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면적 패션소비성향이 지속적 정보탐색과 패션점포선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mbivalent Fashion Consuming Tendency on Continuous Information Search and Fashion Store Selection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4 no.4, 2015년, pp.571 - 586  

김주희 (경성대학교 의상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mbivalent fashion consuming tendency on continuous information search and fashion store selection. Surveys period was from Jan. 8th to Jan. 20th in 2014.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young 218 women who had the shopping experiences with ambivalent fashion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면적 패션소비성향을 패션상품의 소비상황에서 상반된 두 가지 이상의 복합적인 소비가치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나타나는 소비성향으로 정의하였으며, 마케팅믹스요인을 근거로 가격(고가격, 저가격), 브랜드(유명상표, 일반상표), 유행(동조, 개성)과 같은 마케팅요소에서 상반된 소비가치를 동시에 혹은 순차적으로 소비행동을 하였는지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최근 소비자들의 숨겨진 구매심리를 파악하고, 고객과의 효과적인 접점을 찾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차원을 모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성공적인 패션리테일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 , 1997)를 토대로 양면적 패션소비성향을 패션상품의 소비상황에서 상반된 두가지 이상의 복합적인 소비가치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나타나는 소비성향으로 정의한다. 또한 Kim과 Rhee(2007), Jun과 Rhee(2010)의 연구에서 제시한 마케팅요소를 근거로 양면적 소비성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대 성인여성 소비자들의 양면적 패션소비성향이 지속적 정보탐색과 패션점포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해보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양면적 패션소비성향을 살펴보고, 이에 따라 지속적 정보탐색과 패션점포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상표, 가격, 유행과 같은 변인이 지속적 정보탐색과 관련성을 가진다는 선행연구(Ha & Kim, 2009; Lim & Hong, 2004; Choi, 2002)를 토대로 상표, 가격, 유행에서의 양면적 소비성향이 지속적 정보탐색활동, 지속적 정보탐색정도, 지속적 정보탐색공유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연구문제 1> 양면적 패션소비성향의 구성요인을 살펴보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패션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 <연구문제 4> 양면적 패션소비성향이 패션점포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 이처럼 본 연구는 양면적 패션소비성향에 대한 고찰과 특성을 파악하는데 그치지 않고 지속적 정보탐색이나 패션점포를 선택하는 행동 등과 같은 소비행동과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검증하고자 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겠다. 이러한 연구는 양면적 패션 소비성향이라는 새로운 소비자특성을 연구 분석하여 시장세분화 기준으로 채택할 수 있고, 이들을 대상으로 한 실효성 있는 새로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제안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측정도구의 적절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기초적인 사전조사 형식은 무엇인가요? 소비자관점의 양면적 패션소비성향을 측정하고 측정도구의 적절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초적인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조사형식은 1차 사전조사는 질적 조사 방법으로 표적집단 면접법을, 2차 사전조사는 양적 조사방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개인적 소비의 양극화란 무엇인가요? 이러한 소비양극화 현상은 ‘사회적 소비의 양극화’보다는 ‘개인적 소비의 양극화’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Kim & Rhee, 2007). 즉, 소득 불균형 때문에 소비지출이 양적으로 편중되는 소비의 양극화와는 다른 개념으로 개인의 상반된 소비가치들이 행동을 통해 나 타난 현상이라는 것이다(Kim, 2008). 이는 소비자가 각자의 소비가치척도에 따라 특정한 한 개인의 소비패턴 안에서도 고가나 저가의 상품을 극단적으로 모두 선택하고 있 다는 것을 의미한다.
패션점포선택이란 무엇인가요? 패션점포선택(Fashion store selection)은 패션상품을 다루는 매장과 유통의 선택행위 즉, 소비자가 패션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쇼핑장소로서 점포를 선택하는 행동을 말한다. 소비자에 따라 그들이 선호하는 점포요인은 다르고 이에 따른 선호점포유형도 달라질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Andrew, O., Gerald, I. C., & Allan, C. (1988). The cognitive structure of emo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Beatty, S. E. & Smith, S. M. (1987). External search effort: an investigation across several product categories. Journal of Consumer Search, (June), 83-95. 

  3. Bell, D. R., Ho, T. H. & Tang, C. S. (1998). Determining where to shop: fixed and variable costs of shopping. Journal of Marketing Reserch, 35(August), 352-369. 

  4. Bleuler, E. (1950). Dementia praecox or the group of schizophrenias.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5. Bloch, P. H., Sherrell, D. S., & Ridgway, N. M. (1986). Consumer search: an extended framework. Th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3(1), 119-126. 

  6. Choi, M. Y. (2010). A study on the explanatory variables of internet ongoing information search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9), 1527-1537. 

  7. Choi, S. H. (2002). Ambivalence of the consumption market.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Issue Paper September 1-24 . 

  8. Chung, H. S. & Rhee, E. Y. (2002). Competitve structure analysis among fashion stores by consumers' patronage mix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9/10), 1354-1365. 

  9. Davis, F. (1992). Fashion, culture, and identity.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0. Ha, J. K. & Kim, J. H. (2009). A study of college students' brand choice behaviors.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18(1), 181-188. 

  11. Je, E. S. (2012). The study on satisfaction and intent to reuse by type of advertisement as a result of internet fashion information search.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6(2), 62-73. 

