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whether a community organization strategy had been driven by core values explicit in Ottawa Charter and to give some suggestions for using values in health promotion practice in Korea. Methods: We searched literature online with key words of 'valu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건강증진사업에서 건강증진의 핵심 가치가 충분히 구현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하였으나, 검토 대상 사업이 우리나라의 일개 사업에 그치고 제언의 범위도 학계와 정부에 한정된 제한점이 있다. 그러나 건강증진의 가치에 대해서 우리나라 학계의 논의가 부족한 현실에서 건강증진의 기획, 수행 및 평가 전과정에서 건강증진의 가치를 명백하게 하고자 시도하였다는 데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를 계기로 우리나라에서도 건강증진의 가치 논쟁이 촉발되기를 기대한다.
  • , 2007; Gregg & O'Hara, 2007). 또한, 이러한 핵심가치의 의의, 정의 및 고려할 점 등을 문헌을 찾아서 고찰하였다.
  •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건강증진사업 중 주민주도형 건강증진전략인 경상남도 건강플러스 행복플러스 사업이 건강증진의 오타와 헌장의 핵심가치를 충분히 구현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건강플러스 행복플러스 사업은 전인적 개념의 건강, 임파워먼트, 지역사회참여, 건강의 사회환경적 결정요인 강조, 사회적 불평등 완화, 그리고 부문간의 협력의 대부분의 건강증진 가치를 구현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 이에 따라 이 연구는 오타와 헌장에서 명백하게 드러나는 건강증진의 핵심가치가 주민주도형 건강증진전략인 경상남도 건강플러스 행복플러스 사업에 충분히 적용되어 구현되고 있는지를 주로 검토하였다.
  • 따라서 건강증진의 기획, 수행 및 평가 전과정에서 건강증진의 가치를 명백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우리나라의 건강증진사업 중 주민주도형 건강증진전략인 경상남도 건강플러스 행복플러스 사업이 건강증진의 오타와 헌장에서 명백하게 드러나는 핵심가치를 충분히 구현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건강플러스 행복플러스 사업은 전인적 개념의 건강, 임파워먼트, 지역사회참여, 건강의 사회환경적 결정요인 강조, 사회적 불평등 완화, 그리고 부문 간의 협력 등의 대부분의 건강증진 가치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 이에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건강증진사업 중 주민주도형 건강증진전략이 건강증진의 핵심가치가 바탕이 되고 있는지 경상남도 건강플러스 행복플러스 사업을 사례로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향후 우리나라 건강증진사업에서 이러한 가치가 충분히 구현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언을 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적 건강증진과 전통적인 건강증진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그 결과 대부분의 건강증진사업의 가치는 양극단보다는 두 접근을 연결하는 선상의 어느 지점에 위치에 놓이게 된다고 하였다. 현대적 건강증진은 전인적이고도 생태학적이며, 건강을 적극적으로 만들어 갈 수 있다(salutogenic)는 생각에서 출발하여 지역사회 참여와 임파워먼트를 강조하는 접근인 반면, 건강증진사업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전통적 건강증진은 신체의 질병에 일차적으로 관심을 가지며, 억지참여를 유도하고 강권하는 경향이 있다(Gregg & O'Hara, 2007). 오타와 건강증진 헌장에서 제시한 다섯 가지 영역 중 하나인 지역사회 활동 강화는 지역사회개발 전략으로 지역사회참여와 임파워먼트를 중시하는 점(WHO, 1986)에서 현대적 건강증진 접근이라 할 수 있다.
건강증진이란 무엇인가? 이에 따라 건강의 전제 조건으로서 폭넓은 사회환경적 건강의 결정요인이 인정되고, 건강증진의 전략과 영역이 제시되었다. 건강증진은 ‘사람들이 자신의 건강에 대한 통제력을 높이고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과정’으로 정의되었다(WHO, 1986). 이를 통해 건강증진의 핵심가치가 명백하게 드러나게 되었는데, 먼저 과정으로서의 건강증진 정의에 따라 건강의 결정요인에 대한 통제력 향상을 통해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인과 지역사회의 역량을 의미하는 임파워먼트가 중요한 가치로 대두되었다(Birse, 1998).
Gregg와 O'Hara는 건강증진사업을 어떻게 나누었는가? Gregg와 O'Hara(2007)은 건강증진사업을 크게 현대적 건강증진과 전통적인 건강증진의 둘로 나누어 건강증진의 핵심가치가 구현되는 정도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건강증진사업의 가치는 양극단보다는 두 접근을 연결하는 선상의 어느 지점에 위치에 놓이게 된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n, S. A., Sim, M. Y., Jeong, B. G., Kim, JR., Kang, Y. S., Park, KS., & Yeum, D. M. (2011). A study on elderly people in health inequality in vulnerable health areas centering around agriculture and fisheries area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1, 673-689. 

  2. Antonovsky, A. (1996). The salutogenic model as a theory to guide health promotion.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1, 11-18. 

  3. Barness, M., Sullivan, H., Benzeval, M., Judge, K., & Mackenzie, M. (2005). Public policy under New Labour. In M. Barness, M., H. Sullivan, M. Benzeval, K. Judge, & M. Mackenzie (Eds.), Health action zone (pp.17-28).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4. Bauman, A., O'Hara, L., Signal, L., Smith, B., Ritchie, J., Parker, E., & Rissel, C. (2007). A perspective on changes in values in the profession of health promotion. Health Promotion Journal of Australia, 18, 3-6. 

