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입산 열대·아열대 과일의 항산화 활성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antioxidant activity of imported tropical and subtropical fruits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2 no.4, 2015년, pp.577 - 584  

정해정 (대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수입산 열대 아열대 과일의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FRAP 활성, tyrosinase 저해효과, 환원력 등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석류가 12.22 mg GAE/g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 순으로 파인애플이 3.77 mg GAE/g이었으며, 용과, 그린키위, 파파야, 옐로우망고가 2.45~2.99 mg GAE/g의 범위로 나타났다. 석류는 DPPH, ABTS,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환원력에서 다른 과일보다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고 그 다음으로 파인애플이 높은 활성을 보였다. 특히 석류는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시료 농도 5 mg/mL에서는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 및 환원력이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ascorbic acid와 대등한 효과를 보였다. 반면에, 용과와 파파야는 대부분의 항산화 효과 실험에서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imported tropical and subtropical fruits including dragon fruits, green kiwi, papaya, pineapple, pomegranate, and yellow mango. A seventy percent of ethanol extracts were prepared. Total phenolic content, DPPH (1,1-diphenyl-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

    시료 용액의 ABTS radical 소거능은 Re 등(16)의 방법을 일부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즉, ABTS 용액과 2.

  • Fer ic ion reducing antioxidant power(FRAP) 측정

    FRAP은 Benzie 등(18)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즉, 300 mM acetate buffer(pH 3.

  •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Superoxide anion radical(O2)은 xanthine oxidase에 의하 여 생성되고 NBT와 반응하여 superoxide anion radical-NBT 복합체를 형성하면 청색을 띠게 되는데 항산화 활성을 갖는 물질에 의해 탈색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33). Superoxide anion radical은 hydrogen peroxide (H2O2), hydroxyl radical (OH), singlet oxygen 등의 전구체로 작용 하며 세포 및 신경조직을 손상시키는 독성이 강한 radical이다(34).

  • Tyrosinase 저해 효과 측정

    시료용액의 tyrosinase 저해 효과는 Chang 등(19)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즉, 10 mM L-DOPA 0.

  • 요 약 본 연구에서는 수입산 열대·아열대 과일의 항산화 효과 를 비교하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radical 소거 능, ABTS radical 소거능,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FRAP 활성, tyrosinase 저해효과, 환원력 등을 측정하였다.
  • 각각의 분말 시료에 20배의 70% 에탄올을 가하고 30℃에 서 12시간 추출하는 과정을 2회 반복 실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지(Whatman filter paper No.1)로 여과한 후 진공농축기(Buchi R-114, Flawil, Switzerland)로 감압농축하여 동결 건조시킨 다음 일부를 취하여 1, 2.5, 5 mg/mL의 농도가 되도록 50% dimethyl sulfoxide에 용해하여 시료를 제조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는 ascorbic acid를 1 mg/mL 농도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 추출액의 제조

    각각의 분말 시료에 20배의 70% 에탄올을 가하고 30℃에 서 12시간 추출하는 과정을 2회 반복 실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지(Whatman filter paper No.

대상 데이터

  • Folin-ciocalteau's phenol reagent, gallic acid,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potassium persulfate, xanthine, xanthine oxidase, nitroblue tetrazolium(NBT), potassium ferricyanide, 2, 4, 6-tri-2-pyridyl-1, 3, 5-triazine(TPTZ), mushroom tyrosinase 등은 Sigma-Aldrich(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고 그 외의 시약은 특급 및 일급시약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 산화적 스트레스를 효과적 으로 예방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충분한 양의 항산화물질을 섭취해야 한 수입 과일은 그린키위(green kiwi, 뉴질 랜드산), 석류(pomegranate, 미국산), 옐로우망고(yellow mango, 필리핀산), 용과(dragon fruit, 베트남산), 파인애플 (pineapple, 필리핀산), 파파야(papaya, 필리핀산) 등 6종으 로 서울소재 대형마트에서 2014년 9월에 구입하였다.

데이터처리

  • 여기에 69 mM SDS 2 mL를 NOVA)으로 분석한 다음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평균치간의 유의적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론/모형

  •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시료용액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Blois의 방법(15)에 따라 0.1 mM DPPH 용액 2 mL에 시료용액 0.4 mL를 가하여 잘 혼합하고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시료용액 첨가군과 무첨가군 간의 흡광도 비(%)로 나타내었다.

