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장기간 동안 돌산 갓 피클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Dolsan Leaf Mustard Pickle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5 no.8 = no.184, 2015년, pp.936 - 941  

손혜련 (전남대학교 바이오 전자 메디컬 공학 협동과정) ,  오선경 (전남대학교 바이오 전자 메디컬 공학 협동과정) ,  배상옥 (초당대학교 조리과학과) ,  최명락 (전남대학교 바이오 전자 메디컬 공학 협동과정)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돌산 갓을 이용하여 저염 피클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 저장기간 중 이화학적 및 관능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돌산 갓 피클을 −2℃에서 90일 동안 저장하였다. 염도는 1.63~1.85% 범위를 유지하였다. pH는 저장 0일째 약 4.5에서 저장 90일째 4.37로 감소하였다. 산도는 저장기간 중 60일째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이후 약 1.10%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색도의 L값은 잎에서 30일째까지 증가하였다가 이후 감소하였고, 줄기에서는 저장기간 동안 감소하였다. 저장기간 동안 a값은 증가하였고, 반면에, b값은 감소하여 갈변 현상이 진행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산균 수는 0일째 DMP잎에서 1.4×103 CFU/ml, DMP 줄기에서 5.6×103 CFU/ml로 나타났고 이후 점차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아삭거림이 30일째 감소하였고, 질긴 정도는 증가하였다. 신맛은 증가하였고, 짠맛은 감소하였다. 90일간 저장기간 동안에도 연부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그래서 최적의 돌산 갓 피클은 30일째 적합하다고 판단되며 돌산 갓은 저염 피클제품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수입 위주의 피클을 대체함과 동시에 돌간 갓을 이용한 식품의 다양화에 기여하고자 분석을 실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fundamental research was to analyze the physicochemical changes and sensory properties of Dolsan leaf mustard pickles (DMP) for the development of low-salt pickle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diversification of food. The DMPs were stored at −2℃ for 90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다양한 농산물을 소재로한 피클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었으나, 갓을 이용한 피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염의 돌산갓 피클을 개발하고, 저장기간 동안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1)Means±SD (n=10) within each column followed by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1)Means±SD (n=3) within each column followed by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ang, C. H. 1998. The future prospect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s. Kor. J. Dietary Culture 3, 341-345. 

  2. Cheigh, H. S. and Park, K. Y. 1994. Bi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nutritional aspects of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 products). Crit. Rev. Food Sci. Nutr. 34, 175-203. 

  3. Choi, M. R., Yoo, E. J., Song, S. H., Kang, D. S., Park, J. C. and Lim, H. S. 2001. Comparison of physiological activity in different parts of Dolsan leaf mustard. J. Kor. Soc. Food Sci. Nutr. 30, 721-725. 

  4. Choi, M. R., Yoo, E. J. and Lim, H. S. 2003, Effect of lactic bacterium on antioxidative and ACE inhibitory activity in Dolsan leaf mustard Kimchi. J. Life Sci. 13, 59-66. 

  5. Fleming, H. P., McFeeter, R. F., Daeschel, M. A., Humphries, E. G. and Thompson, R. L. 1988. Fermentation of cucumbers in anaerocic tanks. J. Food Sci. 53, 127-133. 

  6. Han, G. J., Jang, M. S. and Shin, D. S. 2007.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pickle during storage. Kor. J. Food Cookery Sci. 23, 294-301. 

  7. Jeong, D. Y, Kim, Y. S, Lee, S. K., Jung, S. T., Jeong, E. J., Kim, H. E. and Shin, D. H. 2006.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ickles manufactured in folk villages of Sunchang region. J. Fd. Hyg. Safety 21, 92-99. 

  8. Jung, H. A., Yoon, J. Y., Hwang, J. S. and Joo, N. M. 2004. Optimization on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cauliflower pickles. Kor. J. Food Culture 19, 193-199. 

  9. Jung, S. J., Kim, G. Y. and Kim, S. H. 2001. The changes of ascorbic acid and chlorophylls content in Gochu-jangachi during fermentation. J. Kor. Soc. Food Sci. 30, 814-818. 