  5. Birse, E. (1998). The role of health promotion within integrated health systems. Center for Health Promotion. Retrieved from http://sites.utoronto.ca/chp/download/RptsandPresents/roleofHP.pdf 

  6. Brandstetter, S., McCool, M., Wise, M., & Loss, J. (2012). Australian health promotion practitioners' perceptions on evaluation of empowerment and participation.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9, 70-80. 

  7. Carter, S. M. (2012). What is health promotion ethics? Health Promotion Journal of Australia, 23, 4. Retrieved from http://www.publish.csiro.au/?paperHE12004 

  8. Cho, BH. (2010). Developing the measures for community capacity in Korea.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Retrieved from http://report.ndsl.kr/repDetail.do?cnTRKO201100000361 

  9. Danaher, A. (2011). Reducing health inequities: enablers and barriers to inter-sectoral collaboration. Wellesley Institute. Retrieved from http://www.wellesleyinstitute.com/wp-content/uploads/2012/09/Reducing-Health-Inequities-Enablers-and-Barriers-to-Intersectoral-Collaboration.pdf 

  10. Eriksson, M., & Lindstrom, B. (2008). A salutogenic interpretation of the Ottawa Charter.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3, 190-199. 

  11. Gibson, C. H. (1991). A concept analysis of empowermen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6, 354-361. 

  12. Gregg, J., & O'Hara, L. (2007). Values and principles evident in current health promotion practice. Health Promotion Journal of Australia, 18, 7-11. 

  13. Ife, J. (2003). Strenghtening communities conference, "people, place, partnerships". Sydney: Centre for Human Rights Education, Curtin University of Technology. Retrieved from http://info.humanrights.curtin.edu.au/local/docs/StrenghteningCommDevelop.pdf 

  14. Jeong, B. G., Kim, J. R., Kang, Y. S., Park, K. S., Lee, J. H., Jo, S. R., . . . Sim, M. Y. (2012). The strategies to address regional health inequalities in Gyeongsangnam-Do: Health Plus Happiness Plus Projects.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37, 36-51. 

  15. Judd, J., Frankish, C., J., & Moulton, G. (2001). Setting standards in the evaluation of community-based health promotion programmes-a unifying approach.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6, 367-380. 

  16. Kahan, B., & Goodstadt, M. (2001). The interactive domain model of best practices in health promotio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best practices approach to health promotion. Health Promotion Practice, 2, 43-67 

  17. Kim, J. R., Jeong, B., Park, K. S., & Kang, Y. S. (2011). Applications of the participatory learning process in health promotion.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36, 130-142. 

  18. Kim, J. R., Jeong, B., Park, K. S., & Kang, Y. S. (2014). The mid-term outcome evaluation of community organization: three-year experience of Health Plus Happiness Plus Projects in Gyeongsangnam-Do.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39, 146-160. 

  19. Kinyashi, G. F. (2006). Towards genuine participation for the poor: critical analysis of Village Travel and Transport Project (VTTP) Morogoro, Tanzania. Institute of Rural Development Planning Dodoma Tanzania. Retrieved from http://www.eldis.org/fulltext/genuine_participation.pdf 

  20.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2012). Conference proceedings in fall (pp.3-29).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21. Laverack, G. (2006) Improving health outcomes through community empowerment: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Health, Population and Nutrition, 24, 113-120. 

  22. Laverack, G. & Labonte, R. (2000). A planning framework for community empowerment goals within health promotion. Health Policy and Planning, 15, 255-262.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015). Guide for integrated community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2015 (pp.104-10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4. Minkler, M., & Wallerstein, N. (1997). Improving health through community organization and community building. In K. Glanz, F. M. Lewis, & B. K. Rimer (Eds.),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pp.241-252). San Francisco: Jossey-Bass, Inc. 

  25. Minkler, M., Wallerstein, N., & Wilson, N. (2008). Improving health through community organization and community building. In K. Glanz, B. K. Rimer, & K. Viswanath (Eds.),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pp.287-300). USA: John Wiley & Sons, Inc. 

  26. Parker, E., Gould, T., & Fleming, M. (2007). Ethics in health promotion-reflections in practice. Health Promotion Journal of Australia, 18, 69-72. 

  27. Potvin, L., & Jones, CM. (2011). Twenty-five years after the Ottawa Charter: the critical role of health promotion for public health. Cana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102, 244-248. 

  28. Raphael, D. (2000). The question of evidence in health promotion.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5, 355-367. 

  29. Sindall, C. (2002). Does health promotion need a code of ethics?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7, 201-203. 

  30. Stahl, T., Wismar, M., Ollila, E., Lahtinen, E., & Leppo, K. (2006). Health in all policies, prospects and potentials. Finland: Ministry of Social Affairs and Health. Retrieved from http://ec.europa.eu/health/ph_information/documents/health_in_all_policies.pdf 

  31. Wallerstein, N. (2002). Empowerment to reduce health disparities.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30 (Suppl. 59), 72-77. 

  32. Whitehead, M., & Dahlgren, G., & Gilson, L. (2001). Developing the policy response to inequities in health: a global perspectiv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Retrieved from http://www.ais.up.ac.za/med/scm870/developingpolicychallenginginequitieshealthcare.pdf 

  33. WHO. (1986). The Ottawa Charter for health promotion. Retrieved from http://www.who.int/healthpromotion/conferences/previous/ottawa/en/ 

  34. WHO. (2005). The Bangkok Charter for health promotion in a globalized world. WHO. 

  35. WHO. (2010). The Adelaide statement on health in all policies: moving towards a shared governance for health and well-being.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5, 258-2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