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포타쉬 유리구슬의 조성 분류에 따른 특성 비교
Characteristic Comparison of the Composition Classification on Potash Glass Beads Excavated in Korea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1 no.3, 2015년, pp.255 - 265  

김나영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김규호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자연과학적 분석을 통해 확인된 30개 유적의 281점 포타쉬유리에 대하여 화학 조성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 색상, 크기, 제작 기법 그리고 유통 시기를 비교하였다. 한국의 포타쉬유리는 안정제 함량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I, II형은 CaO와 $Al_2O_3$ 함량이 모두 5% 미만으로 상대적으로 I형은 CaO 함량이 높고 II형은 $Al_2O_3$ 함량이 높다. 이와 달리 III형은 CaO를 5% 이상 포함한다. 이들은 융제를 첨가하기 위해 I, II형이 초석, III형이 식물 재를 원료로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유형별 특성에서, I형은 감청색, 벽색 및 청록색, 자색을 띠고 외경이 1.4~7.4mm까지 다양한 크기가 확인된다. 늘인 기법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가장 빠른 BC 1C경 출현하여 AD 6C까지 지속적으로 유통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II형은 벽색 및 청록색을 띠며, 외경이 1.9~3.6mm 정도의 소형 구슬이다. 제작 기법은 I형과 동일하며 AD 1C경 나타나 4C경 단절되는 양상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III형은 갈색, 무색, 황색을 띠며 외경이 대략 10mm 전후에 달하는 대형 구슬이다. 말은 기법에 의해 성형되었으며 고려 및 조선시대 민묘에서 등장한다. 이상의 결과에서 한국에서 유통된 3가지 유형의 포타쉬유리는 각기 다른 생산지에서 다양한 교역 루트를 통해 유입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potash glass beads of 281 samples in 30 sites analyzed until now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the color, size, manufacturing technique and distribution period were compared. Korea potash glass beads are divided into 3 types depending on the stabiliz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금까지 각 유적별로 조사된 한국 포타쉬유리의 분석 자료를 정리하여 화학 조성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이 갖는 색상, 크기, 제작 기법 특성 그리고 유통 시기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확인되는 특성은 당시 고대 사회의 유리 기술 문화와 나아가 정치·경제적 문화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파괴 조성 분석의 장점은 무엇인가? 현재 유리구슬에 대한 조성 분석은 완형 구슬에 대한 비파괴 조성 분석과 복원이 불가능한 편에 대한 단면 분석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비파괴 조성 분석은 시료의 전처리 과정이 생략되기 때문에 간편하고 손쉬운 분석 방법으로 무엇보다 파괴가 불가능한 완형 구슬에 대한 조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완주 신풍 유적(Kim et al.
유리의 구성성분은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유리의 구성 성분은 주제, 융제, 안정제, 착색제로 분류할 수 있다. 고대유리의 뼈대 역할을 하는 주제는 모래나 석영 자갈이 원료로 사용되며 SiO2가 주요 성분이다.
유리 제작 시, SiO2는 어떤 특징을 갖는가? 고대유리의 뼈대 역할을 하는 주제는 모래나 석영 자갈이 원료로 사용되며 SiO2가 주요 성분이다. 이 성분은 결정상에 따라 용융온도에 차이가 있으나 석영 (Quartz)의 경우 약 1,850℃로 고대 기술에서 접근하기 어려운 온도이기 때문에 이를 낮추기 위하여 융제를 첨가한다. 광물이나 식물의 재에서 얻을 수 있는 융제는 PbO, K2O, Na2O 등으로 구분되며 용융온도를 700℃까지 낮출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ung K.Y., Kang H.T., Koh M.J. and Kim H.J., 2011, chemical composition of glass beads from tombs of Bupwha-ri site, Yeongdong,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7(3), 243-32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GAN Fuxi, 2005, Development of Chinese Ancient Glass, Shanghai Scientific and Technologic Press, (in Chinese) 

  3. Kang H.T., Cho N.C., Han M.S., Kim W.H. and Hong J.Y., 2009, chemical composition and lead isotope ratio of glass beads excavated from Eunpyeong Newtown Sit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5(3), 335-3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Kim, G.H,, 2001, Excavation Report: Composition analysis of glass beads from Mabuk-ri in Yongin, Gyeonggi-do, Gyeonggi provincial museum, 243-249. 