  10. Kim, A. H., Han, M. R., Jung, K. H., Cho, J. C., Park, W. J., Han, C. W. and Jang, K. H. 2008. Physiological evaluation of Korea ginseng, deoduk, and doragi pickles. Kor. J. Food Nutr. 21, 443-447. 

  11. Kim, A. J., Han, M. R., Woo, N., Kang, S. J., Lee, G. S. and Kim, M. H. 200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ginseng pickles with chija and omija. Kor. J. Food Nutr. 21, 524-529. 

  12. Kim, D. C., Won, S. I. and In, M. J. 2014.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Kimchi added with chlorella. J. Appl. Biol. Chem. 57, 23-28. 

  13. Kim, J. O., Kim, M. N., Park, K. Y., Moon, S. H., Ha, Y. L. and Rhee, S. H. 1993. Antimutagenic effects of 4-decanol identified from mustard leaf. J. Kor. Agric. Chem. Soc. 36, 424-427. 

  14. Kim, M. J. and Kim, S. D. 1994. A fermentation control of kimch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4, 75-82. 

  15. Kim, O. S. and Joo, N. M. 2004. Optimization on organoleptic properties of mushroom (Agaridus bisporus) pickle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 J. Soc. Food Cookery Sci. 20, 158-163. 

  16. Kim, S. C., Kim, S. Y., Ha, H. C., Park, K. S. and Lee, J. S. 2001. The preparation of mushroom pickles and change in quality during storag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 400-408. 

  17. Lim, H. S. 2002 The study for contents of sinigrin in Dolsan leaf mustard Kimchi during fermentation periods. J. Life Sci. 12, 523-527. 

  18. Lim, H. S., Park, K. O., Nishizawa, N., Bae, S. O. and Choi, M. R., 2008 Cytotoxicity of extracts from Dolsan leaf mustard Kimchi trea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on lung and gastric cancer cells. Biotechnol. Bioprocess Eng. 13, 174-181. 

  19. Moon, M. J., Yoo, K. M., Kang, H. J., Hwang, I. K. and Moon, B. K. 2010. Antioxidative activity of yacon and cha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con pickle during storage. Kor. J. Food Cookery Sci. 26, 263-271. 

  20. Oh, S. H., Oh, Y. K., Park, H. H. and Kim, M. R. 2003.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urnip pickle prepared with different pickling spices during storage. Kor. J. Food Presv. 10, 347-353. 

  21. Park, B. H., Jeon, E. R., Kim, S. D. and Cho, H. S. 2009.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tus root pickle with beet extract during storage. J. Kor. Soc. Food Sci. Nutr. 38, 1124-1129. 

  22. Park, M. R. 200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ine-tree mushroom (Tricholoma masutake Sing.) pickle for the standard recipe. Kor. J. Culinary Res. 14, 55-66. 

  23. Park, M. W., Park, Y. K. and Jang, M. S. 1994. Changes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pickled cucumber with different preparation methods. J. Kor. Soc. Food Nutr. 23, 634-640. 

  24. Park, Y. K., Park, M. W., Choi, I. W. and Choi, H. D. 2003. Effects of various salt concentration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ined cucumbers for pickle process. J. Kor. Soc. Food Sci. Nutr. 32, 526-530. 

  25. Shim, K. H. and Choi, O. J.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salted yacon pickles with leaf-mustard and pepper. Kor. J. Food Sci. Technol. 44, 545-552. 

  26. Son, E. J., Oh, S. H., Heo, O. S. and Kim, M. R. 2003.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urnip pickle added with chitosan during storage. J. Kor. Soc. Food Sci. Nutr. 32, 1302-1309. 

  27. Song, M. R., Kim, M. J., Kwon, O. Y., Kim, H. R. and Kim, M. R.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garlic pickle prepared with persimmon vinegar and maesil (Japanese apricot) jui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981-986. 

  28. Woo, N. R. Y., Chung, H. K. and Kang, M. H. 2005.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pepper pickle made by different preheating temperature treatments. J. Kor. Soc. Food Nutr. 34. 1219-1225. 

  29. Yoo, E. J., Lim, H. S. Park, K. O. and Choi, M. R. 2005 Cytotoxic, antioxidative, and ACE inhibiting activities of Dolsan leaf mustard juice (DLMJ) trea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Biotechnol. Bioprocess Eng. 10, 60-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