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D TV 근거리 시청에 따른 사위도와 조절성폭주비 평가
The Evaluations of Phoria and AC/A Ratio by Watching 3D TV at Near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20 no.3, 2015년, pp.319 - 324  

손정식 (경운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동수 (경운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정호 (광운대학교 플라즈마 바이오 디스플레이학과) ,  김재도 (경운대학교 안경광학과) ,  앨러릭 하마커 (광운대학교 광운한림원) ,  유동식 (경운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3D TV의 근거리 시청에 따른 사위와 조절성폭주비의 변화와 회복 시점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3D TV 시청이 가능한 20~40대의 50명(남 30명, 여 20명)을 대상으로 하웰(Howell) 사위 카드를 사용하여 원거리(3 m)와 근거리(40 cm)에서 사위도를 측정하였다. 시청 거리는 1 m이며 시청 전, 시청 시간 30분 동안 10분 간격으로, 시청 이후 30분 동안 5분 간격으로 사위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3D 영상 시청의 원거리 사위도 변화는 3D영상 시청 전 $-0.80{\pm}1.12{\Delta}$과 비교하여 10분, 30분 후 각각 $-0.98{\pm}1.37{\Delta}$(p=0.063), $-1.00{\pm}1.28{\Delta}$(p=0.024)로 외사위 경향으로 증가하였으며, 영상 시청 종료 후에는 외사위도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20분 이후에는 $-0.78{\pm}1.11{\Delta}$로 시청 전 사위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p=0.322). 근거리 사위도 역시 영상 시청 전 $-4.36{\pm}3.66{\Delta}$과 비교하여 10분, 30분 후 각각 $-5.71{\pm}4.45{\Delta}$(p=0.000)과 $-6.58{\pm}4.63{\Delta}$(p=0.000)으로 외사위 방향으로 증가하였으며, 영상 시청 종료 후에는 외사위도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25분 이후에는 $-4.34{\pm}3.67{\Delta}$로 시청 전 사위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p=0.322). 조절성폭주비는 영상 시청 전 $4.92{\pm}1.17{\Delta}/D$과 비교하여 영상시청 30분 후 $4.11{\pm}1.50{\Delta}/D$로 낮아졌으며(p=0.000), 영상 시청 종료 후에는 증가하기 시작하여 25분 후 $4.93{\pm}1.18{\Delta}/D$으로 시청 전으로 회복되었다(p=0.598). 결론: 근거리 3D TV 시청 시에 원거리보다 근거리의 외사위도가 더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해 조절성폭주비는 낮아져 폭주부족의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시청 후 25분 후에는 증가된 원거리와 근거리의 외사위도 모두 시청 전의 상태로 회복되었다. 따라서 3D TV 시청에 관한 합리적인 시청 권고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changes of phoria and calculated AC/A ratio, and their recovery time points by watching 3D television (3D TV). Methods: 50 subjects (male 30, female 20) of 20s to 40s ages who can watch 3D, were measured phoria using a Howell phoria card at 3 m for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정용 3D TV, PC 모니터 및 휴대용 영상기기 등과 같이 근거리 시청이 가능한 3D 영상기기를 통해 3D 영상시청 중과 시청이 종료된 후에 나타나는 시각적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특히 3D 영상 시청 시 고정된 조절자극에서 입체감을 갖도록 지속적인 안구운동에 따른 안기능평가의 주요 검사항목으로서 사위도와 조절성폭주비(AC/A비)[14]를 중심으로 시각적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영상 시청 전 하웰법을 사용하여 원·근거리 사위량을 측정한 후 TV를 시청하게 한 후에 영상시청 중 10분 후, 20분 후, 30분 후로 3번 나누어 사위량 변화를 검사하였고, 영상 시청 종료 후 30분 동안 5분 간격으로 6번 검사하여 시청 전 사위도로 복귀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하웰법을 사용한 이유는 사위도 검사가 단시간에 가능하므로 시청시간 동안 검사를 통한 시청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사위량의 변화와 회복의 정도를 즉각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3D 영상 시청 전·후의 시기능 변화에서 사위도 변화량을 측정하여 영상 시청 간에 사위도 변화량과 영상 시청 종료 후 사위도 회복량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정용 3D TV, PC 모니터 및 휴대용 영상기기 등과 같이 근거리 시청이 가능한 3D 영상기기를 통해 3D 영상시청 중과 시청이 종료된 후에 나타나는 시각적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특히 3D 영상 시청 시 고정된 조절자극에서 입체감을 갖도록 지속적인 안구운동에 따른 안기능평가의 주요 검사항목으로서 사위도와 조절성폭주비(AC/A비)[14]를 중심으로 시각적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위량 변화 검사에 사용한 기법은? 사위량 변화도 검사는 하웰(Howell)법[14]을 사용하여 검사하였다. 원거리 완전 교정 상태에서 우위안에 6 ∆ 기저하방(base down)을 장입하여 원거리(3 m)와 근거리(40 cm)에서 시행하여 원거리 수평사위, 근거리 수평사위 순서로 검사하였다.
3D 입체 영상은 어떤 방식인가? 3D 입체 영상은 기존의 2D 영상과는 달리 인간의 동공간거리로부터 유발되는 양안시차로 인해 좌우안에 각각 다른 영상정보를 입력 받아 인지하는 디스플레이 방식이다.[1-3] 3D 영상을 인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각 피로는 조절과 폭주의 불균형이 대표적 피로의 원인으로 나타나고 있으며,[4] 이에 따라 검안학, 심리학, 인간공학, 미디어 등의 분야에서 3D 휴먼팩터(human factor)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영상 시청 전·후의 원거리와 근거리 사위도 변화량을 AC/A비를 사용하여 나타낸 결과로 무엇을 확인할 수 있었나? 본 연구의 결과에서 사위도와 AC/A비는 3D 영상 시청 시의 변화와 시청 후의 회복을 뚜렷하게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3D 영상은 일정한 거리의 영상을 주시하면서 조절을 하고 있지만 우안과 좌안에 편차에 따른 폭주량의 변화를 요구하기 때문에 융합력의 범위 내에서 폭주와 조절의 불일치가 발생되어 안정피로가 발생하게 되고,[23] 이로 인해 근거리와 원거리 사위도의 변화, AC/A비와 CA/C비와 같은 조절과 폭주의 균형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24]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속적인 근거리 시청으로 안정피로(시각적 스트레스)에 따른 사위도 변화[25,26]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안정피로 해소에는 시청에 따른 일정시간 휴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Hoffman DM, Girshick AR, Akeley K, Banks MS. Vergence-accommodation conflicts hinder visual performance and cause visual fatigue. J Vis. 2008;8(3):33.1-30. 

