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나무림내 인위적 간섭에 따른 딱정벌레류 곤충 군집의 초기 변화에 관한 연구
Initial Change of Coleopteran Insect Community Affected by Anthropogenic Disturbances within Pine tree Forest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9 no.4, 2015년, pp.539 - 551  

노승진 (한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과) ,  손재덕 (한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과) ,  전준형 (한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과) ,  배관호 (경북대학교 생태환경시스템학부) ,  김현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박상욱 (산림곤충다양성연구소) ,  변봉규 (한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산림 내에서 수종갱신 및 천연갱신 등의 산림시업을 실시한 이후 딱정벌레류 곤충분포상의 변화 양상을 군집수준으로 조사 분석하여 종다양성이 증대되는 시업방법의 구명을 통해 산림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효과적인 관리기법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2년, 강원도 삼척군 하장면 일대의 소나무림 갱신임지 내에서 5개의 임업시업 방법별로 처리한 후 동일지점에서 2013년 7월부터 10월까지 딱정벌레류 곤충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목적상 갱신임지 유형별로 딱정벌레류를 정량조사하기 위해 45일 간격으로 린드그렌 퍼넬트랩을 이용하여 채집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인 딱정벌레류의 분류군별 다양도 및 풍부도를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딱정벌레류는 총 40과 156종 1,112개체가 조사되었다. 조사 초기 단계에서 각 처리방법별 뚜렷한 밀도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전 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다양도 및 풍부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이 중 대상개벌을 실시한 구간에서 비교적 높은 밀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ing pattern of forest insect communities in 2013 after harvesting of forest in 2012, and provide a basic data for the method of efficient management for preservation of forest biodiversity. Five types of cutting method in pine tree forest were sel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소나무림내의 솎아베기 유형에 따른 딱정벌레류 군집의 변화를 조사하여 천연갱신이 곤충군집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곤충보존에 유리한 시업방법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연갱신이란 무엇인가?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갱신 후 산림구조의 복구를 가속화하기 위한 천연 갱신이 주목 받고 있는 상황이다. 천연갱신은 산림의존 종들의 서식지를 남겨둠으로써 기존의 벌채방법으로는 보존할 수 없었던 생물종을 보호하여 생물다양성을 유지하고 신속한 산림의 복구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Thompson, 2007). 우리나라에서는 솎아베기 방법이 후계림 조성에 유리한지에 대한 자료는 정립되어 있는 반면 솎아베기의 강도가 임내 생물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그 중요성에 비해 비교적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Bae, 2012).
기존의 산림갱신작업에서 나오는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은? , 2000).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갱신 후 산림구조의 복구를 가속화하기 위한 천연 갱신이 주목 받고 있는 상황이다. 천연갱신은 산림의존 종들의 서식지를 남겨둠으로써 기존의 벌채방법으로는 보존할 수 없었던 생물종을 보호하여 생물다양성을 유지하고 신속한 산림의 복구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Thompson, 2007).
국내의 솎아베기 방법에 대한 연구 현황은? 천연갱신은 산림의존 종들의 서식지를 남겨둠으로써 기존의 벌채방법으로는 보존할 수 없었던 생물종을 보호하여 생물다양성을 유지하고 신속한 산림의 복구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Thompson, 2007). 우리나라에서는 솎아베기 방법이 후계림 조성에 유리한지에 대한 자료는 정립되어 있는 반면 솎아베기의 강도가 임내 생물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그 중요성에 비해 비교적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Bae, 2012). 북미나 유럽의 핀란드 등 임업선진국의 경우, 임업시업 이후 생물상 변화에 대한 연구 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Halaj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e, K.H.(2012) Study on natural regeneration techniques and harvest operations of major economic speci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Rep. Seoul, Korea, 42pp. (in Korean) 

  2. Cho, Y.C., J.S. Kim, C.S. Lee, H.J. Cho and K.H. Bae(2009) Initial Responses of Quercus serrata Seedlings and Forest Understory to Experimental Gap Treatments. J. Ecol. Field. Biol. 32(2): 87-96. 

  3. Halaj, J., C.B. Halpern and H.B. Yi(2008) Responses of litter- dwelling spiders and carabid beetles to varying levels and patterns of green-tree retention. Forest. Ecol. Manag. 225(3): 887-900. 

  4. Halaj, J., C.B. Halpern and H.B. Yi(2009) Effects green-tree retention on abundance and guild composition of corticolous arthropods. Forest. Ecol. Manag. 258(5): 850-859. 

  5. Halpern, C.B., D.M. Mckenzie, S.A. Evans and D.A. Maguire (2005) Initial responses of forest understories to varying levels and patterns of green-tree retention. Ecol. Soc. America. 15(1): 175-195. 

