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 여성노인의 근린시설 이용 및 보행환경 인식 연구 -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

Use of Neighborhood Facilities and Perception of Walking Environment in Older Rural Women - Focused on the Chungnam Province -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1 no.3, 2015년, pp.59 - 66  

이형숙 (가천대학교 조경학과) ,  박은영 (중부대학교 환경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walking environment and use of neighborhood facilities of rural female elderly, who are the most susceptible to ambulatory problems. The study showed that parks, senior centers and hospitals were among the most frequently used neighb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농촌지역에서는 여성노인의 비율이 월등히 높아 (농촌진흥청, 2005) 노인문제의 상당부분이 여성노인의 문제라 할 수 있으므로 (손신영, 2009) 보행 문제에 가장 취약 계층인 농촌 여성노인이 어떻게 근린시설을 이용하고 보행환경을 인식하는지에 집중적으로 관심 가져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근린생활 시설 이용과 보행환경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근린생활의 이용 현황, 인지된 근접성, 근접 희망시설을 파악하고, 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근린생활권내 보행시간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농촌 여성노인의 근린생활시설 이용과 보행환경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근린생활의 이용현황, 인지된 근접성, 근접 희망시설을 파악하고, 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근린생활권내 보행시간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공원, 노인회관, 병원은 농촌 여성노인이 많이 이용하는 근린시설로 조사되었으며, 대중교통 정류장과 노인회관이 근접한 근린시설로 인지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근린생활 시설 이용과 보행환경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근린생활의 이용 현황, 인지된 근접성, 근접 희망시설을 파악하고, 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근린생활권내 보행시간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농촌 여성노인에게 근린생활 시설의 근접성을 높이고 안전하고 편리한 보행환경을 조성하여 사회와의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고령사회를 대비한 공간 복지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린생활권이란? 근린생활권 (Neighborhood)은 1차 생활권 또는 근린주구로도 불리며, 동질적인 공동체로서의 개념이 강조되는 사회단위로서, 이 안에서 지역의식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고, 공동서비스나 사회활동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각종 시설을 주변에 확보, 활용할 수 있는 지역적, 공간적 범위로 정의 내릴 수 있다 (오덕성와 문홍길, 2000). 대부분의 이동을 보행에 의존하는 노인들에게, 안정적이며 편리한 각종 서비스 시설들이 보행거리 내에 구분되어있는 근린생활권은 노인들의 생활수준을 향상시키고 고립상태에서 탈피하게 하며 일상적인 신체활동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형숙, 2009).
2배 이상 증가된 노령화 지수가 끼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면서 10년 전에 비해 우리 사회의 노령화 지수1)는 2배 이상 증가되었다 (보건복지부, 2014). 그로 인해 노년층의 삶의 질이 국가적 차원에서 중요한 복지정책 중 하나가 되었으며, 노인의 편안하고 독립적인 생활을 위한 보행성 증진이 지역정책의 초점이 되고 있다 (이미영, 2014). 노인의 보행관련 특성을 살펴보면 신체적 제약이 많아 지리적으로 활동영역이 축소되고 이동의 많은 부분을 걷기에 의존하면서 도보권 내의 국한된 생활을 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정남, 2008).
이동을 보행에 의존하는 노인들에게 근린생활권의 역할은? 근린생활권 (Neighborhood)은 1차 생활권 또는 근린주구로도 불리며, 동질적인 공동체로서의 개념이 강조되는 사회단위로서, 이 안에서 지역의식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고, 공동서비스나 사회활동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각종 시설을 주변에 확보, 활용할 수 있는 지역적, 공간적 범위로 정의 내릴 수 있다 (오덕성와 문홍길, 2000). 대부분의 이동을 보행에 의존하는 노인들에게, 안정적이며 편리한 각종 서비스 시설들이 보행거리 내에 구분되어있는 근린생활권은 노인들의 생활수준을 향상시키고 고립상태에서 탈피하게 하며 일상적인 신체활동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형숙, 2009). 근린지역의 주거밀도(Ewing and Cervero, 2010; Grant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lfonzo M. A., 2005, To Walk or Not to Walk? The hierarchy of Walking Needs. Environment and Behavior 37(6): 808-836. 

  2.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9-215. 

  3. Cho M. H., 2013, Health Status of the Rural Elderly and Policy Issue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4. Choi J. A., 2005, Construction of Leisure Physical Activity Model in Middle-aged Women.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5. Choi Y. H., and C. J., Lee, 2013, The Relationship of Health-related Variables with Regular Walking Exercise in the Elderly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surve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1): 5-15. 

  6. Cutts B. B., K. J., Darby, C. G., Boone and A., Brewis, 2009, City Structure, Obesity and Environmental Justice: an Integrated Analysis of Physical and Social Barriers to Walkable Streets and Park Access. Social Science & Medicine 69(9): 1314-1322. 