  2. Lee SH, Kwon SC, Kim JH. Digital stereoscopy, 1st Ed. Seoul: Jinsaem, 2014;37-60. 

  3. Howarth PA. Potential hazards of viewing 3-D stereoscopic television, cinema and computer games: a review. Ophthalmic Physiol Opt. 2011;31(2):111-122. 

  4. Kang SH, Hong HK. In watching 3D stereoscopic display using the binocular disparity, the effect of pupillary distance of adults and children on the perception of 3D image.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1;16(3):299-305. 

  5. Kim JH, Son JS, Park SJ, Kwon SC. Clinical consideration of visual fatigue on 3D images. J KICS. 2013;38C(11): 990-999. 

  6. Kang JJ, Kang MH. A study for application of human factor in stereoscopic photography by 2D-3D converting technology. AURA. 2012;26:111-122. 

  7. Park JJ, Li HC, Kim SW. Screen disparity and size perception function of various 3D stimuli.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s. 2013;18(1):66-76. 

  8. Herman S. Principles of binocular 3D displays with application to television. J SMPTE. 1971;80(7):539-544. 

  9. Kim JH, Choi YS, Kwon SC, Son KC, Sohn CB, Lee SH. The Influence on changes of visual function by watching 3D images - focused on blink rate and accommodative response. INFORMATION. 2014;17(12B):6589-6597. 

  10. Lim SW. A study on acceptance of broadcasting platform in the era of media convergence: Focused on the niche comparison of selection factors of users. PhD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006;1-261. 

  11. Kham KT, Lee JH. The effect of inter-pupillary distance on stereopsis.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2003;14(3):37-49. 

  12. Kim DS, Lee WJ, Kim JD, Yu DS, Jeong ET, Son JS. Change of Phoria and Subjective Symptoms after Watching 2D and 3D Image. J Korea Ophthalmic Opt Soc. 2012;17(2):185-194. 

  13. Maeda F, Tabuchi A, Kani K, Kawamoto K, Yoneda T, Yamashita T. Influence of three-dimensional image viewing on visual function. Jpn J Ophthalmol. 2011;55(3):175-182. 

  14. Kim JD. Clinical refraction and visual dysfuntion prescription, 3rd Ed. Seoul: Shinkwang, 2010;240-260. 

  15. Kim DS. The effects of 3D images on the visual function. Master Thesis. Kyungwoon University, Gumi. 2011;1-84. 

  16. DTV and video equipment portal TV4u. The resolution of the TV and the viewing distance, 2006. http://www.tv4u.co.kr/guide/content.asp?idx953&sec&url_homehttp://mania.dreamwiz.com/(24 February 2006). 

  17. Freeman J, Avons SE. Focus group exploration of presence through advanced broadcast services. Proceeding of the SPIE. 2000;3959:530-539. 

  18. IJsselsteijn W, de Ridder H, Freeman J, Avons SE, Bouwhuis D. Effects of stereoscopic presentation, image motion, and screen size on subjective and objective corroborative measures of presence. Presence: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2001;10(3):298-311. 

  19. Sreenivasan V, Irving EL, Bobier WR. Effect of heterophoria type and myopia on accommodative and vergence responses during sustained near activity in children. Vision Res. 2012;57:9-17. 

  20. Karpicka E, Howarth PA. Heterophoria adaptation during the viewing of 3D stereoscopic stimuli. Ophthalmic Physiol Opt. 2013;33(5):604-610. 

  21. Lee SH. Understanding 3D images, 1st Ed. Seoul: Jinsaem, 2010;16-56. 

  22. Ban JE. Effects of interpupillary distance and AC/A ratio on binocular fusion and depth perception.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02;1-51. 

  23. Kim DH, Choi SH, Sohn KH. Visual fatigue prediction for stereoscopic video considering individual fusion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s. 2011;16(2):331-338. 

  24. Kooi F, Toet A. Visual comfort of binocular and 3d displays. Displays. 2004;25:99-108. 

  25. Yekta AA, Pickwell LD, Jenkins TC. Binocular vision without visual stress. Optom Vis Sci. 1989;66:815-817. 

  26. Tsubota K, Nakamori K. Dry eyes and video display terminals. N Engl J Med. 1993;328:5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