer, S. 2007. Lifelong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in Longevity and Social Change in Australia. Borowski, A., Encel, S., Ozanne, E. ed. Sydney: UNSW Press. 

  14. Bostick, S. L. 1992.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Library Anxiety Scale. Ph.D. diss., The Graduate School of Wayne State University. 

  15. Case, D. O. 2012. Looking for Information: a Survey of Research on Information Seeking, Need, and Behavior. Bingley, UK: Emerald. 

  16. Fulton, C. and Vondracek, R. 2009. "Introduction: Pleasurable Pursuits: Leisure and LIS Research." Library Trends, 57(4): 611-617. 

  17. Jiao, Q. G. and Onwuebuzie, A. J. 1998. "Perfectionism and library anxiety among graduate students."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24(5): 365-371. 

  18. Jiao, Q. G. and Onwuebuzie, A. J. 2001. "Library anxiety among international student." Urban Library Journal, 11(2001): 16-27. 

  19. Laslett, P. 1991. A Fresh Map of Life: the Emergence of the Third Ag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0. Mi, J. and Nesta, F. 2006. "Marketing library services to the Net generation." Library Management, 27(6/7): 411-422. 

  21. Mellon, C. A. 1986. "Library anxiety: a grounded theory and its development." College & Research Libraries, 47(2): 160-165. 

  22. Mentis, H. M. 2007. "Memory of Frustrating Experience." Information and Emotion: The Emergent Affective Paradigm in Information Behavior Research and Theory, 197-210. 

  23.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Life satisfaction: 'how happy you are'. paris, Franc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nline] [cited 2015. 6. 20.] . 

  24. Prensky, M. 2001. "Digital Natives Digital Immigrants, Part1." On the Horizon, 19(5): 1-6. 

  25. Rothstein, P. and Schull, D. D. 2010. Boomers and Beyond. Chicago, IL: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6. Savolainen, R. 1995. "Everyday life information seeking: Approaching information seeking in the context of "way of life"."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17: 259-294. 

  27. Stebbins, R. A. 2001. New Directions in the Theory and Research of Serious Leisure. New York: Edwin Mellen Press. 

  28. Tapscott, D. 1998. Growing Up Digital: The Rise of the Net Generation. New York: McGraw-Hill. 

  29. Van Kampen, D. J. 2004. "Development of validation of the multi-dimensional library anxiety scale." College & Research Libraries, Jan: 28-34. 

  30. Weiler, A. 2005. "Information-seeking behavior in Generation Y students: motivation, critical thinking, and Learning theory."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1(1): 46-53. 

  31. Young, N. J. and Seggern, M. V. 2001. "General information seeking in changing times: a focus group study." Reference and User Services Quarterly, 41(2): 159-1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