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산만에서 와편모류 Dinophysis acuminata 및 Oxyphysis oxytoxoides와 먹이생물 섬모류인 Mesodinium rubrum의 단주기적 개체군 변동

Semi-daily Variations in Populations of the Dinoflagellates Dinophysis acuminata and Oxyphysis oxytoxoides and a Mixotrophic Ciliate Prey Mesodinium rubrum in Masan Bay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0 no.3, 2015년, pp.151 - 157  

김선주 (전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  윤지혜 (전남대학교 해양학과) ,  김미란 (전남대학교 해양학과) ,  박명길 (전남대학교 해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실내 배양체를 이용한 최근의 연구들은 혼합영양성 와편모류 Dinophysis와 종속영양성 와편모류 Oxyphysis oxytoxoides가 둘 다 혼합영양성 섬모류인 Mesodinium rubrum을 먹이생물로 이용하여 잘 성장한다는 점을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자연 생태계에서 포식자인 D. acuminata 및 O. oxytoxoides와 그들의 먹이인 M. rubrum사이의 상호작용을 연구할 목적으로 2011년 7월말부터 8월말까지 한 달간에 걸쳐 마산만의 한 고정 정점에서 하루 2회씩 개체군 변동을 모니터링 하였다. 본 연구동안 염분은 강수량이 높게 나타난 시기에 최소 5까지 급격하게 낮아지다가 강수량이 감소하는 8월말로 갈수록 약 28까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수온은 8월 20일까지는 평균적으로 $26.5^{\circ}C$를 유지하였으나, 이후에는 평균 $21^{\circ}C$를 유지하였다. M. rubrum은 연구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출현하였으나 그 변동 폭($13-492\;cells\;mL^{-1}$)이 매우 컸다. D. acuminata와 O. oxytoxoides의 개체수는 각각 $n.d.-19,833\;cells\;L^{-1}$$n.d.-100,333\;cells\;L^{-1}$의 범위를 나타냈다. 전반적으로 D. acuminata와 먹이생물인 M. rubrum의 개체수 출현 양상은 시간차를 두고 서로 밀접한 관계를 보이기도 하였으나, M. rubrum이 높은 밀도로 출현함에도 불구하고 D. acuminata의 대번식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존재하였는데, 이러한 이유는 극심한 염분의 변화 및 포식 등의 결과로 판단된다. 한편, O. oxytoxoides는 M. rubrum이 지속적으로 출현함에도 불구하고 $19-24^{\circ}C$의 수온 범위에서만 출현한 결과로 볼 때, 먹이생물의 부족보다는 수온 등의 환경요인이 O. oxytoxoides의 밀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 laboratory studies have documented that mixotrophic dinoflagellates Dinophysis spp. and heterotrophic dinoflagellate Oxyphysis oxytoxoides share a common prey, i.e. the mixotrophic ciliate Mesodinium rubrum. Nonetheless, very little is known about the population dynamics and species intera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rubrum사이의 상호작용을 동시에 연구한 결과는 없는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마산만의 한 정점에서 위 세 생물간 자연 상태에서의 상호작용을 연구할 목적으로 2011년 7월말부터 8월말까지 한 달간에 걸쳐 모니터링을 수행하였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포식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세 종 사이의 생태학적 의미를 토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inophysis는 무엇으로 은편모류 색소체를 획득하는가? 그러나 Park et al.(2006)은 Dinophysis가 색소체의 중간 매개체인 혼합영양성 섬모류인 Mesodinium rubrum을 통해서 은편모류 색소체를 획득한다는점을 규명하였으며, 이들 세 종류의 생물(은편모류-섬모류 M. rubrum와편모류 Dinophysis)간의 생물학적 섭식 상호작용에 기초하여 세계 최초로 Dinoiphysis acuminata 실내 배양체를 확립하는데 성공하였다.
Dinophysis의 색소체는 무엇의 기원인가? fortii등여러 Dinophysis종들이혼합영양(mixotrophy)을 할 가능성을 시사하였으며, Dinophysis종들의 실내배양체 확립에는 이러한 혼합영양 특성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초미세구조 연구 및 색소체 관련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등은Dinophysis의 색소체가 은편모류 기원임을 시사하였다(Schnepf andElbrächter, 1988; Lucas and Vesk, 1990; Takishita et al., 2002;Hackett et al.
마산만의 한 고정 정점(35°20'N, 128°57'E)의 지형적 특징은? 1)에서 2011년 7월 26일부터 8월 28일까지 34일 동안 오전 9시와 오후 3시에 매일 2회씩 표층 채수기를 이용하여 표층수를 채수하였다. 연구 정점이 위치한 마산만 해역은 반폐쇠성 해역으로서, 주변 해역과 해수순환이 제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연간 36회 이상의 적조가 일어날 정도로 부영양화되어 있는 해역이다(Jeong et al.,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Fensome, R.A., F.J.R. Taylor, G. Norris, W.A.S. Sarjeant, D.I. Wharton and G.L. Williams, 1993. A Classification of Living and Fossil Dinoflagellates. Micropaleontology Special Pub 7, Sheridan Press, Hanover, Pennsylvania, USA 

