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황장애의 한의학적 치료 효과 및 예측 인자 연구
Predictors of Clinical Efficacy of Oriental Medical Treatment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원문보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26 no.3, 2015년, pp.293 - 306  

유종호 (한음 한방신경정신과 한의원) ,  허은정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교실) ,  김남열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교실) ,  이유진 (한음 한방신경정신과 한의원) ,  김근우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edictors of clinical efficacy of oriental medical treatment for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Methods: We analyzed medical records of 41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panic disorder through DSM-IV or ICD-10 by 2 oriental medical neuro-psych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공황장애 환자들을 진료할 때 다양한 치료방법을 합리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한의학 특성을 반영한 체계화된 진료지침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황장애의 한의학적 치료의 효과와 예측인자에 대해 조사하여 공황장애에 대한 한의학 임상 진료지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공황장애 증상으로 ○○한방신경정신과 한의원에 내원한 환자군의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효과와 예측 인자를 살피고, 이를 위해 필요한 인구학적 사항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공황장애는 예측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공황발작이 적어도 한 번 이상 일어나고, 이후 또 다시 공황발작이 일어나지는 않을까라는 지속적인 염려와 걱정이 나타나고, 발작을 피하기 위한 행동의 변화 등이 존재할 때 진단한다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황장애란 무엇인가? 공황장애는 특별한 이유 없이 비예측적으로 나타나는 공황발작(panic disorder)과 함께 예기불안(anticipatory anxiety), 회피 행동(avoidance behaviour) 등을 함께 보이는 질병이다. DSM-IV1)에서는 예측하기 힘든 상황에서 공황발작이 적어도 한 번 이상 발생하고, 이후 공황발작이 다시 일어날 것 같은 걱정과 염려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며, 공황발작을 회피하기 위한 행동 상의 변화 등이 존재하면 공황장애로 진단한다.
2006년 미국의 조사에 따른 공황장애의 평생 유병률은? 공황장애는 드물지 않은 질환으로 2006년 미국의 조사에서 평생유병률이 4.7%로 보고되었고6),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유럽의 6개국에서 실시된 유럽정신장애역학조사에서는 평생유병률이 2.1%로 보고되었다.
공황장애의 장기 치료에 효과적인 것은? 공황장애는 대체적으로 흥망성쇠의 과정(waxing and waning course)을 겪기 때문에, 관해(寬解)된 상태라 할지라도 재발을 막기 위하여 적어도 수 개월간의 약물 유지가 중요하다. 26주에서 60주까지의 장기 치료 효과에 대하여 조사된 바에 의하면, SSRI, SNRI인 venlafaxine, TCA, benzodiazepine계 약물 및 moclobemide가 장기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27). 그러나 어느 정도 약물에 의한 유지치료 기간이 필요한지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393-444. 

  2. Van Balkom AJ, van Boeijen CA, Boeke AJ, van Oppen P, Kempe PT, van Dyck R. Comorbid depression, but not comorbid anxiety disorders, predicts poor outcome in anxiety disorders. Depress Anxiety. 2008;25:408-15. 

  3. Zhang ZJ, Jung Kyung Jeon Seo. Seoul: Daesungmunhwasa. 1984:592-3. 

  4. Korea Bio Medical Science Institute. Dictionary of Oriental Medicine. Seoul: Seongbosa. 2000:2022. 

  5. Lou SQ, Ui Hak Gang Mok. Tainan: Buk Il Publishing Co. 1977:1-2. 

  6. Kessler RC, et al. The epidemiology of panic attacks, panic disorder and agoraphobia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Arch Gen Psychiatry 2006; 63:415-24. 

  7.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he epidemiological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011: 18-20, 252-69. 

  8.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Benefits by Classification of 22 Disease Categories (2004-2011).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2. 

  9. Park HS, Lee CI, Kin YC, Kim JW. A survey on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panic disorder.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97;16(2):1-13. 

  10. Lee JE, Lee HS. A comparison of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xiety disorder patients with and without panic disorder - focusing on MMPI and Rorschach response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9;28(2):437-58. 

  11. Won HT, Park YS, Kwon SM.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s of Panic Scale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95;14:95-110. 

  12. Won HT, Park YS, Kwon SM.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s in Thought Contents. Psychology. 1996;5(1)1-12. 

  13. Kim JH, Gug YJ, Choi SY, Kim TH, Lyu YS, Kang HW. Th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anic disorder through clinical and personality scales in MMPI of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J of Orinetal Neuropsychiatry. 2005;16(1):129-42. 

  1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ractice guideline for th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Am J Psychiatry. 1998;155:1-34. 

  15. Baldwin DS, et al.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the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J Psychopharmacol. 2005;19:567-96. 

  16. Canadian Psychiatric Associati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Management of anxiety disorders. Can J Psychiatry. 2006;51:9-91. 

  17. Hahn DW, Lee CH, Chon KK. Korean Adaptation of Spielberger's STAI (K-STAI).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996;1:1-14. 

  18. Kim MS, Lee IS, Lee CS. The validation study I of Korean BDI-II: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7;26(4):997-1014. 

  19. Chon KK, Hahn DW, Lee CH. Anger and Blood Pressure: Korean Adaptat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997; 2(1):60-78. 

  20. Yook SP, KIM JS. Comparative study of patient and non-patient: A clinical study on the Korean version of Beck Anxiety Inventory.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97;16(1):185-97. 

  21. Eom YM. Effects of Hypnosis-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on Panic Attack and Agoraphobia, Anxiety and Depression With Panic Disorder Clients.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9. 

  22. Lee TS. The Effects of Mindfulness Meditation on Reduce the Musculoskeletal Pain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Duksung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8. 

  23. Kim JH.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Life Satisfaction Expectancy and Stress/Well-Being: An Application of Motivational States Theory.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7;12:325-45. 

  24. Jung DG, et al. Neuropsychiatry of Korean medicine. Seoul: Jipmundang. 2012:242, 272, 644-54, 676-724. 

  25. Korean Neuro Psychiatric Association. Neuropsychiatry. Seoul; Hanauihaksa. 1998:415-9. 

  26. Katsching H, et al. The long-term course of panic disorder and its predictor. J Clin Psychopharmacol. 1998; 18:6-11. 

  27. Suh HS. Evidence-based pharmacotherapy for panic disorder. J Kor Med Assoc. 2010;53(10):913-21. 

  28. Pollack MH, et al. WCA recommendations for the longterm treatment of panic disorder. CNS Spectrums 2003; 8:17-30. 

  29. Executive Committee for Korean Medication Algorithm for Panic Disorder. Korean medication algorithm project for panic disorder 2008. Seoul:ML Communication. 2008. 

  30. Marchesi C, et al. Predictors of symptom resolution in panic disorder after one year of pharmacological treatment: a naturalistic study. Pharmacopsychiatry. 2006;39: 60-5. 

  31. Min SG. Modern Psychiatry. Seoul: Iljogak. 2004:301-8. 

  32. Yoon DR, Lee JS, Noh HI, Yi SR, Ryu JH. Single Hospitalbased Clinical Analysis of 1,119 Patients visited Oriental Medical Hospital Emergency Room. Korean J of Oriental Intenal Medicine. 2012;33(2)188-96. 

  33. Suh HU, Hwang EY, Jung SY, Kim JW. A case of a panic disorder (with agoraphobia) patient improved by herbal extracts - Gyejigayouggolmoryo-tang and Jakyakgamcho-tang. J of Ori Neuropsychiatry. 2010;21(4):207-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