  6. Heliola, J., M. Koivula, J. Niemela(2001) Distribution of carabid beetles (Coleoptera, Carabidae) across a boreal forest-clearcut ecotone. Conserv. Biol. 15(2): 370-377. 

  7. Hoekstra, J.M., R.T. Bell, A.E. Launer and D.D. Murphy(1995) Soil arthropod abundance in coast redwood forest: effect of selective timber harvest. Environ. Entomol. 24(2): 246-252. 

  8. Huhta, V., E. Karppinen, M. Nurminen and A. Val pas(1967) Effect of silvicultural practices upon arthropod, annelid and nematode populations in coniferous forest soil. Ann. Zool. Fenn. 4: 87-143. 

  9. Jeon, J.H., S.J. Roh, S.B. Shin, J.D. Son, S.W. Park and B.K. Byun(2014) Insect fauna of the scheduled regeneration forests in Samcheok, Gangwon-do, Korea in summer. J. Asia-Pa. Biodivers. 7(1): 72-75. 

  10. Koivula, M.(2002) Alternative harvesting methods and boreal carabid beetles (Coleoptera, Carabidae). Forest. Ecol. Manag. 167(1): 103-121. 

  11. Koivula, M., J. Kukkonen and J. Niemela(2002) Boreal carabid- beetle (Coleoptera, Carabidae) assemblages along the clear-cut originated succession gradient. Biodivers. Conserv. 11(7): 1269-1288. 

  12. Latty, E.F., S.M. Werner, D.J. Mladenoff, K.F. Raffa and T.A. Sickley(2006) Response of ground beetle (Carabidae) assemblages to logging history in northern hardwood-hemlock forests. Forest. Ecol. Manag. 222(1): 335-347. 

  13. Mclver, J.D., G.L. Parsons and A.R. Moldenlce(1992) Litter spider succession after clearcutting in a western coniferous forest. Can. J. Forest. Res. 22(7): 984-992. 

  14. Ming, Z., J.S. Kim, Y.C. Cho, S.W. Bae, C.W. Yun, B.K. Byun and K.H. Bae(2013) Initial Responses of Understory Vegetation to 15% Aggregated Retention Harvest in Mature Oak (Quercus mongolica) Forest in Gyungsangbukdo. J. Kor. Forest. Soc. 102(2): 239-2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Moore, J., R. Ouimet, C. Camire and D. Houle(2002) Effects of two silvicultural practices on soil fauna abundance in a northern hardwood forest. Quebec. Canada. Can. J. Soil. Sci. 82(1): 105-113. 

  16. Niemela, J., D. Langer and J.R. Spence(1993) Effects of clear-cur harvesting on boreal ground beetle assemblages in western Canada. Conserv. Biol. 7(3), 551-561. 

  17. Paek, M.K., J.M. Hwang, K.S. Jung, T.W. Kim, M.C. Kim, Y.J. Lee, Y.B. Cho, S.W. Park, H.S. Lee, D.S. Ku, J.C. Jeong, K.G. Kim, D.S. Choi, E.H. Shin, J.H. Hwang, J.S. Lee, S.S. Kim and Y.S. Bae(2010) Checklist of Korean Insects. Nature and Ecology, Seoul, pp 600. 

  18. Rassi, P., I. Mannerkoski, S.L. Peltonen and A. Alanen(2000) 2nd red data book of Finland. Ministry of Environment, Helsinki. 

  19. Rosenvald, R. and A. Lohmus(2008) For what. when, and where is green-tree retention better than clear-cutting A review of the biodiversity aspects. Forest. Ecol. Manag. 255(1): 1-15. 

  20. Shannon, C.E. and W. Weaver(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of Illinois Press. Urbana. 

  21. Shiira-Pietikainen, A., J. Haimi and J. Siitonen(2003) Short-term responses of soil macroarthropod community to clear felling and alternative forest regeneration methods. Forest. Ecol. Manag. 172(2): 339-353. 

  22. Son, J.D. (2015) Initial Change of Insect Community Affected by Anthropogenic Disturbances within Pine tree forest. MS thesis, Hannam Univ., Daejeon, Korea, 56pp. 

  23. The Entomological Society of Korea and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1994) Check list of insects from Korea. Konkuk University Press, Seoul, pp. 744. 

  24. Thompson, J.(2007) Green-tree retention in harvest units: boon or bust for biodiversity. Sci. Findings. 96: 1-4. 

  25. Uetz, G.W.(1991) Habitat structure and spider foraging. In: Susan S.B., D.M. Earl and R.M(eds.), Habitat Structure, Springer Netherlands, Netherlands, pp. 325-34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