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엉겅퀴 부위별 열수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s of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Organs of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29 no.4, 2015년, pp.322 - 329  

윤홍화 (전주대학교 보건관리학과) ,  조병옥 (전주대학교 보건관리학과) ,  방숭주 (전주대학교 보건관리학과) ,  심재석 (임실생약영농조합법인) ,  장선일 (전주대학교 보건관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are often used in treatment of human diseases such as hemorrhage, blood congestion and inflammation in Korea. However, there was not report on the anti-obesity efficacy of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organs of C. japonicum var. ussuriense. Here, we investigated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 다음은 엉겅퀴 부위별 추출물이 고지방 사료 투여에 의한 비만 모델 마우스에서 체중 및 복부지방 감량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고지방 사료를 8주간 투여한 후 비만을 유도한 후 엉겅퀴 부위별 추출물을 12주간 투여한 후 비만 개선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 그러므로 본 연구는 엉겅퀴 부위별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고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효과를 검증한 후에 지방세포주인 3T3-L1 세포를 대상으로 지방 생성억제를 확인하고 고지방사료 투여에 의한 비만모델 마우스를 유도한 후 항비만 효과를 조사한 결과 흥미로운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부작용이 없고 안전성이 확보된 비만 개선에 대한 천연물 소재를 대상으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3,5).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전통적으로 한방에서 사용하고 있는 엉겅퀴 부위별 추출물을 대상으로 비만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식물유래 apigenin과 항비만 효과를 조사하였다.
  • 그러나 현재까지 부작용이 없고 안전성이 확보된 치료약은 없는 실정으로 비만을 개선시킬 수 있는 천연물을 대상으로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엉겅퀴는 모든 부위를 식용과 약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한국식품의약안전처의 공시된 소재로 본 연구는 엉겅퀴 꽃, 잎과 뿌리를 대상으로 열수 추출하여 비만을 개선할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엉겅퀴 꽃과 잎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는 물론 체지방 감소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소재임을 밝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alle, E.E., Rodriguez, C., Walker-Thurmond, K., Thun, M.J. Overweight, obesity, and mortality from cancer in a prospectively studied cohort of U.S. adult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8(17):1625-1638, 2003. 

  2. Kannel, W.B., Cupples, L.A., Ramaswami, R., Stokes, J., Kreger, B.E., Higgins, M. Regional obesity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the Framingham Study.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44(2):183-190, 1991. 

  3. Bray, G.A., Tartaglia, L.A. Medicinal strategies in the treatment of obesity. Nature 404(6778):672-677, 2000. 

  4. Wang, C., Wang, L., Yang, Z. Role of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in the type 2 diabetes and obesity. Yi Chuan 26(6):941-946, 2004. 

  5. González-Castejón, M., Rodriguez-Casado, A. Dietary phytochemicals and their potential effects on obesity: A review. Pharmacological Research 64(5):438-455, 2011. 

  6. Yun, J.W. Possible anti-obesity therapeutics from nature – A review. Phytochemistry 71(14-15):1625-1641, 2010. 

  7. Kim, M.A., Kang, K., Lee, H.J., Kim, M., Kim, C.Y., Nho, C.W. Apigenin isolated from Daphne genkwa Siebold et Zucc. inhibits 3T3-L1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through a modulation of mitotic clonal expansion. Life Sciences 101(1-2):64-72, 2014. 

  8. Escande, C., Nin, V., Price, N.L., Capellini, V., Gomes, A.P., Barbosa, M.T., O’Neil, L., White, T.A., Sinclair, D.A., Chini, E.N. Flavonoid apigenin is an inhibitor of the NAD+ase CD38: implications for cellular NAD+ metabolism, protein acetylation, and treatment of metabolic syndrome. Diabetes 62(4):1084-1093, 2013. 

  9. Lee, S.J. Korean folk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pp 145-146, 1966. 

  10. Chung, C.J. Thistle plant as a resources of many utilizing value. The Korea Plant Conservation Society, Korea, p 372, 1993. 

  11. Chung, M.S., Um, H.J., Kim, C.K., Kim, G.H. Development of functional tea product using Circium japonicu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22(2):261-265, 2007. 

  12. Liu, S., Luo, X., Li, D., Zhang, J., Qui, D., Liu, W., She, L., Yang, Z. Tumor inhibition and improved immunity in mice treated with flavone from Cirsium japonicum DC.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6(9):1387-1393, 2006. 

  13. Lee, H.K., Kim, J.S., Kim, N.Y., Kim, M.J., Park, S.U., Yu, C.Y. Antioxidant, antimutagenicity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ircium japonicum var. ussurience KITAMURA.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1(1):53-61, 2003. 

  14. Kim, S.J., Kim, G.H. Identification for flavones in different parts of Cirsium japonicum. Journal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8(4):330-335, 2003. 

  15. Lee, M.K., Moon, H.C., Lee, J.H., Kim, J.D., Yu, C.Y., Lee, H.Y. Screening of immune enhancing activities in medicinal herbs, Compositae.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0(1):51-57, 2002. 

  16. Lee, J.H., Choi, S.I., Lee, Y.S., Kim, G.H.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leaves of Cirsium japonicium.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17(1):38-45, 2008. 

  17. Park, J.C., Hur, J.M., Park, J.G., Kim, S.C., Park, J.R., Choi, S.H., Choi, J.W. Effects of methanol extract of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and its principle, hispidulin-7-O-neohesperidoside on hepatic alchohol-metabolizing enzymes and lipid peroxidation in ethanol-treated rats. Phytotherapy Research 18(1):19-24, 2004. 

  18. Blainski, A., Lopes, G.C., de Mello, J.C. Application and Analysis of the Folin Ciocalteu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Total Phenolic Content from Limonium Brasiliense L. Molecules 18(6):6852-6865, 2013. 

  19.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58. 

  20. Re, R., Pelli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26(9-10):1231-1237, 1999. 

  21. Oyaizu, M.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The Japanese Journal of Nutrition and Dietetics 44(6):307-315, 1986. 

  22. Ramírez-Zacarías, J.L., Castro-Muñozledo, F., Kuri-Harcuch, W. Quantitation of adipose conversion and triglycerides by staining intracytoplasmic lipids with oil red O. Histochemistry 97(6):493-497, 1992. 

  23. Friedewald, W.T., Levy, R.I., Fredrickson, D.S.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ical Chemistry 18(6):499-502, 1972. 

  24. Thurairajah, P.H., Syn, W.K., Neil, D.A., Stell, D., Haydon, G. Orlistat (Xenical)-induced subacute liver failure. Europ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17(12):1437–1438, 2005. 

  25. Tziomalos, K., Krassas, G.E., Tzotzas, T. The use of sibutramine in the management of obesity and related disorders: an update. Vascular Health and Risk Management 5(1):441–452, 2009. 

  26. Karamadoukis, L., Shivashankar, G.H., Ludeman, L., Williams, A.J. An unusual complication of treatment with orlistat. Clinical Nephrology 71(4):430–432, 2009. 

  27. Singh, P.P., Mahadi, F., Roy, A., Sharma, P. Reactive oxygen species, reactive nitrogen species and antioxidants in etiopathogenesis of diabetes mellitus type-2. Indian Journal of Clinical Biochemistry 24(4):324-342, 2009. 

  28. Han, J.Y., Ahn, S.Y., Kim, C.S., Yoo, S.K., Kim, S.K., Kim, H.C., Hong, J.T., Oh, K.W. Protection of apigenin against kainate-induced excitotoxicity by anti-oxidative effects. Biolog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35(9):1440-1446,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