  5. Kim, G.H,, 2002, A study of archaeological chemistry on ancient glasses found in Korea, Doctor's Thesis in Chungang University.(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G.H., Song Y.N. and Kim, N.Y., 2005, Excavation Report 46: A study of archaeological chemistry on ancient glasses from Gal-dong site in Wanju. Honam cultural property research center, Damyang, 199-206.(in Korean) 

  7. Kim, G.H., Kim, N.Y., 2010, Excavation Report: A study of archaeological chemistry on ancient glasses from Gusan-dong site in Gimhae. Gyeongnam archaeology institute, Jinju, 38-91.(in Korean) 

  8. Kim, D.Y., Kim, N.Y., Lee, S.B. and Kim, G.H., 2011, The Characteristic Transition on Glass Beads of Proto-three Kingdom Periods excavated from Deokcheon-ri tombs, Gyeongju, Sanggosa Hakbo, 74, 115-131.(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G.H., Kim, N.Y. and Han S.I., 2012, Excavation Report 62: Production technique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glass beads excavated from Okpo site in Daeju. Sunglim cultural property research center, Gyeongju, 277-306.(in Korean) 

  10. Kim, G.H., Kim, N.Y., 2013a, Excavation Report 171: Production technique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glass beads excavated from Seon-dong site in Gochang. Honam cultural property research center, Damyang, 255-277.(in Korean) 

  11. Kim, G.H., Kim, N.Y., 2013b, Excavation Report 39: A study of archaeological chemistry on ancient glasses from Cheonggye-ri site in Hwaseong. Hanbaek research institute for cultural heritage, Seoul, 291-305.(in Korean) 

  12. Kim, N.Y, 2013, An Investigation of Chemical Characteristics on Alkali Glass Beads at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Korea, Doctor's Thesis in Kongju National University.(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G.H., Kim, N.Y. and Park Y.A., 2014, Excavation Report 180: Production techhnique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glass beads excavated from Shinpoong in Wanju. Honam cultural property research center, Damyang, 114-255.(in Korean) 

  14. Kim, G.H., Kim, N.Y., 2015, Excavation Report 98: Production technique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beads excavated from Hwanam-ri site in Yeongcheon. Sunglim cultural property research center, Gyeongju, 277-306.(in Korean) 

  15. Kim, G.H., Kim, N.Y., Jeong L, Yun J.H. and Park Y.A., 2015, Excavation Report: Production technique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beads excavated from Jinyeong site in Gimhae,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Seoul, 114-255.(in Korean) 

  16. Lee, I.S., 1991, Archaeological study of ancient glass in Korea, Doctor's Thesis in Hanyang University.(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ee, I.S., 2009, Characteristics of early glasses in ancient korea with respect to Asia maritime bead trade, Ancient glass research along the Silk Road, World Scientific. 

  18. Roy Newton, Sandra Davison, 1989, Conservation of glass, Butterworths. 

  19. Shu Meiguang, He Ouli and Zhou Fuhwng, 1986, Investigation on some Chinese potash glasses Excavated in Han Dynasty Tomb, X IV International congress on glass archaeometry of glass, Indian Ceramic Society. 

  20. Song Y.N., Kim, G.H., 2006,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archaeological chemistry on the glass beads of Dujeongdong site of Cheonan,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18, 5-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Song Y.N., 2006,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archaeological chemistry on the glass beads of Baekje Period in Chungcheongnam-do, Korea, Master's Thesis in Kongju National University.(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Tamura T., 2012, Ancient trade routes through the glass;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glass beads excavated the Tomb of King Muryeong and Japanese, Paekche culture, 46, 103-144. (in Korean with Japanese) 

  23. Yu, H.S., Kang, H.T., 2001, The Scientific analysis of glass beads excavated from King Muryeong's Tomb, Special Exhibition Report for 30th anniversary of excavations of King Muryeong's Tomb, Gongju National Museum, 209-214.(in Korea) 

  24. ZHAO Hongxia, LI Qinghui, GAN Fuxi and CHENG Huansheng, 2007, PIXE study on ancient glass samples of the Han Dynasty unearthed from Hepu county, Guangxi, NUCLEAR TECHNIQUES, 30(1), 27-33.(in Chinese) 

  25. Zvi goffer, 1980, Archaeological Chemistry, JOHNWILEY& SONS, 136-1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