  7. Day R., 2008, Local Environments and Older People's Health: Dimensions from a Comparative Qualitative Study in Scotland. Health & Place 14(2): 299-312. 

  8. Ewing R., and R., Cervero, 2010, Travel and the Built Environment.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6: 265-294. 

  9. Grant T., N., Edwards, H., Sveistrup, C., Andrew and M., Egan, 2010, Inequitable Walking Conditions among Older People: Examining the Interrelationship of Neighbourhood Socio-economic Status and Urban form Using a Comparative Case Study. BMC Public Health 10: 677-693. 

  10. Jekal Y. S., 2010, Socio-demographic and Environmental Factors Associate with Walking for Exercise in Young Adults. Journal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 17(2): 235-245. 

  11. Jeong G. S., H. C., Roh and J. H., Hwang, 2010, Analysis of Priority of Direct and Indirect Factor for the Pedestrian Environment Design. Urban design 11(1): 5-18. 

  12. Kim M. H., K. H., Jeong and S. D., Jeong, 2000,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Indicators for Older Person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0(1): 241-262. 

  13. King w., J., Brach, S., Belle, R., Killingsworth, M., Fenton and A., Kriska,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Conveniece of Destinations and Walking Levels in Older Women. Am J Health promot 18: 74-82. 

  14. Korea council of sports for all, 2009, Sports 7330. http://www.sportal.or.kr 

  15. Korpela, K. M., M., Yle'n, L., Tyrvainen and H., Silvennoinen, 2010, Favorite Green, Waterside and Urban Environments, Restorative Experiences and Perceived Health in Finland.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5: 200-209. 

  16. Lee D. T., J. E., Son and J. H., Kim, 2008, Analyses of Free Walking Pattern at Inner City Park Trails According to Surroundings, Sex and Age and Walking Companions. Journal of Korean Living Environment System 15(4): 459-464. 

  17. Lee H. S., 2009, Analysis of the Influences of Neighborhood Attributes on Physical Activity among Older Adults Using Social Ecological Model and Development of Design Guidelines toward Active Aging. Gachon University. 

  18. Lee H. S., 2011, Perception of Proximity to and Utilization of Neighborhood Services and Facilities for Senior Citizens - Focused on the Seongnam Area -.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2(4): 63-74. 

  19. Lee H. S., J. S., Ahn and S. H., Chun, 2011, Analysis of Environmental Correlates with Walking among Older Urban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2): 65-72. 

  20. Lee H. S., and E. Y., Park, 2014, Comparing the Environment for Elderly Pedestrians among Different-sized Cities of Gyeonggi Province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Sciences 18(1): 76-89. 

  21. Lee J. N., 2008, Built Urban Environment and Human Behaviors. Seoul: Kimudang. 

  22. Lee M. Y., 2014, Walkability Evaluation Model for Local walking Area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http://www.krihs.re.kr 

  23. Lee S. Y., and J. S., Lee, 2014,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Child and Old Adult Pedestrian Accident. Urban design 15(6): 5-15. 

  24. Lim J. G., 2013,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Rural and Urban Area.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38: 217-240. 

  2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al Yearbook 2014 p.7. 

  26. National Assembly Safety Forum, 2013, 2013 Traffic Safety Policy Workshop of New Government 

  27. Oh D. S. and H. K. Moon, 2009, Urban Design, Seoul: Kimoondang. 

  28. Park J. S., 2002,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Health Promotion Life Styl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Elderly in Urban and Rural Area. Korean Journal of Rural Medicine 27(2): 137-148. 

  2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5, Comparative Analysis of the Quality of Rural and Urban Elderly Populations' Life. http://www.rda.go.kr 

  30. Sallis J. F., 2009, Measuring Physical Activity Environments: a Brief History.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6(4): S86-S92. 

  31. Sallis J. F., M. F., Floyd, D. A., Rodriguez and B. E., Saelens, 2012, Role of Built Environments in Physical Activity, Obe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Circulation 125(5): 729-737. 

  32. Statistics Korea, 2010, Census 2010. www.census.go.kr 

  33. Statistics Korea, 2012, Population, household. http://kosis.kr 

  34. Sohn S. Y., 2009, Factors Related to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15(2): 99-107. 

  35. The Road Traffic Authority, 2012, Traffic Accident Statistics. http://koroad.or.kr 

  36. Weiss, C. C., M., Purciel, M., Bader, J. W., Quinn, G., Lovasi, K. M., Neckerman, and A. G., Rundle, 2011, Reconsidering Access: Park Facilities and Neighborhood Disamenities in New York City. Journal of Urban Health 88(2): 297-310. 

  37. Weiss R., M., Julianan and M., Fahs, 2001, Promoting Active Urban Aging: a Measurement Approach to Neighborhood Walkability for Older Adults. Cities and the Environment 3(1): 1-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