  12. Jo, S. J. (2002). Clothing stores typed mix of stores and consumer behavior Patron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3. Jun, J. H. & Rhee, Y. S. (2010). The relationship of ambivalent clothing consuming behavior, value and value-conscious consump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9), 1491-1503. 

  14. Kim, E. Y. (2008). Ambivalence of the fashion brand. Journal of Distribution, 3(164), 28-31. 

  15. Kim, E. Y. & Hwang, J. S. (2012). The effect of ambivalent shopping value on online word of mouth and purchase behavior of fashion product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37, 299-314. 

  16. Kim, H. S. (2008). Lifestyle and clothing consumption value between groups depending upon ambivalent consump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National University. 

  17. Kim, J. H. & Rhee, E. Y. (2007). A study on ambivalent consumption in the purchase behavior of apparel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2), 172-189. 

  18. Kim, J. Y. & Rhee, E. Y. (2004). The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product quality, price on store patronage for apparel stor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1), 12-21. 

  19. Kim, S. H. (2008). The difference of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structure by the type of store preferre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3). 373-384. 

  20. Kim, S. H. (2010). Complex shopping behavior of economic consumers - focused on shopping orientation and store selection criteria -. Journal of the society of fashion & textile industry, 12(5), 683-693. 

  21. Kim, S. H. & Rhee, Y. S. (200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shion leadership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opping-related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1), 162-172. 

  22. Kim, Y. S. (2001). Study on store selection and buying behavior of the consumer type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illa University 

  23. Kotler, P. (1984). Marketing management: analysis, planning and control(5th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24. Lee, C. H. (2015. 06. 04). Very expensive or very cheap or, even buying clothes 'consumption polarization' , Asian economies. 

  25. Lee, K. S. (2001). (The) effect of brand, store types and price discounts in clothing on consumers' product evalua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6. Lee, M. G. (1998). Study on the continuous involvement and situational involvement under the consumer information about navig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 31-155. 

  27. Lee, S. G. (2003). Human two sides, attention is directed to their properties, Advertising Information, (1), 52-56. 

  28. Lee, S. H. & Jo, S. N. (2007). The effects of multi-shop's store image on the store loyalty and brand switching behavior.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5(1), 51-61. 

  29. Lee, Y. S. (1991). Consumer involvement of clothing and external information searc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n. 

  30. Lee, Y. Y. (1997). Fashion marketing. Gyomunsa. 

  31. L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2005). 2010 Republic of korea trend. Seoul: Korea Economic Daily Hankyong BP. 

  32. Lim, H. J. & Hong, K. H. (2004). A study on information search and impulse buy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internet clothing shopping mot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8), 1065-1075. 

  33. Lim, J. W., Kim, J. I., Hong, S. T. & Lee, Y. J. (2006). Consumer behavior(3rd Edition), - Understanding and strategic use of marketing. Seoul: Kyeongmunsa. 

  34. Moon, H. K. & Choo, H. J. (2008), The effects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son ambivalent clothing consum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8(2), 1-14. 

  35. Nahm, M. W. (2005). The effect of value orientations, price perceptions on on-going Search Behaviors. International Costume Conference proceeding, Oct. 22, 198-199. 

  36. Otnes, C., Lowrey, T. M. & Shrum, L. J. (1997). Toward an understanding of consumer ambivalence.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3(2), 139-151. 

  37. Park, E. H. (2009). A study on the ambivalence of fashion product consum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u, Korea. 

  38. Park, E. H. (2012).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pursuit of clothing benefits of ambivalent consumption of fashion product.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6(1), 137-149. 

  39. Park, J. J. & Lee, J. H. (2013). Fashion retailing store type attractiveness, direct estimates, indirect estimates approach with multiple scale items, intra-store type competition model, inter-store type competi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7(1), 76-89. 

  40. Park, J. K., Lee, H. J. & Lee, K. H. (2012). Differences in store selection criteria and store visits according to consumers' shopping value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20(6), 883-894. 

  41. Polegato, R. & Wll, M. (1980). Information seek by fashion opinion leaders and followers.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8(5), 327-338. 

  42. Ryou, E. J. & Lim, S. J. (1998). A Study on consumer's value systems and cloth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2(6), 749-759. 

  43. Shin, S. H. (2004).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ambivalence between groups depending upon consumer's innovative adoption: Focusing on new products of non-durable goods. Unpublished ma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44. Shin, S. Y. & Na. H. J. (2003). A study on the shopping orientation and the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s of luxury band consumer according to patronage stor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11(4), 474- 486. 

  45. Shin, Y. W., Noh, J. Y., Kim, Y. T., Park, S. B. & Koh, A. R. (2010). A study on factors research on clothing consumption ambivalent behavio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Conference Proceedings, 143. 

  46. Sincoff, J. B. (1990).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mbivalent people. Clinical Psychology Review, 10(1), 43-67. 

  47. Spiggle, S. & Murphy, A. S. (1987). A choice sets model of retail selection. Journal of Marketing, 51, 97-111. 

  48. Suck, H. J., Park, S. H. & Lee, J. E. (2011). Shopping motives, information search and behavioral intentions of internet fashion consumers.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35(8), 918-93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