  2. Garcia-Cuetos, L., O. Moestrup, P. J. Hansen and N. Daugbjerg, 2010. The toxic dinoflagellate Dinophysis acuminata harbors permanent chloroplasts of cryptomonad origin, not kleptochloroplasts. Harmful Algae, 9: 25-38. 

  3. Hackett, J. D., L. Maranda, H.S. Yoon and D. Bhattacharya, 2003. Phylogenetic evidence for the cryptophyte origin of the plastid of Dinophysis (Dinophysiales, Dinophyceae). J. Phycol., 39: 440-448. 

  4. Inoue, H., Y. Fukuyo and Y. Nimura, 1993. Feeding behavior of dinoflagellate, Oxyphysis oxytoxoides, on ciliates. Bull. Plankton Soc. Japan, 40: 9-17. 

  5. Jacobson, D.M. and R.A. Andersen, 1994. The discovery of mixotrophy in photosynthetic species of Dinophysis (Dinophyceae):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al observations of food vacuoles in Dinophysis acuminata, D. norvegica and two heterotrophic dinophysoid dinoflagellates. Phycologia, 33: 97-110. 

  6. Janson, S and E. Graneli, 2003. Genetic analysis of the psbA gene from single cells indicates a cryptomonad origin of the plastid in Dinophysis (Dinophyceae). Phycologia, 42: 473-477. 

  7. Jeong, H.J., Y.D. Yoo, K.H. Lee, T.H. Kim, K.A. Seong, N.S. kang, S.Y. Lee, J.S. Kim, S. Kim and W.H. Yih, 2013. Red tides in Masan Bay, Korea in 2004-2005: I. daily variations in the abundance of red-tide organisms and environmental factors. Harmful Algae, 30S: S75-S88. 

  8. Kamiyama, T. and T. Suzuki, 2009. Production of dinophysistoxin-1 and pectenotoxin-2 by a culture of Dinophysis acuminata (Dinophyceae). Harmful Algae, 8: 312-317. 

  9. Kim, H.S., Y.G. Kim, J.S. Yang and W. Yih, 2004. Comparative population dynamics of photosynthetic ciliate Mesodinium rubrum (Myrionecta rubra) in Gomso Bay and the Geum River estuary, Korea. J. Kor. Soc. Ocean., The Sea, 9: 164-172. 

  10. Kim, M., S.W. Nam, W. Shin, D.W. Coats and M.G. Park, 2012. Dinophysis caudata (Dinophyceae) sequesters and retains plastids from the mixotrophic ciliate prey Mesodinium rubrum. J. Phycol., 48: 569-579. 

  11. Kim, S., Y.G. Kang, H.S. Kim, W. Yih, D.W. Coats and M.G. Park, 2008. Growth and grazing responses of the mixotrophic dinoflagellate Dinophysis acuminata as functions of light intensity and prey concentration. Aquat. Microb. Ecol., 51: 301-310. 

  12. Kofoid, C.A., 1926. On Oxyphysis oxytoxoides gen. nov., sp. nov. A dinophysoid dinoflagellate convergent toward the peridinioid type. Univ. Calif. Publ. Zool., 28(10): 203-216. 

  13. Koike, K., K. Koike, M. Takagi, T. Ogata and T. Ishimaru, 2000. Evidence of phagotrophy in Dinophysis fortii (Dinophysiolaes, Dinophyceae), a dinoflagellate that causes diarrhetic shellfish poisoning (DSP). Phycol. Res., 48: 121-124. 

  14. Lindholm, T., 1985. Mesodinium rubrum-a unique photosynthetic ciliate. Adv. Aquat. Microbiol., 3: 1-48. 

  15. Lucas, I.A.N. and M. Vesk, 1990. The fine structure of two photosynthetic species of Dinophysis (Dinophysiales, Dinophyceae). J. Phycol., 26: 345-357. 

  16. Maestrini, S.Y., B.R. Berland, D. Grzebyk and A.M. Spano, 1995. Dinophysis spp. cells concentrated from nature for experimental purposes, using size fractionation and reverse migration. Aquat. Microb. Ecol., 9: 177-182. 