  •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총 폴리페놀 함량은 Dewanto 등(14)의 방법에 따라 각 시료용액 0.1 mL에 증류수 1.9 mL와 Folin-Ciocalteau's phenol reagent 0.2 mL를 가하여 실온에서 3분간 반응시켰 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일의 효능은? All rights reserved. 를 받을 뿐 만 아니라 항산화능이 뛰어나고 충분한 양을 섭취하면 만성질환 예방에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3,4). 이는 과일에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 카로티노이드, 폴리페놀 등의 생리활성 성분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데(5) 그 중에서도 폴리페놀은 superoxide, hydroxyl, peroxyl 등과 같은 free radical에 의해 생성되는 산화적 스트레스 (oxidative stress)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암, 심장병, 동맥경화, 관절염 및 퇴행성 질환의 예방 및 감소에 기여하 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6-8).
식품업계 및 학계에서는 건강 기능성을 충족시키는 식품소재 개발에 관심을 가지게 된 배경은? 경제가 발전하고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은 날로 높아져서 식품이 단지 생명유지 기능과 기호적 기능을 제공하는 것 외에 질병예방, 면역력 강화, 노화방지와 같은 생리활성 기능도 제공해 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1,2)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효과가 있는 식품 을 섭취하려는 소비자의 요구 증가에 따라 식품업계 및 학계에서는 건강 기능성을 충족시키는 식품소재 개발에 관심을 가지고 특히 식물성 소재 개발 및 이를 이용한 기능 성 제품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여러 식물성 자원 중 과일은 독특한 맛과 향, 색 등으로 소비자들의 애호 *Corresponding author.
과일에 함유된 생리활성 성분은? 를 받을 뿐 만 아니라 항산화능이 뛰어나고 충분한 양을 섭취하면 만성질환 예방에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3,4). 이는 과일에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 카로티노이드, 폴리페놀 등의 생리활성 성분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데(5) 그 중에서도 폴리페놀은 superoxide, hydroxyl, peroxyl 등과 같은 free radical에 의해 생성되는 산화적 스트레스 (oxidative stress)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암, 심장병, 동맥경화, 관절염 및 퇴행성 질환의 예방 및 감소에 기여하 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6-8). 산화적 스트레스를 효과적 으로 예방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충분한 양의 항산화물질을 섭취해야 한 수입 과일은 그린키위(green kiwi, 뉴질 랜드산), 석류(pomegranate, 미국산), 옐로우망고(yellow mango, 필리핀산), 용과(dragon fruit, 베트남산), 파인애플 (pineapple, 필리핀산), 파파야(papaya, 필리핀산) 등 6종으 로 서울소재 대형마트에서 2014년 9월에 구입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Park SH, Hwang HS, Han JH (2004) Development of drink from composition with medicinal plants and evaluation of its physiological function. Korean J Nutr, 37, 364-372 

  2. Jeong CH, Choi SG, Heo HJ (2008)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commercial blueberry and raspberry. J Korean Sci Food Sci Nutr, 37, 1375-138 

  3. Moo-Huchin VM, Estrada-Mota I, Estrada-Leon R, Cuevas-Glory L, Ortiz-Vazquez E, Vargas MLV, Betancur-Ancona D, Sauri-Duch E (2014) Determination of som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ropical fruits from Yucatan, Mexico. Food Chem, 152, 508-515 

  4. Yahia EM, Gutierrez-Orozco F, Arvizu-de Leon C (2011) Phytochemical and antioxidant characterization of the fruit of black sapote (Diospyros digyna Jacq.). Food Res Int, 44, 2210-2216 

  5. Lee MY, Yoo MS, Whang YJ, Jin YJ, Hong MH, Pyo YH (2012) Vitamin C, total polypheno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several fruit pee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540-544 

  6. Spinola V, Pinto J, Castilho PC (2015)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phenolic compounds of selected fruits from Madeira island by HPLC-DAD?ESI-MSn and screening for their antioxidant activity. Food Chem, 73, 14-30 

  7. Lim YY, Lim TT, Tee JJ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tropical fruits : a comparative study. Food Chem, 103, 1003-1008 

  8. Halliwell B (1996)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Ann Rev Nutr, 16, 33-50 

  9. Kim AR, Lee HJ, Jung HO, Lee JJ (2014)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ramie leaf according to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118-127 

  10. Rufino MSM, Alves RE, Brito ES, Perez-Jimenez J, Saura-Calixto F, Mancini-Filho J (2010)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capacities of 18 non-traditional tropical fruits from Brazil. Food Chem, 121, 996-1002 

