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교사의 연소 개념 향상을 위한 기체 농도 측정 실험 개발 및 적용 효과
Development and Application Effect of Gas Concentration Measure Experiment for the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pt on Combustion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59 no.4, 2015년, pp.296 - 307  

김은영 (아라초등학교) ,  김영신 (경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신애경 (제주대학교 초등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초의 연소과정에서 기체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실험을 개발하고, 그 적용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성별, 교사 경력, 6학년 교수경험, 2007개정 6학년 교수 경험 등을 고려하여 15명의 초등교사들을 선정하였다. MBL을 이용한 이 실험은 아크릴통 안에서 초가 연소하는 동안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이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아크릴 통에 2쌍의 구멍을 만들고, 그 구멍에 2개의 산소 센서와 2개의 이산화탄소 센서를 넣는다. 2) 초를 아크릴통 안에서 연소시키면서 그 변화를 관찰한다. 이 실험은 산소의 농도와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수치로 나타나고 그래프로 그려지므로 기체 농도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실험을 적용한 결과, 연소에 대하여 과학적 개념을 가지고 있지 않았던 많은 초등교사들이 ‘집기병 속의 촛불이 꺼지는 이유’와 ‘연소 전과 후의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대하여 과학적 개념을 형성하게 되었다. 또한 약 절반의 초등교사들이 ‘연소의 정의’와 ‘연소 후 이산화탄소의 위치‘에 대해 과학적 개념을 형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초의 연소과정에서의 기체 농도 측정 실험은 초등교사들의 연소 개념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the experiment for gas concentration measure during combustion of a candle and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effect of the experiment. For this study, 15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by considering their gender, career, 6th grade science teac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과학이야기로 기체의 농도를 알 수 있는 기체 검지관을 제시하여 집기병에서 초가 연소하기 전과 연소한 후의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제시하고 있다.7 따라서 2007개정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연소에 대한 개념 및 연소 전•후의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초등교사들의 연소 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2007개정 6학년 과학 교과지도 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해 보았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기체의 농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연소 과정에서의 기체 농도 측정 실험 장치를 고안하여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투입한 후, 이 실험이 연소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개념을 향상 시킬 수 있는지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초등교사들이 연소와 관련하여 가지고 있는 오개념을 줄이고, 연소 개념에 대해 과학적 개념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소 과정에서의 기체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실험을 고안하였다.
  • 연구자 연소 전의 공기 중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대해 말씀해 주시겠습니까? (사후)

가설 설정

  • 연구자 1번 연소의 의미를 말씀해 주시겠습니까? (사전) T6 물질이 빛과 열을 내며 타는 현상입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Ministry of Education. The Teacher’s Manual for Elementary School Science 3-2; Miraeen Co.: Seoul, Korea, 2014. 

  2. Gardner, H. The Unschooled Mind: How Children Think and How Schools Should Teach; Basic Books: New York, U.S.A., 1991. 

  3. Gilbert, J. K.; Osbone, R. J.; Fensham, P. J. Science Education 1982, 66, 623. 

  4. Han, S. J.; Kang, S. J.; Noh, T. H.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10, 29, 474. 

  5. Jang, M. D.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09, 28, 425. 

  6. Yoon, H. 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1, 31, 164. 

  7.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The Teacher'smanual for Elementary School Science 6-2; Kumsung Publishing Co.: Seoul, Korea, 2011. 

  8. Shin, A. K.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14, 33, 736. 

  9. Park, H. W.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08, 27, 244. 

  10. Park, K. A. Teaching Effect on Correcting the Misconception About High School Student’s Gas State;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2008. 

  11. Stavy, R.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88, 10, 553. 

  12. BouJaoude, S. B.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991, 28, 689. 

  13. An, S. H. The Effects of Learning Program Based on Brain Compatibleness in 'Combustion and Extinction' Unit Lesson of Elementary School;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2011. 

  14. Choi, S. Y.; Kang, S. J.; Noh, T. 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08, 28, 779. 

  15. Chung, M. S.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 and Teacher’s Conceptions About the Combustion in the View of History of Science;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2003. 

  16. Ryu, I. K. The Analysis of Sixth Grade Students' AlternativeConception on gas According to 2007 Revised Curriculum;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2012. 

  17. Um, S. S.; Ko, Y. H.; Paik, S. H.; Park, K. T.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00, 19, 75. 

  18. Yoo, S. A.; Koo, I. S.; Kim, B. G.; Kang, D. H.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1999, 43, 564. 

  19. Yi, H. J. A Study on the Misconceptions in Forces Lesso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Korea, 2009. 

  20. Cho, E. A. A Study of High School Student's Misconception on Gaseous Propertie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2008. 

  21. Onno de Jong; Maija, A.; Alan, G.; Vassilia, H.; Vasilis, K. Europ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1999, 22, 45. 

  22. Kim, D. W.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995, 14, 135. 

  23. Shin, A. K.; Moon, H. S.; Kang, M. 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1, 31, 942. 

  24. Jung, D. G.; Lee, H. J.; Jeong, S. H.; Oh, C. H.; Park, K. T.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07, 26, 359. 

  25. Kim, S. W. Difficulty in Science Teaching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ing in the Material Area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2008. 

  26. Ryu, J. I.; Koh, H. J.; Han, K. L.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00, 19, 15. 

  27.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e Teacher's Manual for Elementary School Science 6-1; Daehan Textbook Co.: Seoul, Korea, 2002. 

  28. Dhindsa, H. S. Candle Burning in an Inverted Jar Over Water in a Trough Experiment: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Retrieved December 15, 2012, from http://www.math.havrard.edu 

  29. Min, K. S. Effectiveness of the History of Science on the Learning of the Unit of 'Oxygen and Carbon Dioxide';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cheon National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2000. 

  30. Moon, M. J.; Kim, Y. K.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09, 28, 467. 

  31. Seoul Science Teacher's Group. Hidden Science 3; Woongjin Junior: Seoul, Korea, 1995. 

  32. Kim, Y. C. The Study About the Cause of Water Rising Phenomena After a Candle's Combustion in the Vessel on the Water;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