  17. Nagai, S., G. Nishitani, Y. Tomaru, S. Sakiyama and T. Kamiyama, 2008. Predation by the toxic dinoflagellate Dinophysis fortii on the ciliate Myrionecta rubra and observation of sequestration of ciliate chloroplasts. J. Phycol., 44: 909-922. 

  18. Nishitani, G, S. Nagai, S. Sakiyama and T. Kamiyama, 2008. Successful cultivation of the toxic dinoflagellate Dinophysis caudata (Dinophyceae). Plankton Benthos Res., 3: 78-85. 

  19. Nishitani, G., K. Miyamura and I. Imai, 2003. Trying to cultivation of Dinophysis caudata (Dinophyceae) and the appearance of small cells. Plankton Biol. Ecol., 50: 31-36. 

  20. Park, M.G., H. Lee and S. Kim, 2011. Feeding behavior, spatial distribution and phylogenatic affinities of the heterotrophic dinoflagellate Oxyphysis oxytoxoides. Aquat. Microb. Ecol., 62: 279-287. 

  21. Park, M.G., J.S. Park, M. Kim and W. Yih, 2008. Plastid dynamics during survival of Dinophysis caudata without its ciliate prey. J. Phycol., 44: 1154-1163. 

  22. Park, M.G., M. Kim, S. Kim and W. Yih, 2010. Does Dinophysis caudata (Dinophyceae) have permanent plastids? J. Phycol., 46: 236-242. 

  23. Park, M.G., S. Kim, E.-Y. Shin, W. Yih and D.W. Coats, 2013. Parasitism of harmful dinoflagellates in Korean coastal waters. Harmful Algae, 30S: S62-S74. 

  24. Park, M.G., S. Kim, H.S. Kim, G. Myung, Y.G. Kang and W. Yih, 2006. First successful culture of the marine dinoflagellate Dinophysis acuminata. Aquat. Microb. Ecol., 45: 101-106. 

  25. Reguera, B., L. Velo-Suarez, R. Raine, R and M.G. Park, 2012. Harmful Dinophysis species: A review. Harmful Algae, 14: 87-106. 

  26. Reguera, B., P. Riobo, F. Rodriguez, P.A. Diaz, G. Pizarro, B. Paz, J.M. Franco and J. Blanco, 2014. Dinophysis toxins: causative organisms, distribution and fate in shellfish. Mar. Drugs, 12: 394-461. 

  27. Riisgaard, K. and P.J. Hansen, 2009. Role of food uptake for photosynthesis, growth and survival of the mixotrophic dinoflagellate Dinophysis acuminata. Mar. Ecol. Prog. Ser., 381: 51-62. 

  28. Sampayo, M.A. de M., 1993. Trying to cultivate Dinophysis spp. In: Smayda TJ, Shimizu Y (eds) Toxic Phytoplankton Blooms in the Sea. Elsevier, Amsterdam, p807-810 

  29. Schnepf, E. and M. Elbrachter, 1988. Cryptophycean-like double membrane-bound chloroplast in the dinoflagellate, Dinophysis Ehrenb.: evolutionary, phylogenetic and toxicological implications. Bot. Acta., 101: 196-203. 

  30. Sjoqvist, C.O. and T.J. Lindholm, 2011. Natural co-occurrence of Dinophysis acuminata (Dinoflagellata) and Mesodinium rubrum (Ciliophora) in thin layers in a coastal inlet. J. Eukaryot. Microbiol., 58(4): 365-372. 

  31. Swanson, K.M., L.J. Flewelling, M. Byrd, A. Nunez and T.A. Villareal, 2010. The 2008 Texas Dinophysis ovum bloom: distribution and toxicity. Harmful Algae, 9: 190-199. 

  32. Takishita, K., K. Koike, T. Maruyama and T. Ogata, 2002. Molecular evidence for plastid robbery (kleptoplastidy) in Dinophysis, a dinoflagellate causing diarrhetic shellfish poisoning. Protist, 153: 293-302. 

  33. Whyte, C., S. Swan and K. Davidson, 2014. Changing wind pattern linked to unusually high Dinophysis blooms around the Shetland Islands, Scotland. Harmful Algae, 39: 365-373. 

  34. Yih, W., G. Myung, H.S. Kim and H.J. Jeong, 2005. Semiweekly variation of spring population of a mixotrophic ciliate Myrionecta rubra (Mesodinium rubrum) in Keum River estuary, Korea. Algae, 20: 207-216. 

  35. Yih, W., H.S. Kim, G. Myung, J.W. Park, Y.D. Yoo and H.J. Jeong, 2013. The red-tide ciliate Mesodinium rubrum in Korean coastal waters. Harmful Algae, 30S: S53?S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