  11. Lee WJ, Lee TM (2013) An exploratory study on consumer behavior on imported agro-product : focused on imported fruit. J Consumer Policy Studies 44, 1-25 

  12. Martinez R, Torres P, Meneses MA, Figueroa JG, Perez-Alvarez JA, Viuda-Martos M (2012) Chemical, technological and in vitro antioxidant properties of mango, guava, pineapple and passion fruit dietary fibre concentrate. Food Chem, 135, 1520-1526 

  13. Bicas JL, Molina G, Dionisio AP, Cavalcante-Barros FF, Wagner R, Marostica MRJr (2011) Volatile constituents of exotic fruits from Brazil. Food Res Int, 44, 1843-1855 

  14. Dewanto V, Wu X,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4959-4964 

  15.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6.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7. Wang J, Yuan X, Jin Z, Tian Y, Song H (2007) Free radical and 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activities of peanut skins extract. Food Chem, 104, 242-250 

  18. Benzie IF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19. Chang MI, Kim JY, Kim US, Baek SH (2013) Antioxidant, tyrosinase inhibitory,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gochujang added with cheonggukjang powder made from sword 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221-226 

  20. Wong JY, Chye FY (2009) Antioxidant properties of selected tropical wild edible mushrooms. J Food Compos Anal, 22, 269-277 

  21. Kim EJ, Choi JY, Yu M, Kim MY, Lee S, Lee BH (2012)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337-342 

  22. Cha JY, Kim HJ, Chung CH, Cho YS (1999)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310-1315 

  23. Kalt W, Hanneken A, Milbury P, Tremblay F (2010) Recent research on polyphenolics in vision and eye health. J Agric Food Chem, 58, 4001-4007 

  24. Hossain MA, Rahman SMM (2011) Total phenolics, flavonoi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ropical fruit pineapple. Food Res Int, 44, 672-676 

  25. Ozgen M, Durgac C, Serce S, Kaya C (2008) 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pomegranate cultivars grown in the mediterranean region of Turkey. Food Chem, 111, 703-706 

  26. Liu FX, Fu SF, Bi XF, Chen F, Liao XJ, Hu XS, Wu JH (2013)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four mango (Mangifera indica L.) cultivars in China. Food Chem, 138, 396-405 

  27. Patthamakanokporn O, Puwastien P, Nitithamyong A, Sirichakwa PP (2008) Changes of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during storage of selected fruits. J Food Compos Anal, 21, 241?248 

  28. Yu MH, Lee SG, Im HG, Chae IG, Kim HJ, Lee J, Lee IS (2011) Antioxidant capacity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and fractions from papaya seed. J Life Sci, 21, 775-782 

  29. Miller NJ, Rice-Evans CA (1997)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ascorbic acid and phenolic antioxidants to the total antioxidant activity of orange and apple. Food Chem, 60, 331-337 

  30. Kim MJ, Park E (2011) Feature analysis of different in vitro antioxidant capacity assays and their application to fruit and vegetable sampl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053-1062 

  31. Roh BK, Kim JY, Kim JY (2005) Anti-oxidant activities of Punica granatum extrac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1, 207-212 

  32. Chung HJ, Kim CJ, Choi YS (2015)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different colored kiwis cultivated in Korea. J Korean Soc Food Cult, 30, 220-226 

  33. Gulcin ?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caffeic acid (3,4-dihydroxycinnamic acid). Toxicology, 217, 213-220 

  34. Jin SY (2011) Study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Korean and Iranian pomegranat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063-1072 

  35. Jeong SJ, Lee H, Song HN, Seong NS, Lee SE, Baeg NI (2004)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135-140 

  36. Lee YJ, Kim JH, Oh JW, Shin GH, Lee JS, Cho JH, Park JJ, Lim JH, Lee OH (2014)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kohlrabi and radish sprou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531-537 

  37. Guo C, Yang J, Wei J, Li Y, Xu J, Jiang Y (2003) Antioxidant activities of peel, pulp and seed fractions of common fruits as determined by FRAP assay. Nutr Res, 23, 1719-1726 

  38. Lee HJ, Do JR, Kwon JH, Kim HK (2010)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ucurbita moschata Duch.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65-171 

  39. Shin YS, Lee JE, Yeon IK, Do HW, Cheung JD, Kang CK, Choi SY, Youn SJ, Cho JG, Kwoen DJ (2008) Antioxidant effects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extracts. J Life Sci, 18, 963-9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